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교수법(1~20강)녹취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어교수법(1~20강)녹취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영어교수법 기말고사(1~20강) 녹취요약본

본문내용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가 필요하고 의미 있는 작용이 필요하고 창의적인 사고가 필요하고 선택적인 태도가 필요하고 무엇보다도 그 수준 자체가 학습자의 능력보다 약간 한 단계 위이다.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서 사람들이 썼던 개념이 Baby talk
Krashen의 입력가설은 이해 가능한 입력 (comprehensible input) 에 근거한다. 이해가 능한 입력이란 학습자의 현 수준보다 한 단계 높은 수준이다. 즉 입력 가설이란 학습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입력 (comprehensible input) 을 충분히 제공해주면 성공적인 외국어 학습이 가능하다는 것으로, 이 입력을 최대화하는 것이 언어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 Baby talk (motherese/ caretaker speech/ child-directed speech) : 모국어를 습득하는 아이들에게 부모나 어른들이 제공하는 입력. (천천히 또박또박하게 얘기하거나 쉬운 어휘를 사용해서) 아이를 가장 잘 이해하는 어머니가 아이들 수준에 맞추어서 하는 말을 외국어습득에 응용하였다. 이것을 외국어습득을 위해 적용했을 때 나오는 개념이 Foreigner talk
◎ Foreigner talk: (외국어를 학습하는 비원어민화자에게 주어지는 입력)외국인을 만났을 때 모국어 화자가 해주는 말. 상대편의 수준에 맞추어서 해준다.
Foreigner talk의 특징 (p. 248, 표 4-1)
1. 속도 Slow rate=clearer articulation
속도는 늦고 정확하게 발음을 해줌.
A. Final stops released (마지막 발음까지 정확히 함)
B. Fewer reduced vowels (모음을 축약하지 않음)
C. Fewer contractions (축약도 줄이고)
D. Longer pauses (중간에 쉬고 듣기 쉽게 말해줌)
2. 어휘 vocabulary
A. High frequency vocabulary(일생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단어 집중사용, 슬랭, 이디엄은 줄여줌)
B. Fewer pronoun forms(명확한 명사를 사용함. 그거 저거 이런 표현 대신)
C. Gestures and pictures(표정이나 동작으로 도움을 줌)
3. Syntax
A. Short and simple sentences(짧고 단순화한 문장사용)
B. Movement of topics to front of sentence(하고자하는 주제가 있을 때 제 일 처음에 해서 듣는 사람이 준비할 수 있도록)
C. Repetition and restatement(반복하고 했었던 말을 다시 풀어서 이야기함)
학습자들이 성공적으로 외국어를 습득하기 위해서는 수준에 맞는 입력을 많이 받는 것이 중요하다.
Comprehension(이해)을 강조하면, Production (speaking)은 쉽게, 저절로 일어난다.
크래슨의 입력가설에 따르면 자연스러운 외국어습득과정에서 Foreigner talk은 일반적인 원어민화자와 비원어민화자 사이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끊임없이 나타나게 된다.
◎ 입력의 유형: 긍정적 증거 (positive evidence) vs. 부정적 증거 (negative evidence)
입력가설에서는 긍정적 증거를 중요시한다. (250p 표참고)
♣ 4.4.2. 상호작용과 외국어 습득
전반적인 언어학습에서 입력가설이 풍미하던 1980년대, Michael Long이 입력가설만으로는 언어습득이라는 게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라고 하면서 새로운 보완적인 가설인 상호작용 가설을 주장하였다.
상호작용 가설 (The Interaction Hypothesis)
입력의 제공만으로는 외국어습득은 원칙적으로 불가능하고 비원어민화자와 원어민화자 또는 비원어민 화자 상호간의 대화를 통해서 자신의 의미를 전달하고 상대의 메시지를 이해하려는 노력을 하는 가운데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되고 그럼으로써 궁극적으로 외국어의 성공적인 습득을 이룰 수가 있다.
의미협상 (meaning negotiation/negotiation of meaning) 251p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 이 사람이 이 얘기를 제대로 하고 있는 것인지, 저 사람은 알아듣고 있는지 내 얘기가 전달되고 있는지 나는 저 사람의 얘기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지 이런 것에 대한 것이 양쪽이 서로 대화가 오가면서 끊임없이 서로 의미를 협상해야 하는 것이다. (성공적인 외국어학습을 위한 중요 열쇠)
외국어학습자의 입력을 comprehensible 하게 만들어주는 것은 상호간의 작용이다.
의미협상의 예 (pp. 254-255)
1. comprehension check 1 (이해점검1): NNS: I’m from Nakasaki. Do you know Nakasaki?
2. comprehension check 2 (이해점검2): NNS1: And your family have some ingress.
NNS2: Yes, ah, OK, OK NNS1: More or less, OK?
3. confirmation check (확인질문): NNS1: when can you go to visit me? NNS2: visit?
4. clarification request (설명요구): NNS1:….research
NNS2: I don’t know the meaning of research.
5. repetition of questions (Long, 1983) NS: do you like California? NNS: huh?
6. “or-choice” question (Long, 1983)
7. “single answer” question (Long, 1983)
8. topic shift 언어능력이 부족하더라도 대화가 가능하게 된다.
♣ TODAY’S QUESTION
Q: 상호작용 가설은 학습자들의 말하기 능력이 부족한 경우, 어떻게 상호작용을 할 수 있을까?
ANSWER : 초보자들의 경우에도 의미협상을 통한 상호작용은 가능하다. 위의 (의미협상의 예) 다양한 전략을 통해서 초보자들의 경우도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키워드

  • 가격5,30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11.09.14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18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