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해양플랜트와 IT기술의 융합
2.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2.1 RFID란?
2.2 기술배경
2.3주요연구 수행과제
3. 레이더센서
3.1 레이더란?
3.2 레이더 종류
3.3 기술동향과 연구개발 내용
4. 결론
5. 느낀점
2.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2.1 RFID란?
2.2 기술배경
2.3주요연구 수행과제
3. 레이더센서
3.1 레이더란?
3.2 레이더 종류
3.3 기술동향과 연구개발 내용
4. 결론
5. 느낀점
본문내용
국):SRR sensor
-24GHz 대역 차량 충돌 방지, 60m감지
< 기술 동향 >
4. 결론
ㆍ2008년 ITTKS업 융합포럼을 통하여 IT기술과 조선이 결합된 조선+IT과 같은 국내 주력 산업과 IT의 융합 안 마련
ㆍ해양 플랜트사업과 접목 가능한 IT기술들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
ㆍISO/IEC 18000-7을 국제 표준으로 하여 화물용 컨테이너 관리를 위한 RFID 기술 확산
ㆍ군용 및 항공, 선박 등에서 이용하던 레이더 기술이 점차 확대 되어 자동차용 충돌방지, RF센서 등으로 적용되어 활용되고 있음
ㆍRFID 및 레이더 기술의 활용이 높아 짐에 따라 현재CMOS 기반의 집적화된 RFIC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상용화 되어 양산 되고 있는 추세임
5. 느낀점
전자부품 연구원에서 근무하시는 김진섭 강사님이 오셔서 해양플랜트 응용을 위한 무선통신 직접회로 개발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해 주셨다. 먼저 강의를 하시기 전에 해양플랜트와 IT기술과 어떤 연관성이 있느냐는 의문을 먼저 해결해 주시고 강의를 해 주셨다.
해양플랜트와 IT기술이 협력되면 선박을 비롯한 해양산업에 IT융합의 ‘스마트 해양’시대가 올 것이라고 설명해 주셨다. 해양플랜트와 IT기술의 협력은 해외 기술 의존도가 높은 선박, 해양 IT분야에 육상 플랜트 제어계측, 자동화 기술을 접목하여 기술적 시너지를 창출해 나갈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선박과 해양IT분야에 전반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함으로써 해상통신, 선박 통합감시체계 등 조선ㆍ해양 IT분야의 내실을 다짐으로써 우리나라의 조선ㆍ해양 범위 분야에 효율성과 연구성과 극대화로 조선해양산업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번강의를 듣고 좀더 자료를 찾고 공부하다보니 조선IT라는 말이 있었다. 조선IT에 대해서 잘몰랐으나 자료를 찾고 공부를 하면서 조선IT에 대해 조금이나마 이해를 할수 있게 되었다.
조선 IT란 전통적인 조선 산업과 IT기술의 융복합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조선IT에 대해 여러 기관에서 연구/개발하고 있으나 조선IT가 이런 것이다 라고 명확히 구분짓기는 어려운것 같았다. 조선IT는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공정에 관한 기술, 설계 분야에 관한 기술, 선박이나 해양플랜트 제품에 관한 기술로 정리는 할 수 있는 것 같았다.
이 3가지 분야가 독립적으로 보이나 딱히 그런 것 같지도 않았다. 또한 기존 기술에서 완전 별개의 것도 아니라는 것이 나의 생각 이었고, 해양플랜트에 적용되는 기술은 조선공학이나 해양공학에 국한되지 않고 기계공학, 해양학/지질학, 건축/토목공학, 전기/전자/통신공학 등 다양한 학문이 복합적으로 응용 된다고 할수 있을것 같다. 따라서 해양플랜트는 이러한 복합적인 기술과제를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어야 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을 것 같다.
"해양+ IT" 융합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우리나라 조선기술이 좀더 발전해 나갔으면 좋겠다라는게 저의 생각입니다.
그리고 해양플랜트 실무 특강의 매번 들으면서 느끼는 거지만 전반적으로 해양산업에 대해 많은 지식을 배워 가고 있는것 같다.
-24GHz 대역 차량 충돌 방지, 60m감지
< 기술 동향 >
4. 결론
ㆍ2008년 ITTKS업 융합포럼을 통하여 IT기술과 조선이 결합된 조선+IT과 같은 국내 주력 산업과 IT의 융합 안 마련
ㆍ해양 플랜트사업과 접목 가능한 IT기술들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
ㆍISO/IEC 18000-7을 국제 표준으로 하여 화물용 컨테이너 관리를 위한 RFID 기술 확산
ㆍ군용 및 항공, 선박 등에서 이용하던 레이더 기술이 점차 확대 되어 자동차용 충돌방지, RF센서 등으로 적용되어 활용되고 있음
ㆍRFID 및 레이더 기술의 활용이 높아 짐에 따라 현재CMOS 기반의 집적화된 RFIC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상용화 되어 양산 되고 있는 추세임
5. 느낀점
전자부품 연구원에서 근무하시는 김진섭 강사님이 오셔서 해양플랜트 응용을 위한 무선통신 직접회로 개발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해 주셨다. 먼저 강의를 하시기 전에 해양플랜트와 IT기술과 어떤 연관성이 있느냐는 의문을 먼저 해결해 주시고 강의를 해 주셨다.
해양플랜트와 IT기술이 협력되면 선박을 비롯한 해양산업에 IT융합의 ‘스마트 해양’시대가 올 것이라고 설명해 주셨다. 해양플랜트와 IT기술의 협력은 해외 기술 의존도가 높은 선박, 해양 IT분야에 육상 플랜트 제어계측, 자동화 기술을 접목하여 기술적 시너지를 창출해 나갈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선박과 해양IT분야에 전반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함으로써 해상통신, 선박 통합감시체계 등 조선ㆍ해양 IT분야의 내실을 다짐으로써 우리나라의 조선ㆍ해양 범위 분야에 효율성과 연구성과 극대화로 조선해양산업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번강의를 듣고 좀더 자료를 찾고 공부하다보니 조선IT라는 말이 있었다. 조선IT에 대해서 잘몰랐으나 자료를 찾고 공부를 하면서 조선IT에 대해 조금이나마 이해를 할수 있게 되었다.
조선 IT란 전통적인 조선 산업과 IT기술의 융복합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조선IT에 대해 여러 기관에서 연구/개발하고 있으나 조선IT가 이런 것이다 라고 명확히 구분짓기는 어려운것 같았다. 조선IT는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공정에 관한 기술, 설계 분야에 관한 기술, 선박이나 해양플랜트 제품에 관한 기술로 정리는 할 수 있는 것 같았다.
이 3가지 분야가 독립적으로 보이나 딱히 그런 것 같지도 않았다. 또한 기존 기술에서 완전 별개의 것도 아니라는 것이 나의 생각 이었고, 해양플랜트에 적용되는 기술은 조선공학이나 해양공학에 국한되지 않고 기계공학, 해양학/지질학, 건축/토목공학, 전기/전자/통신공학 등 다양한 학문이 복합적으로 응용 된다고 할수 있을것 같다. 따라서 해양플랜트는 이러한 복합적인 기술과제를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어야 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을 것 같다.
"해양+ IT" 융합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우리나라 조선기술이 좀더 발전해 나갔으면 좋겠다라는게 저의 생각입니다.
그리고 해양플랜트 실무 특강의 매번 들으면서 느끼는 거지만 전반적으로 해양산업에 대해 많은 지식을 배워 가고 있는것 같다.
추천자료
홈네트워크 [디지털 시대의 홈 네트워크 이해와 향후 전망]
중국 과학기술 현황에 관한 고찰
CJ엔트테인먼트 다각화 전략(수직.수평통합.관련다각화)
문화산업의 특성과 역할, 문화 패러다임의 변화, 문화컨텐츠기획의 방법 및 접근틀, 디지털화...
마이크로스트립 원형패치 안테나 설계
한국, 미국, 영국의 방송국명과 송출출력 조사
대우건설 기업분석과 swot분석
[LED] 'LED'의 정의, 구조, 동작원리, 특징, 제조공정, 종류 및 개발현황 그리고 시장동향에 ...
(주)위니텍
현대건설 기업분석
녹생성장 추진내용 중 건축물(패시브 하우스)관련 신재생 애너지에 대하여
[거리측정, 적외선거리측정, 미소거리측정]거리측정과 적외선거리측정, 거리측정과 미소거리...
[거리, 거리와 길거리문화, 거리와 거리축제, 거리와 거리노숙, 거리와 거리측정, 거리와 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