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기본설계
3. 실시 설계
4. 공정별 설계사양
5. 공정별 설치 목적
2. 기본설계
3. 실시 설계
4. 공정별 설계사양
5. 공정별 설치 목적
본문내용
가 파손되지 않도록 주의 해야한다. 6대도시 대부분의 처리장 스크린의 규격은 조목스크린은 60~150㎜로, 세목스크린은 15~25㎜로 설치 되어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최초 침전지
유입된 하수중의 SS를 제거하고 SS에 의해 유발되는 BOD를 함께 제거함으로써 후처리 공정부하를 줄이고 처리효율을 높이는게 최초 침전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침사지에서 양수펌프에 의해 유입된 하수는 침전지에 분배되어 침전지에서 부유물은 침강 분리되고 상등수는 Trough를 거쳐 폭기조에 유입된다. 한편 침강오니는 유입부 하부에 설치된 오니 Scraper에 의해 집니 된 후 생오니 펌프에 의해 농축조에 보내진다.
(4) 폭기조
호기성 미생물이 유입하수중에 함유된 유기물을 흡착분해 하여 침강성이 좋은 FLOC을 형성하여 최종침전지에서 오니와 처리수로 침강분리되게 하는 생물학적 처리법의 핵심공정이다. 처리수질은 미생물의 적절한 배양 조건에 따라 좌우되므로, 처리효율의 향상을 위하여는 과거의 운영실적을 분석하여 폭기조의 운영조건을 평가하고 개선하면서 운영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 폭기조의 폭기방식별 비교
수중 폭기방식별로 비교하여 선택하기위한 표이다.
항 목
산기관 폭기
수중 폭기
수면 폭기
특성
운전
유지관리
조내완전혼합
공기량 조절가능
산기관이 막히는 경우가 많다.
좌동
좌동
기계가 수중에 있으므로 복잡하다.
좌동
좌동
수리 및 감시가 용이하다.
건설비
소요전력
보수 및 분해검사
많다.
제일많다.
Blower와 배관, 산기관 등의 검사 보조비가 제일 많다.
많다.
중간
수중에 있으므로 고장보수비가 많이든다.
적다.
제일 적다.
표면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보수가 편리하다.
(5) 최종침전지
폭기조의 유기물제거과정에서 생성된 활성슬러지와 처리수를 고액분리함으로써 깨끗한 방류수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대부분 하수처리장에서 최종침전지의 정확한 설계와 적절한 운영으로 유출수의 수질을 좋게 할뿐만 아니라 처리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다. 보통 폭기조에서 유입된 하수는 최종침전지에서 하수와 활성오니가 분리되어 상등수는 염소소독조를 통하여 하천으로 방류되고 분리된 침전슬러지 대부분은 폭기조로 반송되어 폭기조 미생물 농도에 유지되며 일부 오니는 잉여 오니로서 농축조에 유입되고 있다. 또한 활성 슬러지 공정의 유출수에 대한 BOD는 SS의 농도에 비해 큰 영향을 받으므로 유출수의 농도를 최소화함으로서 높은 BOD제거 효율을 얻을 수 있으므로 SS농도 변화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SS농도를 낮추는데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본다. 이론적으로 1mg의 SS는 0.5mg의 BOD를 나타낸다.
(6) 농축조
생슬러지와 잉여슬러지를 농축에 의해 고형물 농도를 높여 소화, 탈수 등 처리효율을 상승시키시 위한 시설이다. 따라서 오니농축공정은 오니처리방식의 최초의 공정이다. 최초침전지 및 최종침전지에서 발생한 오니는 오니펌프에 의해 농축조에 보내진다. 오니 농축방식에는 가압부상식과 침강농축방식으로 구분되며 보통 오니농축조에서 나오는 상등액은 침사지로 보내어지고 농축오니는 펌프에 의해 소화조로 보내어진다.
① 가압부상식
화학약품 또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비중이 작은 입자를 부상시키는 방법으로 활성슬러지 농축에 잘 이용된다.
압축공기를 사용하므로 압력, 반송비, 유입슬러지농도, 체류시간, 공기:슬러지비, 슬러지성질, 부하율, 화학약품사용에 영향을 미친다.
② 침강농축식
슬러지내의 고형물을 중력작용으로 침전시키는 것으로 경제적이다.
1차 슬러지는 10%, 활성슬러지는 13.3%정도 농축
농축조의 유휴수심은 2~5m, 체류시간은 6~12시간, 표면부하율은 16~37㎥/㎡d, 고형물회수율은 80-90% 정도이다.
(7) 소화조
호기성 소화
혐기성 소화
장점
운전이 쉽다.
냄새가 거의 없다.
처리수의 BOD, SS농도가 낮다.
소규모인 경우 동력시설이 필요 없고 연속처리를 할 수 있다.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유용한 가스(CH₄)를 얻을 수 있다.
병원균이나 기생충란을 사멸시킨다.
단점
취기가 발생하고 위생해충도 발생할 우려가 있다.
소화일수가 길다.
넓은 부지가 필요하다.
(8) 탈수조
모래여과상
진공여과
원심분리기
가압여과
싸다
비싸다.
비싸다.
비싸다.
간단하고 운전이 쉽다.
대채로 모든 종류의 슬러지를 탈수시킨다.
시설비가 진공여과 보다 싸다.
저압에서 운전하여 진공보다 운전에 무리가 없다.
소요면적이 크다.
냄새가 난다.
냄새가 적다.
전력비가 진공보다 적다.
냄새 문제가 있다.
연소시킬 정도의 슬러지 캐이크생산이 가능하다.
진공보다 시설면적이 적다.
연속운전가능
슬러지 운반비용이 크다.
운전에 융통성이 있다.
슬러지 개량이 필요
슬러지 케이크에 수분 과다.
일기의 영향을 받는다.
고형물회수율이 크다.
균일한 슬러지여야 한다.
많은 인건비 소요
유지 및 운전비가 비싸다.
진공여과보다 고형물회수 적다
생물학적슬러지는 처리곤란하다.
-탈수방식-
(9) 펌프의 종류
명 칭
특 징
용 도
원심력 펌프
(cenerifugal pump)
원리, 구조 및 운전성능이 점에서 다른 펌프에 비해 유리한 점을 갖는다. 광범위한 용도에 적응한다.
우수, 오수, 배니, 슬러지반송, 검수채취, 약주입, 압력수, 우물
사류펌프
(mixed flow pump)
고용량, 날개 폭이 넓으므로 다소의 이물이 혼입한 물에도 사용
우수, 오수, 슬러지 반송
축류 펌프
(axial flow pump)
저양정, 고용량
우수
screw pump
구조가 간단하여 이물에 의한 폐쇄가 적다.
오수
왕복펌프
(reciprocating pump)
저용량, 고압, 정량성
약주입, 농축슬러지
회전펌프(rotary pump)
소용량, 중양정
소석탄 등의 이송
마찰펌프(cascade pump)
운동하는 기계 부분이 없으므로 고장이 적다. 저효율
채수, 장내 압력수
분류펌프(jet pump)
고장이 적다. 공기원 장치가 필요, 저효율
염소주입, 약품주입
기포펌프(air lift pump)
고장이 적다. 공기원 장치가 필요. 저효율
배니, 침사배제, 슬러지반송, 심정
수력펌프(hydrauli pump)
동력이 불필요, 저용량
하천의 소규모 취수
-양수원리에 의한 펌프의 분류와 주용도-
(3) 최초 침전지
유입된 하수중의 SS를 제거하고 SS에 의해 유발되는 BOD를 함께 제거함으로써 후처리 공정부하를 줄이고 처리효율을 높이는게 최초 침전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침사지에서 양수펌프에 의해 유입된 하수는 침전지에 분배되어 침전지에서 부유물은 침강 분리되고 상등수는 Trough를 거쳐 폭기조에 유입된다. 한편 침강오니는 유입부 하부에 설치된 오니 Scraper에 의해 집니 된 후 생오니 펌프에 의해 농축조에 보내진다.
(4) 폭기조
호기성 미생물이 유입하수중에 함유된 유기물을 흡착분해 하여 침강성이 좋은 FLOC을 형성하여 최종침전지에서 오니와 처리수로 침강분리되게 하는 생물학적 처리법의 핵심공정이다. 처리수질은 미생물의 적절한 배양 조건에 따라 좌우되므로, 처리효율의 향상을 위하여는 과거의 운영실적을 분석하여 폭기조의 운영조건을 평가하고 개선하면서 운영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 폭기조의 폭기방식별 비교
수중 폭기방식별로 비교하여 선택하기위한 표이다.
항 목
산기관 폭기
수중 폭기
수면 폭기
특성
운전
유지관리
조내완전혼합
공기량 조절가능
산기관이 막히는 경우가 많다.
좌동
좌동
기계가 수중에 있으므로 복잡하다.
좌동
좌동
수리 및 감시가 용이하다.
건설비
소요전력
보수 및 분해검사
많다.
제일많다.
Blower와 배관, 산기관 등의 검사 보조비가 제일 많다.
많다.
중간
수중에 있으므로 고장보수비가 많이든다.
적다.
제일 적다.
표면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보수가 편리하다.
(5) 최종침전지
폭기조의 유기물제거과정에서 생성된 활성슬러지와 처리수를 고액분리함으로써 깨끗한 방류수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대부분 하수처리장에서 최종침전지의 정확한 설계와 적절한 운영으로 유출수의 수질을 좋게 할뿐만 아니라 처리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다. 보통 폭기조에서 유입된 하수는 최종침전지에서 하수와 활성오니가 분리되어 상등수는 염소소독조를 통하여 하천으로 방류되고 분리된 침전슬러지 대부분은 폭기조로 반송되어 폭기조 미생물 농도에 유지되며 일부 오니는 잉여 오니로서 농축조에 유입되고 있다. 또한 활성 슬러지 공정의 유출수에 대한 BOD는 SS의 농도에 비해 큰 영향을 받으므로 유출수의 농도를 최소화함으로서 높은 BOD제거 효율을 얻을 수 있으므로 SS농도 변화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SS농도를 낮추는데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본다. 이론적으로 1mg의 SS는 0.5mg의 BOD를 나타낸다.
(6) 농축조
생슬러지와 잉여슬러지를 농축에 의해 고형물 농도를 높여 소화, 탈수 등 처리효율을 상승시키시 위한 시설이다. 따라서 오니농축공정은 오니처리방식의 최초의 공정이다. 최초침전지 및 최종침전지에서 발생한 오니는 오니펌프에 의해 농축조에 보내진다. 오니 농축방식에는 가압부상식과 침강농축방식으로 구분되며 보통 오니농축조에서 나오는 상등액은 침사지로 보내어지고 농축오니는 펌프에 의해 소화조로 보내어진다.
① 가압부상식
화학약품 또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비중이 작은 입자를 부상시키는 방법으로 활성슬러지 농축에 잘 이용된다.
압축공기를 사용하므로 압력, 반송비, 유입슬러지농도, 체류시간, 공기:슬러지비, 슬러지성질, 부하율, 화학약품사용에 영향을 미친다.
② 침강농축식
슬러지내의 고형물을 중력작용으로 침전시키는 것으로 경제적이다.
1차 슬러지는 10%, 활성슬러지는 13.3%정도 농축
농축조의 유휴수심은 2~5m, 체류시간은 6~12시간, 표면부하율은 16~37㎥/㎡d, 고형물회수율은 80-90% 정도이다.
(7) 소화조
호기성 소화
혐기성 소화
장점
운전이 쉽다.
냄새가 거의 없다.
처리수의 BOD, SS농도가 낮다.
소규모인 경우 동력시설이 필요 없고 연속처리를 할 수 있다.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유용한 가스(CH₄)를 얻을 수 있다.
병원균이나 기생충란을 사멸시킨다.
단점
취기가 발생하고 위생해충도 발생할 우려가 있다.
소화일수가 길다.
넓은 부지가 필요하다.
(8) 탈수조
모래여과상
진공여과
원심분리기
가압여과
싸다
비싸다.
비싸다.
비싸다.
간단하고 운전이 쉽다.
대채로 모든 종류의 슬러지를 탈수시킨다.
시설비가 진공여과 보다 싸다.
저압에서 운전하여 진공보다 운전에 무리가 없다.
소요면적이 크다.
냄새가 난다.
냄새가 적다.
전력비가 진공보다 적다.
냄새 문제가 있다.
연소시킬 정도의 슬러지 캐이크생산이 가능하다.
진공보다 시설면적이 적다.
연속운전가능
슬러지 운반비용이 크다.
운전에 융통성이 있다.
슬러지 개량이 필요
슬러지 케이크에 수분 과다.
일기의 영향을 받는다.
고형물회수율이 크다.
균일한 슬러지여야 한다.
많은 인건비 소요
유지 및 운전비가 비싸다.
진공여과보다 고형물회수 적다
생물학적슬러지는 처리곤란하다.
-탈수방식-
(9) 펌프의 종류
명 칭
특 징
용 도
원심력 펌프
(cenerifugal pump)
원리, 구조 및 운전성능이 점에서 다른 펌프에 비해 유리한 점을 갖는다. 광범위한 용도에 적응한다.
우수, 오수, 배니, 슬러지반송, 검수채취, 약주입, 압력수, 우물
사류펌프
(mixed flow pump)
고용량, 날개 폭이 넓으므로 다소의 이물이 혼입한 물에도 사용
우수, 오수, 슬러지 반송
축류 펌프
(axial flow pump)
저양정, 고용량
우수
screw pump
구조가 간단하여 이물에 의한 폐쇄가 적다.
오수
왕복펌프
(reciprocating pump)
저용량, 고압, 정량성
약주입, 농축슬러지
회전펌프(rotary pump)
소용량, 중양정
소석탄 등의 이송
마찰펌프(cascade pump)
운동하는 기계 부분이 없으므로 고장이 적다. 저효율
채수, 장내 압력수
분류펌프(jet pump)
고장이 적다. 공기원 장치가 필요, 저효율
염소주입, 약품주입
기포펌프(air lift pump)
고장이 적다. 공기원 장치가 필요. 저효율
배니, 침사배제, 슬러지반송, 심정
수력펌프(hydrauli pump)
동력이 불필요, 저용량
하천의 소규모 취수
-양수원리에 의한 펌프의 분류와 주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