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 교육과정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가. 읽기 교육과정 분석

나. 교육과정 분석표

다. reflection

라. 질문거리

본문내용

관련지어 의미를 해석한다.
기능
실제
비판적 읽기
해독과 해석
의미 구성
5) 만화의 매체 특성을 고려하여 함축된 의미를 해석한다.
기능
실제
추론적 독해
의미 구성
10학년
1) 사회적 규약을 담은 글의 특성을 알고 공정성과 합리성을 평가한다.
지식
기능
맥락
비판적 독해
평가와 반응
2) 법률적 쟁점을 다룬 글을 읽고 사건의 개요와 판단의 취지를 파악한다.
기능
실제
사실적 읽기
의미 구성
3) 여러 글을 읽고 전제나 가정을 비교 분석하고 평가한다.
기능
실제
비판적 독해
창조적 독해
평가와 반응
4) 면담 기사를 읽고 질문자의 질문 의도, 질문 전략, 질문 태도 등을 평가한다.
기능
실제
사실적 읽기
추론적 읽기
평가와 반응
5) 인기 도서를 읽고 책의 가치와 인기를 얻게 된 원인을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기능
실제
비판적 읽기
평가와 반응
다. reflection
지금까지 중학교 교육과정이나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본 적이 없었는데 이번 과제를 통해서 읽기 부분의 교육과정에는 어떤 내용이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어서 좋았다. 과제를 하면서 이것이 내용체계의 어느 부분과 맞는지 헷갈리는 부분도 많았고 읽기원리와 연결시킬 때도 아리송한 부분이 조금 있었다. 그래서 좀 시간이 오래 걸리긴 했지만 다 해놓고 나니까 한 눈에 볼 수 있어서 보기도 편했고 한 눈에 여러 가지를 연결 시켜서 생각할 수 있어서 좋았다. 과제를 하면서 가장 많이 했던 생각은 읽기 교육이 대부분 기능, 실제와 연결되는 것이 많았다는 점이다. 지식과 연관되는 부분은 고작 2,3개 뿐 이었고 대부분이 기능이나 실제에 중점을 두고 교육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보면 ‘읽기의 실제’를 표의 가장 위에 위치시켜서 강조했다. 이것은 글을 총체적으로 읽는 읽기 상황을 제시하고 이 실제의 상황을 위해 알아야 할 지식, 기능, 맥락 등의 요소를 학습하도록 하는 것으로 읽기의 분석적인 요소나 방법이 실제 활동에서 적용되어 읽기 행위를 성공적으로 이끌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중학교 목표에 이러한 목적이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라. 질문거리
과제를 하면서 교육과정은 정말 체계적이고 잘 구성되어 있다고 느끼는 반면 이런 교육과정이 실제 학교에서는 목표만 제시되어 있고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안타까움을 느꼈다. 제한된 시간에 많은 아이들을 데리고 수업해야하는 환경과 입시에 치중되어 있는 사회적 환경을 고려하면 이러한 교육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교사는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어느 정도는 교육과정에 충실하게 아이들을 가르쳐야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추론적 독해나 사실적 독해, 비판적 독해, 감상적 독해는 많이 있지만 창조적 독해는 거의 없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학생들에게 항상 창의력 있는 사고력을 길러줘야 하며 창의성은 사회를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것이라고 강조하는 교육에서 왜 창조적 독해 부분이 거의 없는지 의문이 들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9.16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23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