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펠릭스 멘델스존의 생애
Ⅲ. 펠릭스 멘델스존의 약력
Ⅳ. 펠릭스 멘델스존의 작품 특징
Ⅴ. 펠릭스 멘델스존의 작품 종류
1. 교향곡
2. 서곡
3. 협주곡
4. 피아노곡집
5. 오페라
6. 무언가
Ⅵ. 펠릭스 멘델스존의 바이올린협주곡
1. 제2악장
2. 제3악장
1) 전개부
2) 재현부
Ⅶ. 펠릭스 멘델스존의 엘리야
Ⅷ. 펠릭스 멘델스존의 결혼행진곡
참고문헌
Ⅱ. 펠릭스 멘델스존의 생애
Ⅲ. 펠릭스 멘델스존의 약력
Ⅳ. 펠릭스 멘델스존의 작품 특징
Ⅴ. 펠릭스 멘델스존의 작품 종류
1. 교향곡
2. 서곡
3. 협주곡
4. 피아노곡집
5. 오페라
6. 무언가
Ⅵ. 펠릭스 멘델스존의 바이올린협주곡
1. 제2악장
2. 제3악장
1) 전개부
2) 재현부
Ⅶ. 펠릭스 멘델스존의 엘리야
Ⅷ. 펠릭스 멘델스존의 결혼행진곡
참고문헌
본문내용
빅토리아 여왕의 초청으로 참여한 ‘버밍엄 음악제’에서 19세기 최고의 작품이라 일컫는 오라토리오 [엘리야]를 초연하였다. 1846년 8월 26일의 [엘리야]의 초연은 멘델스존에 있어서 마지막 큰 성공이었다. 런던에서의 첫 리허설에서 특히 젊은 테너가수인 로클리의 노래를 듣고 ‘멘델스존’은 성공을 확신했다 이때 베이스는 스토디글이 콘트랄토는 호오스가 맡았고 소프라노는 숙녀답지 못하다는 이유로 “들으라. 너 이스라엘이여.”의 수정을 요청하여 멘델스존의 신사적 매너를 시험했던 카다도리 앨런이었다. 1846년8월23일 유스톤발 특별 기차에는 성악가들 오케스트라단 런던합창단 음악평론가들 그리고 초조한 ‘멘델스존’ 자신이 타고 있었다. 다음날 아침은 영국 빅토리아 시대에서 ‘바하’와 ‘헨델’의 작품을 제외한 가장 훌륭한 오라트리오로서 자취를 남기는 날이었다. 그 뒤 바로 개정에 착수하였지만 1847년 4월에 마지막으로 영국을 방문할 동안, 빅토리아 여왕과 알버트 공을 위하여 이 오라토리오가 상연되었다. [엘리야]를 작곡하면서 쏟은 심혈과 1847년 영국에서 [엘리야]를 적어도 6번 이상 연주한 것이 결정적으로 그의 생명을 단축시켰다고 할 만큼 [엘리야]는 ‘멘델스존’ 최고의 걸작이다. 그는 평정을 찾기 위하여 여름 수개월 동안 스위스에서 지냈다. 여러 연주 등으로 멘델스존은 몸이 쇠약해져 독일에 돌아 왔는데 그 때 평생 사이좋게 지내던 그의 누나가 사망했다는 슬픈 소식을 접하고 이 정신적 타격으로 그는 맥을 못 추게 되고 상심한 나머지 시름시름 앓던 ‘멘델스존’은 여섯 달 후인 그해 11월 누이의 뒤를 따라 1847년 라이프치히에서 38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1847년 11월 14일 비엔나에서 그가 지휘할 예정이었던 [엘리야]의 연주는 그의 추도식이 되고 말았다.
그가 듀셀도르프에서 음악감독 자리를 받았을 때, 거기서는 연주회뿐만 아니라 개신교와 카톨릭 교회음악도 그의 소관이었다. 이 시기에 그는 오라토리오 <바울>(op. 36, 1832-36)을 작곡하게 되는데, 이와 함께 그는 19세기 오라토리오 작곡가의 대열에 선다. 이 작품에는 옛 전통과 당대의 기법이 함께 나타나 \"시대 모순의 극복\"(슈만, <신 음악 잡지>이 두드러진다. 10년 후 그는 <엘리야>를 작곡했으며, 3부작의 끝 작품으로 고안된 <그리스도>는 미완성으로 남았다.
Ⅷ. 펠릭스 멘델스존의 결혼행진곡
펠릭스 멘델스존은 거의 만능에 가까운 재질을 타고난 데다 어렸을 때부터 교양이 풍부한 양친의 엄격한 가정교육을 받았으므로 여러 분야에서 특출한 재능을 발휘했다.
우선 음악 분야에서 그는 위대한 작곡가였음은 물론이고 당대 최고의 피아니스트의 한 사람이었으며 최대의 지휘자이자 역시 최고 위치에 있는 오르가니스트였다. 만약 본인이 마음만 먹었다면 대 바이올리니스트도 될 수 있었을 것이다.
음악 이외의 분야로는 역사, 지리, 문학, 철학 등등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었고, 모국어인 독일어 외에 이탈리아여, 프랑스어, 영어, 그리스어, 라틴어 등 각국의 언어에도 능통했다. 그 뿐이 아니었다, 자연과학에도 조예가 깊었을 뿐더러 회화에까지 재질을 보여 수채풍경화 솜씨는 아마추어의 범주를 벗어날 정도였다.
이와 같은 대천재가 불과 38세의 나이에 요절했으니, 많은 사람들이 애석해 한 것도 당연한 일이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오늘날에는 대다수의 남녀가 서양식으로 결혼식을 올린다. 음악도 신부 입장 때는 장중한 바그너의 <결혼행진곡>을, 신랑 신부가 퇴장할 때는 신바람 나는 멘델스존의 <결혼행진곡>을 각각 연주하는 것이 통례로 되어 있다.
멘델스존의<결혼행진곡>은 원래 세익스피어의 희곡<한여름 밤의 꿈>의 극음악12곡 중 제5막 처음에 아테네의 시시우스 대공과 아마존의 여왕 히폴리테의 결혼 장면에서 연주되는 곡이다. 워낙 신바람 나는 곡이어서 그 후 오랫동안 독일에서도 인기가 있었다. 나치가 정권을 잡은 후로는 모든 유태인 작곡가의 곡들이 연주가 금지되었으므로 멘델스존의 <결혼행진곡>도 10여 년 동안 금지곡으로 묶여 있다 제2차 세계대전 후에야 해금되었다.
참고문헌
김문자 외, 들으며 배우는 서양음악사 본문2권, 심설당
신혜영(2007), 멘델스존과 J. S. 바흐, 서울 : 한양대 대학원
엘리야, 홍정표 역(1996), 멘델스존, 서울 : 호산나 음악사
이은복(2007), 멘델스존의 ‘환상곡 op.28’에 관한 연구
홍정수 외, 음악학, 심설당
홍정수·김미옥·오희숙 공저(1996), 두길 서양 음악사, 나남출판
1847년 11월 14일 비엔나에서 그가 지휘할 예정이었던 [엘리야]의 연주는 그의 추도식이 되고 말았다.
그가 듀셀도르프에서 음악감독 자리를 받았을 때, 거기서는 연주회뿐만 아니라 개신교와 카톨릭 교회음악도 그의 소관이었다. 이 시기에 그는 오라토리오 <바울>(op. 36, 1832-36)을 작곡하게 되는데, 이와 함께 그는 19세기 오라토리오 작곡가의 대열에 선다. 이 작품에는 옛 전통과 당대의 기법이 함께 나타나 \"시대 모순의 극복\"(슈만, <신 음악 잡지>이 두드러진다. 10년 후 그는 <엘리야>를 작곡했으며, 3부작의 끝 작품으로 고안된 <그리스도>는 미완성으로 남았다.
Ⅷ. 펠릭스 멘델스존의 결혼행진곡
펠릭스 멘델스존은 거의 만능에 가까운 재질을 타고난 데다 어렸을 때부터 교양이 풍부한 양친의 엄격한 가정교육을 받았으므로 여러 분야에서 특출한 재능을 발휘했다.
우선 음악 분야에서 그는 위대한 작곡가였음은 물론이고 당대 최고의 피아니스트의 한 사람이었으며 최대의 지휘자이자 역시 최고 위치에 있는 오르가니스트였다. 만약 본인이 마음만 먹었다면 대 바이올리니스트도 될 수 있었을 것이다.
음악 이외의 분야로는 역사, 지리, 문학, 철학 등등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었고, 모국어인 독일어 외에 이탈리아여, 프랑스어, 영어, 그리스어, 라틴어 등 각국의 언어에도 능통했다. 그 뿐이 아니었다, 자연과학에도 조예가 깊었을 뿐더러 회화에까지 재질을 보여 수채풍경화 솜씨는 아마추어의 범주를 벗어날 정도였다.
이와 같은 대천재가 불과 38세의 나이에 요절했으니, 많은 사람들이 애석해 한 것도 당연한 일이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오늘날에는 대다수의 남녀가 서양식으로 결혼식을 올린다. 음악도 신부 입장 때는 장중한 바그너의 <결혼행진곡>을, 신랑 신부가 퇴장할 때는 신바람 나는 멘델스존의 <결혼행진곡>을 각각 연주하는 것이 통례로 되어 있다.
멘델스존의<결혼행진곡>은 원래 세익스피어의 희곡<한여름 밤의 꿈>의 극음악12곡 중 제5막 처음에 아테네의 시시우스 대공과 아마존의 여왕 히폴리테의 결혼 장면에서 연주되는 곡이다. 워낙 신바람 나는 곡이어서 그 후 오랫동안 독일에서도 인기가 있었다. 나치가 정권을 잡은 후로는 모든 유태인 작곡가의 곡들이 연주가 금지되었으므로 멘델스존의 <결혼행진곡>도 10여 년 동안 금지곡으로 묶여 있다 제2차 세계대전 후에야 해금되었다.
참고문헌
김문자 외, 들으며 배우는 서양음악사 본문2권, 심설당
신혜영(2007), 멘델스존과 J. S. 바흐, 서울 : 한양대 대학원
엘리야, 홍정표 역(1996), 멘델스존, 서울 : 호산나 음악사
이은복(2007), 멘델스존의 ‘환상곡 op.28’에 관한 연구
홍정수 외, 음악학, 심설당
홍정수·김미옥·오희숙 공저(1996), 두길 서양 음악사, 나남출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