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신생아
(1)고려사항
(2)반응
(3)간호중재
2.영아초기
(1)고려사항
(2)반응
(3)간호중재
3.영아중기
(1)고려사항
(2)반응
(3)간호중재
4.영아후기
(1)고려사항
(2)반응
(3)간호중재
5.유아
(1)고려사항
(2)반응
(3)간호중재
6.학령전기
(1)고려사항
(2)반응
(3)간호중재
7.학령기
(1)고려사항
(2)반응
(3)간호중재
8.사춘기
(1)고려사항
(2)반응
(3)간호중재
(1)고려사항
(2)반응
(3)간호중재
2.영아초기
(1)고려사항
(2)반응
(3)간호중재
3.영아중기
(1)고려사항
(2)반응
(3)간호중재
4.영아후기
(1)고려사항
(2)반응
(3)간호중재
5.유아
(1)고려사항
(2)반응
(3)간호중재
6.학령전기
(1)고려사항
(2)반응
(3)간호중재
7.학령기
(1)고려사항
(2)반응
(3)간호중재
8.사춘기
(1)고려사항
(2)반응
(3)간호중재
본문내용
공포
②학교, 친구로부터 분리에 대한 걱정
③절단공상은 일반적인 생각이다.
④사생활과 관련있는 걱정이 증가한다.
⑤강요되는 복종을 벌로 해석하기도 한다.
⑥그들의 신체에 의사, 간호사에 의해 통제된다고 느낄수 있다.
(2)반응
①억압 또는 부정
②의식적인 성숙한 행동
③퇴행
④분리분안
⑤거부증
⑥우울증
⑦공포경향
(3)간호중재
①계획된 입원에 대해 아동을 준비시키도록 부모를 돕는다.
②간호력 사정을 통해 신체적 발달, 입원경험, 사회적 배경, 일상생활에 대한 정보를 얻고 간호계획시 이용한다.
③일관성 있는 간호와 환경을 제공한다.
④아동을 보호하고 환경에 대한 안전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합리적인 정책을 수립한다.
⑤놀이공간을 제공한다.
⑥검사와 검사기구에 대해 설명하고, 검사과정동안 지지한다.
⑦주의깊게 통증을 사정하고 경감시킨다.
⑧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고 아동의 공상과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놀이요법을 수행한다.
⑨아이의 간호에 부모를 참여시킨다.
⑩부모의 아이의 입원에 대한 불안을 극복시킨다.
8.사춘기
(1)고려사항
①신체질환, 노출 사생활 결핍은 신체상과 성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킨다.
②가족, 친구, 학교로부터의 분리는 불안의 원인이 된다.
③독립성의 방해와 부모로부터의 이탈이 고려되어야 한다.
④무력감을 느끼거나 질병을 부모, 의사의 말을 듣지 않는데 대한 벌로서 받아들일 수 있다.
(2)반응
①불안, 수치감은 조절감의 상실과 관련된다.
②낯선 환경에 대한 불안
③치료과정의 거부
④우울증
⑤의존성의 증가
⑥부정 또는 위축
⑦비협조적인 행동
⑧질병에 대한 상세한 지식습득
⑨질병이나 통증에서 얻는 이득
(3)간호중재
①계획된 입원에 대해 아동을 준비시키도록 부모를 돕는다.
②질병의 영향을 사정한다. 입원 후 병원과 의료진을 소개하고 입원 후의일상생활에 대해 설명한다.
③간호력 사정을 통해 친구, 학교, 과거 질환 경험, 입원경험, 음식습관, 오락활동, 취미 등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④개인의 사생활은 존중하고 비밀을 보장한다.
⑤간호계획에 참여시키고 검사, 수술 전에 동의를 얻는다.
⑥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잘 들어준다.
⑦기분을 전환시킬 수 있는 활동을 제공한다.
⑧다른 환자와의 관계 형성을 돕고 원래 친구관계를 지속시킨다.
⑨입원과 질환을 극복할 수 있게 돕고 스트레스와 관련해 사춘기 아동의 반응에 부모가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한다.
⑩개인용품을 보관할 서랍, 옷장을 마련해 준다.
②학교, 친구로부터 분리에 대한 걱정
③절단공상은 일반적인 생각이다.
④사생활과 관련있는 걱정이 증가한다.
⑤강요되는 복종을 벌로 해석하기도 한다.
⑥그들의 신체에 의사, 간호사에 의해 통제된다고 느낄수 있다.
(2)반응
①억압 또는 부정
②의식적인 성숙한 행동
③퇴행
④분리분안
⑤거부증
⑥우울증
⑦공포경향
(3)간호중재
①계획된 입원에 대해 아동을 준비시키도록 부모를 돕는다.
②간호력 사정을 통해 신체적 발달, 입원경험, 사회적 배경, 일상생활에 대한 정보를 얻고 간호계획시 이용한다.
③일관성 있는 간호와 환경을 제공한다.
④아동을 보호하고 환경에 대한 안전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합리적인 정책을 수립한다.
⑤놀이공간을 제공한다.
⑥검사와 검사기구에 대해 설명하고, 검사과정동안 지지한다.
⑦주의깊게 통증을 사정하고 경감시킨다.
⑧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고 아동의 공상과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놀이요법을 수행한다.
⑨아이의 간호에 부모를 참여시킨다.
⑩부모의 아이의 입원에 대한 불안을 극복시킨다.
8.사춘기
(1)고려사항
①신체질환, 노출 사생활 결핍은 신체상과 성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킨다.
②가족, 친구, 학교로부터의 분리는 불안의 원인이 된다.
③독립성의 방해와 부모로부터의 이탈이 고려되어야 한다.
④무력감을 느끼거나 질병을 부모, 의사의 말을 듣지 않는데 대한 벌로서 받아들일 수 있다.
(2)반응
①불안, 수치감은 조절감의 상실과 관련된다.
②낯선 환경에 대한 불안
③치료과정의 거부
④우울증
⑤의존성의 증가
⑥부정 또는 위축
⑦비협조적인 행동
⑧질병에 대한 상세한 지식습득
⑨질병이나 통증에서 얻는 이득
(3)간호중재
①계획된 입원에 대해 아동을 준비시키도록 부모를 돕는다.
②질병의 영향을 사정한다. 입원 후 병원과 의료진을 소개하고 입원 후의일상생활에 대해 설명한다.
③간호력 사정을 통해 친구, 학교, 과거 질환 경험, 입원경험, 음식습관, 오락활동, 취미 등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④개인의 사생활은 존중하고 비밀을 보장한다.
⑤간호계획에 참여시키고 검사, 수술 전에 동의를 얻는다.
⑥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잘 들어준다.
⑦기분을 전환시킬 수 있는 활동을 제공한다.
⑧다른 환자와의 관계 형성을 돕고 원래 친구관계를 지속시킨다.
⑨입원과 질환을 극복할 수 있게 돕고 스트레스와 관련해 사춘기 아동의 반응에 부모가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한다.
⑩개인용품을 보관할 서랍, 옷장을 마련해 준다.
추천자료
아동 기관지염 케이스 스터디
고위험모아간호학3E) 아동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와 아동간호의 역사적 흐름 변화 논하시오.
<아동간호학> 소아청소년과 사전학습 레포트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개인위생 (個人衛生) - 아동의 개인위생에 필요한 생활습관 형성과 ...
중환아 간호단위의 특성과 중환아실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 태도 및 역할
[고위험 모아간호학 공통] 1. 죽음을 앞둔 아동과 의사소통 할 때 유념해야 할 점들을 아동의...
방통대 간호학과 중간과제물 고위험모아간호=2016
입원 아동 간호 (위생, 안전, 검사물 수집) A+
1. 죽음을 앞둔 아동과 의사소통,2. 고위험 신생아를 분류하는 기준,3. 중환아실에 입원한 아...
고위험모아간호학]중환아 간호단위의 특성(환아, 가족, 환경 등)을 설명하고, 중환아실 간호...
2017 고위험모아간호학) 중환아간호단위의 특성 환아 가족 환경 등 설명, 중환아실 간호사 능...
[간호학] 청소년의 신체적 발달
[간호학] 학령기 아동의 건강문제 - 정신지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