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매너리즘의 의미
Ⅲ. 매너리즘의 사회적 배경
Ⅳ. 매너리즘의 경향
Ⅴ. 매너리즘의 화가
1. 로소 피오렌티노(1495~1540)피렌체 출생<십자가 강하 1521년 패널192*310>
2. 브론치노(Bronzino, 1503~72)이탈리아화가<톨레도의 엘레아노라와 그녀의 아들 조반니 데 메디치155년경 패널에유채 95.9*114.9>
Ⅵ. 매너리즘의 재평가
참고문헌
Ⅱ. 매너리즘의 의미
Ⅲ. 매너리즘의 사회적 배경
Ⅳ. 매너리즘의 경향
Ⅴ. 매너리즘의 화가
1. 로소 피오렌티노(1495~1540)피렌체 출생<십자가 강하 1521년 패널192*310>
2. 브론치노(Bronzino, 1503~72)이탈리아화가<톨레도의 엘레아노라와 그녀의 아들 조반니 데 메디치155년경 패널에유채 95.9*114.9>
Ⅵ. 매너리즘의 재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연스럽고 건강한 발전과정의 방해요소 즉, 르네상스와 바로크 사이의 간주곡 쯤으로 치부했다. 그러나 \'\'정신사로서의 미술사\'\'를 주창했던 막스 드보르작(Max Dvorak)으로 하여금 예술사에서 정신주의적 경향들의 중요성을 평가하도록 하였고, 매너리즘은 그러한 경향들의 승리를 파악할 수 있게 했던 예술적 체험으로 평가받기에 이르렀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인상주의 이후의 예술에 대한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체험이 뵐플린에게는 결여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매너리즘에서 발견할 수 있는 모방, 변형, 왜곡은 \'\'정신의 결여\'\'가 아니라 전혀 상이한 새로운 매너리즘 정신에 기인한 것이었다. 즉, 현실을 의도적으로 변형시키는 매너리즘의 주지주의적 경향은 종교적 체험의 심화이자 내면화였으며, 인생을 파악하는 새로운 정신세계에서 나타난 것이었다. 그런 점에서 매너리즘을 최초의 근대적 예술양식 즉, 문화적 문제와 직결된 것임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매너리즘의 주관적, 신경질적 긴장은 형식이 삶과의 투쟁에서 무력해지고 예술이 영혼 없는 아름다움으로 전락할지 모른다는 두려움의 표현이었다.
참고문헌
* 김홍섭(2003), 새롭게 읽는 유럽 미술사, 서울 : 이유
* 윤애근·주홍 공저(1994), 미술의 이해, 광주 : 전남대학교 출판부
* 앤드루 그레이엄닉슨, 김석희, 르네상스 미술기행, 한길 헤르메스
* 이민재, 매너리즘을 보는 세 가지 시각, 미술학
* 피에르 카반느 저, 정숙현 역(2004), 고전주의와 바로크 - 라루스 서양미술사 3, 생각의나무
* W. H. 젠슨, 김윤수 역(1992), 미술의 역사, 삼성출판사
참고문헌
* 김홍섭(2003), 새롭게 읽는 유럽 미술사, 서울 : 이유
* 윤애근·주홍 공저(1994), 미술의 이해, 광주 : 전남대학교 출판부
* 앤드루 그레이엄닉슨, 김석희, 르네상스 미술기행, 한길 헤르메스
* 이민재, 매너리즘을 보는 세 가지 시각, 미술학
* 피에르 카반느 저, 정숙현 역(2004), 고전주의와 바로크 - 라루스 서양미술사 3, 생각의나무
* W. H. 젠슨, 김윤수 역(1992), 미술의 역사, 삼성출판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