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의_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의_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한스 카스토르프와 클라브디아 쇼샤
2-1. 한스 카스토르프
2-2. 클라브디아 쇼샤
3. 쇼샤로 인한 카스토르프의 심리변화
4. 결론

본문내용

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제시한 초인은, 곧 낙타의 정신과 사자의 정신을 거쳐 제 스스로의 세계를 얻으려고 창조적 유희를 하는 어린아이의 정신을 가진 그런 인간이기도 하다. 이처럼 오로지 진정한 자기 자신을 발견하고 실현해가는 것, 바로 이것이 작가가 이 소설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이야기하고픈 내용이다. 이 중에서도 한스 카스토르프에게 요양소에 머무를 이유를 제공하고, 세템브리니와의 끝나지 않는 논쟁 사이에서도 두드러지는 쇼샤라는 인물의 존재감은 너무나 크다.
카스토르프는 인간의 육체, 생명의 근원, 삶과 죽음에 대한 관심으로 생리학, 해부학, 생물학등에 몰두하는데 그가 죽음의 세계에 점점 깊이 빠져들게 되어 심리 속에 내재되어 있던 ‘자유’에의 의지가 점점 확고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모험은 ‘발푸르기스의 밤’에 가장 절정에 달한다. 그녀와 함께 했던 발푸르기스의 밤은 죽음의 세계를 인정하는 것이고 그가 이제껏 혼란스러워 했던 모든 것들에 종지부를 찍는 것과 다름없다. 이후 카스트로프는 더욱 대담해지는 모습을 보인다. 이제는 쇼샤부인 없이도 자유로울 수 있고, 방종할 수 있는 용기를 얻게 된 것이다. 카스토르프는 야메스 삼촌이 카스토르프를 방문했을 때 그에게 도리어 요하임이 첫날 자신에게 했던 이야기들을 아무렇지 않게 하는 모습을 보이고, 이러한 죽음의 세계가 자신에는 너무나도 자연스러운 관계에 있다는 것을 ‘무관심’하고 ‘단호하고’ ‘꾸밈없이’ 이야기한다.
개인적인 가정 이야기, 도시 이야기, 사업 이야기 같은 고향 이야기는 일절 화제에 오르지 않았고, …… 야메스 티나펠은 마차를 타고 가면서도, 그 뒤에도 이런 이야기를 입에 올렸지만, 그것들은 한스 카스토르프의 차분하고도 단호하며 꾸밈없는 냉담한 태도에 부딪혀 땅에 떨어져서는 그대로 묻히고 말았다. -p.173(下)
카스토르프는 죽음의 긴 여정을 통해야지만 삶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다고 생각하게 된다.
삶에 이르는 길은 두 가지가 있는데, 한 가지는 평범하고 직선으로 나 있는 반듯한 길이고, 다른 길은 죽음을 통과해 가는 사악한 길인데, 그게 바로 천재적인 길이야! -p.490(下)
이 두가지 길 중 카스토르프가 추구하려는 길은 죽음을 통과하는 천재적인 길이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그가 쇼샤와의 만남을 통해 사랑을 체험한다는 사실이다. 카스토르프는 요양소의 체험과 쇼샤에 대한 자신의 사랑이 어떤 것인지 고백한다.
죽음에 대한 사랑은 삶과 인간에 대한 사랑으로 이끌어 가니까. -p.490(下)
페퍼코른의 만남 이후에 더욱 더 세템브리니와 나프타 사이에서의 객관성을 찾게 되는데 요하임의 죽음 후 이어진 교령술 장면에서 카스토르프는 더욱더 삶과 멀어진 모습을 보인다.
크로코프스키 박사가 이번에는 엄하게 경고하는 어조로 다시 그의 이름을 불렀다. 하지만 카스토르프는 몇 발짝 걸어가 입구 문의 계단 있는 데로 가서 단호한 동작으로 불을 켰다. …… 그는 열쇠를 받자 여러 번 위협하듯 박사의 얼굴을 노려보며 머리를 끄덕이고는 몸을 홱 돌려 방에서 나가 버렸다. -p.660(下)
시간을 거듭할수록 변해가는 카스토르프의 심리상태는 처음부터 예기되어 있었던 것과 다름없다. 시대가 요구에 뒤덮여 자신의 본질적인 모습을 찾을 수 없던 그에게 쇼샤의 유혹이 비로소 억압의 틀을 깨고 나오는 것을 도와주었기 때문이다. 하나의 자극제가 되어 도구적 역할을 맡아준 것이다.
4. 결론
한스 카스토르프는 결국 독일군의 일원으로서 제 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다. 그가 전쟁으로 뛰어든 사실은 죽음을 극복하여 삶으로의 길을 걷기 위해 현실세계로 투신한 것을 의미한다. 세계의 병적인 순환과 도저히 헤어나갈 수 없는 시대상황에 따른 방황, 그것들이 삶의 진정한 조건이라면 그것을 받아들이는 카스토르프의 결단에는 삶과 죽음이 대립할 여지는 없다. 이미 삶과 죽음은 일체가 되어버린 것이다. 그래서 카스토르프는 전쟁 한가운데로 뛰어든 것이며 이러한 체험은 마치 눈 속에서 헤매던 때와 같이 죽음의 한 가운데서 이루어진다.
이처럼 <마의 산>은 죽음과 질병의 부정적 세계에서 자아의 해방과 그 실현을 위한 삶으로의 상승적인 발전을 탐색한다. 죽음을 이겨내고 삶을 향한 길을 발견하는 것에서 토마스 만의 새로운 인간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한스 카스토르프에게 클라브디아 쇼샤는 그 시도는 비록 죽음의 세계에 빠지게 만드는 마녀의 역할일지 모르지만 마침내 그에게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주어 삶을 사랑하게 만들었다는 점은 분명하다.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9.28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46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