본문내용
하지만 돌려 생각하면 개발되지 않은 청정 미래자원을 북한이 대량으로 소유하고 있다는 논리도 된다. 가진 것이 없는 자는 지킬 것도 없다. 역으로, 우리가 많은 환경 문제들에 고민해야 하는 것은 그만큼 누리고 있는 것이 크다는 의미일 것이다. 귀찮다고 투덜대기 보다는 가진 자의 여유로움으로 슬쩍 웃으며 우리 소중한 지구, 이 땅을 돌봐주는 것이 어떨까.
키워드
추천자료
국가보안법존재의 당위성
세계문화유산 등록 조사 및 설명(의의,등록기준 등)
기업 조직혁신 사례
<평화 안보를 위한 한국의 동맹전략>
한국 시민운동의 당면과제
재분배정책 과정의 역동성 분석과 사회복지전문가에게 주는 시사점
테마파크
[민주주의론]참여민주주의론의 성과와 발전적 전망
미래지향적 북한농업발전 전략
대안교육(대안학교)의 정의, 대안교육(대안학교)의 특성, 대안교육(대안학교)의 등장 배경, ...
청약종합통장, 과연 보금자리가 될 수 있을까?
디지털 지식정보사회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십
[구조조정][구조조정 필요성][구조조정 경제학][구조조정 운영실태][구조조정 사례][구조조정...
[독후감] 제러미 리프킨(Jeremy Rifkin) 교수의 『3차 산업혁명』을 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