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화][중국미술][동양화 읽기][동양화와 서양화의 비교][동양화에서의 서양화전개]동양화의 역사, 동양화의 사상, 동양화의 중국미술, 동양화 읽기, 동양화와 서양화의 비교, 동양화에서의 서양화전개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양화][중국미술][동양화 읽기][동양화와 서양화의 비교][동양화에서의 서양화전개]동양화의 역사, 동양화의 사상, 동양화의 중국미술, 동양화 읽기, 동양화와 서양화의 비교, 동양화에서의 서양화전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동양화의 역사
1. 삼국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1) 초기(1392~1550)
2) 중기(1550~1700)
3) 후기(1700~1850)
4) 말기(1850~1910)
4. 근대․현대

Ⅲ. 동양화의 사상

Ⅳ. 동양화의 중국미술
1. 은․주 시대
2. 진․한 시대
3. 육조 시대
4. 수․당 시대
5. 송의 미술
6. 원의 미술
7. 명․청의 미술

Ⅴ. 동양화 읽기
1. 동음이자로 읽는 법
1) 소나무+표범+까치 = 新年報喜
2) 백로 한 마리+연과 = 一路連科
3) 오리 두 마리+버드나무
4) 까치 두 마리
5) 게 두 마리 + 갈대 = 전로→전려
6) 패랭이 꽃
7) 흰사슴 + 향나무
8) 壽字 16자
9) 대나무 + 바위
10) 대나무 + 죽순
11) 난초 + 귀뚜라미
12) 박쥐
13) 갈대 + 기러기
14) 책꽃이 그림
2. 우의로 읽는 법
1) 모란 + 목련 + 해당화
2) 팔가조 + 목련 + 해당화
3) 모란+나비+고양이
4) 고양이+바위
5) 모란+장닭
6) 모란+병
7) 모란+백(白)두(頭)조(鳥)
8) 부엉이
9) 소나무 + 대나무 + 백두조
10) 매화 + 달
11) 매화가지 + 까치
12) 소나무 + 학
13) 소나무 + 불로초
14) 수탉+병아리
15) 조밭 + 암컷 메추리
16) 봄버들 + 여름 장미
17) 장미 + 공작 + 소나무
18) 7월의 생생한 연밭 + 원앙새
19) 석류
20) 포도, 오리병박
21) 호리병박+장닭
22) 금붕어 여러 마리

Ⅵ. 동양화와 서양화의 비교

Ⅶ. 동양화에서의 서양화전개

참고문헌

본문내용

리아 신부 로드리게스(Rodrigyez陸若漢)로부터 천리경(千里鏡)자명종(自鳴鐘)등 서양물건과 함께 《西洋國風俗記》등의 서적도 선물받아 왔다는 설 등이 있다. 그러면서 청의 기술문명을 도입하려는 정책과 함께 서양화는 「태서화(泰西畵)」, 「양화(洋畵)」, 「서양국화(西洋國畵)」, 「서국화(西國畵)」, 「암화(菴畵)」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한다.
조선후기 실학자중의 한사람인 이익은 “근년에 연행사를 갔다 온 사람 중 「서국화(西國畵)」를 갖고 온 것이 많다.” 라고 하여 서양미술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또 다른 자료로는 박지원의 《熱河日記》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상의 자료를 보면 서양화의 최초의 유입은 천주학 관계의 서적과 삽화 등에 의해 소개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연행사에 의한 서구문물의 도입은 당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처음 서양화를 본 사람들에 의해 소개가 되어지기 시작한 후 점차 구입해서 들어오게 되고 후에는 자신의 초상화를 제작해서 받아오게 되는 사례까지 생겨난다. 현재 문헌상으로 알려져 있는 서양화의 최초 유입은 병자호란(1636)직후 인질로 청나라에 연행되었던 소현세자가 귀국시(1645) 북경에서 서양인 신부 아담 샬(Adam Schall湯若望)을 통해 천주교 교리책을 포함한 천주상 그림을 가지고 오면서부터로 잡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소현세자가 귀국하자마자 사망하여 모두 태워버렸다.
간접 유입의 단계를 거친 후 서양화가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세 번째 단계는 서구열강에 의해 우리 나라가 강제로 개항이 된 후 한국에 온 외국인 화가에 의해 직접 그려지는 단계이다. 지금까지 널리 알려져 있던 바로는 구한말에 우리 나라로 건너온 외국인 화가인 네덜란드계 미국인 화가 휴버트 보스(Hubert Vos)와 철도원의 측량기사로 초청된 프랑스인 화가 레미옹(Remion)등 두 사람에 의해서 최초로 전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 알려진 바로는 1890년 12월에 헨리 세비지 랜더(Henry Savage Lander)가 서울에 3개월간 체류하면서 그림과 글 《코리아 또는 조선-고요한 아침의 나라》를 남겼고, 1894년에 내한한 스코틀랜드의 여류화가 콘스탄스 테일러(Constance Tayler) 등의 존재가 알려져 보스보다 먼저 서양화를 그리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쉽게도 그들이 그린 그림의 소재를 알 수는 없고 문헌상으로만 알려져 있을 뿐이다. 고희동(高羲東)의 신문과의 인터뷰 내용을 살펴보면 조선에 서양화가 처음 존재되기는 아마 한 40년전 일 듯 하다. 역시 서양사람으로 이태리 사람이 그때 궁내부예식원부경(宮內部禮式院副卿) 김규희(金奎熙)를 예전 군복모양으로 앉히고 초상화를 그렸는데 지금 그 그림은 아마 이태리에 가 있을 것이다만 조선서 그려진 최초의 서양화일 것이다. 그리고 그 후 45년 뒤에는 역시 어느 서양인의 손으로 고종황제의 초상을 그린 것도 그때 유명했다.
조선에서 최초로 서양화를 그린 사람으로 필명의 이태리 화가가 있다는 것을 언급하고 있다. 이것은 아마 위의 사실을 나타내고 있는 듯 하다.
지금까지 문헌상으로 알려져 있던 첫 번째 서양인 화가인 네덜란드계 미국인 화가 휴버트 보스(Hubert Vos)는 1899년 극동으로 스케치 여행을 왔다가 서울에 들려 어느 외국인 공사의 소개로 고종황제를 배알한 후 황제와 황태자(순종)의 초상화를 그렸다. 보스는 「고종황제어진」과 황태자의 초상뿐만이 아니라 당시 정부의 고관이었던 「민상호 초상」과 정동부근에서 광화문 쪽을 바라본 「서울풍경」등을 그렸다. 그러나 덕수궁에 소장되어 있던 고종황제의 초상화는 1904년 화재 때 불타 없어졌으나 보스가 소장하고 있던 그림이 현재 남아있다.
다음 장에서 자세히 다루겠지만 한국인에 의한 본격적인 서양화 도입은 서양화가에 의한 것보다 16년 후 1910년 동경미술학교 양화과에 입학한 고희동(高羲東)이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1915년을 그 원년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1959년 이경성이 그의 《한국회화의 근대적 과정》에서 언급한 것을 살펴보면 1910년 이전 수삼의 외국인 화가가 내조하여 비록 궁중과 상류사회라는 좁은 범위였으나 서양화라는 새로운 조형방법을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그것이 직접적으로 서양화의 도입까지는 범위가 확대되지 않았으나 그것에 자극받아 고희동 등이 1905년(광무9년)에 프랑스 공사관 내에서 외국인들에 의한 소규모의 전람회에 최초의 서양화를 출품하여 역사적 사실을 마련하는 데에 중요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이런 것들이 계기가 되어 고희동은 1909년 한국최초의 미술학생으로 동경에 건너가 서양화를 공부하였는데 당시의 사정을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조선일보》1939년 6월 17일자의 문화면을 보면 〈여명기 회상록 - 양화편〉으로 〈佛國公使館一室 빌어 最初의 美術展覽會〉라는 기사가 있다. 이것은 고희동(高羲東)이 일본으로 유학가기 전에 이미 서양화를 그려서 전람회에 출품했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것을 증명할 만한 뚜렷한 문헌은 없으나 현재 1905년의 전람회는 사실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10년대 이전부터 일본화가들이 서울과 평양 등에 화실을 차린다. 그들이 교육까지 하였는지는 알 수 없으나 전시회를 개최하면서 서양화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최초로 사진을 우리 나라에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지운영(池雲英)이 고희동(高羲東)보다 먼저 서양화를 배우기 위해 중국으로 유학가게 되었다는 1904년〈油畵學習次 淸國 上海行〉이라는 신문보도가 있지만 그 후의 활동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1910년 이후부터인 근대2기는 최초의 서양화가라 할 수 있는 고희동(高羲東)이 1908년 도일하여 1910년 동경미술학교 입학하면서부터 본격적인 서양화 유입이 시작된다.
참고문헌
김종태 저(1984), 동양화론, 서울, 일지사
배재영(2004), 동양화란 어떤 그림인가, 열화당
조용진(1999), 동양화 읽는 법, 집문당
최병식 저(1994), 동양회화 미학, 서울, 동문선
최병식 편저(1992), 동양미술 사전, 갑을출판사, 서울
코바야시 토오웅 저, 이동민 역(2005), 동양화를 배우다, 고려문화사

키워드

  • 가격7,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1.09.3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50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