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언학의발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언어지리학(linguistic geography) 성립 - 방언학의 출발 배경

1. 세계 각국의 언어지리학적 방언 연구

1.1. 독일의 언어지도 : G. Wenker의 독일방언연구

1.2. 프랑스의 언어지도

1.3. 이탈리아의 언어지도

1.4. 미국의 언어지도

1.5. 영국의 언어지도

1.6. 일본의 언어지도

2. 언어지리학적 국어 방언 연구

2.1. 일제강점기의 방언 연구

2.2. 광복 이후의 언어지리학적 방언 연구

2.3. 방언 자료집 및 방언사전의 간행

본문내용

후의 언어지리학적 방언 연구
(1) 1950~60년대의 구조방언학적 국어 방언 연구
언어의 여러 층위에 존재하는 체계성에 입각하여 공시적 체계 수립을 1차적 목적으로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통시적 변화를 연구. 체계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파악하려는 방법론을 보여주는 연구가 주류를 이룸.
예) 이숭녕(1957), “제주도 방언의 형태론적 연구”
(2) 1970년대 이후의 생성방언학적 국어 방언 연구
지역방언의 체계와 구조를 더욱 정밀히 파악하고, 음운 현상이나 문법 현상을 체계와 관련지어 연구. 동시에 생성음운론의 영향으로 변별 자질을 이용하여 음운 현상을 이해하고 규칙화하려는 연구가 주류를 이룸.
예) 이병근(1970),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Studies in Kyonggi Subdialect.”
전광현(1979), “경남 함양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______(1981), “전라북도 옥구지역어의 음운론적 고찰”
최명옥(1980), 『경북 동해안 방언 연구』
______(1982), 『월성지역어의 음운론』
이승재(1980), “구례지역어의 음운체계”
백두현(1982), “금릉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최태영(1980), “전주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소강춘(1983), “남원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______(1989), 『방언분화의 음운론적 연구』
김영태(1985), “창원지역어 연구”
정철(1989), “경북의성방언의 음운론적 연구”
김영배(1977), 『평안방언 연구』
배주채(1998), 『고흥방언 음운론』
(3) 80년대 이후의 다양한 방언학적 접근
언어지리학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도단위별 공시적 연구 성과와 더불어 방언문헌 자료를 이용한 통시적 연구, 방언문법 연구, 사회언어학의 이론을 도입한 지역 방언 연구 등 다양한 방언연구의 방법론을 활용한 국어 방언 연구가 활발해짐.
예) 이익섭(1981), 『영동 영서의 언어분화』
이기갑(1986), 『전라남도의 언어지리』
김충회(1992), 『충청북도의 언어지리학』
최전승(1986), 『19세기 후기 전라방언의 음운 현상』
백두현(1992), 『염남 문헌어의 음운사 연구』
곽충구(1992), 『함경북도 육진 방언의 음운론』
강정희(1988), 『제주방언연구』
김웅배(1991), 『전라남도 방언연구』
이상규(1999), 『경북방언 문법 연구』
이미재(1988), “언어 변화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강희숙(1994), “음운 변이 및 변화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2.3. 방언 자료집 및 방언사전의 간행
(1) 전국 규모의 방언 자료집 및 사전
예) 조선어문연구부(1936), 『방언집』(프린트본)
김형규(1975), 『한국방언연구』
최학근(1978), 『한국방언사전』
김병제(1980), 『방언사전』
선덕오, 조습, 김순배(1990), 『조선어방언조사보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80), 『한국방언조사질문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자료집 : 충청북도(1987), 전라북도(1987), 경상북도(1989), 강원도(1990), 충청남도(1990), 전라남도(1991), 경상남도(1994)
학술원(1993), 『한국언어지도집』
(2) 개별 지역 방언 자료집 및 사전
예) 석주명(1947), 『제주도 방언집』
최학근(1962), 『전라남도 방언 연구』
김영태(1975), 『경상남도방언연구』
이돈주(1978), 『전남방언』
김이협(1981), 『평북방언사전』
현평효(1962), 『제주도 방언연구』(자료편)
김태균(1986), 『함북방언사전』
이상규(1994), 『경상북도 방언자료집』
이기갑 외 4인(1997), 『전남방언사전』
한영목(1999), 『충남방언의 연구와 자료』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9.15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19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