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제 1장 K-WAIS의 이론적 근거
1. 지능검사가 측정하는 것은 무엇인가?
2. 총체적 지능의 개념
3. 비지능적 요인들
4. IQ의 개념
5. K-WAIS의 구조
제 2장 K-WAIS의 제작 및 구성
1. K-WAIS의 제작
2. 언어성 검사의 구성 내용
3. 동작성 검사의 구성 내용
제 3장 일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1. 검사의 적용 범위
2. 표준 검사 절차
3. 검사 장소
4. 검사 시간
5. 라포형성(Rapport)
6. 일반적 실시 지침:
7. 일반적인 채점지침
8. 기록 용지의 기입
9. 검사 실시에 필요한 준비물
10. 검사자가 갖추어야 할 준비물
제 5장 환산 점수와 IQ의 산출방법
1. 환산 점수 전환방법
2. 환산 점수의 합산
3. IQ의 산출
4. 프로파일의 작성
제 1장 K-WAIS의 이론적 근거
1. 지능검사가 측정하는 것은 무엇인가?
2. 총체적 지능의 개념
3. 비지능적 요인들
4. IQ의 개념
5. K-WAIS의 구조
제 2장 K-WAIS의 제작 및 구성
1. K-WAIS의 제작
2. 언어성 검사의 구성 내용
3. 동작성 검사의 구성 내용
제 3장 일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1. 검사의 적용 범위
2. 표준 검사 절차
3. 검사 장소
4. 검사 시간
5. 라포형성(Rapport)
6. 일반적 실시 지침:
7. 일반적인 채점지침
8. 기록 용지의 기입
9. 검사 실시에 필요한 준비물
10. 검사자가 갖추어야 할 준비물
제 5장 환산 점수와 IQ의 산출방법
1. 환산 점수 전환방법
2. 환산 점수의 합산
3. IQ의 산출
4. 프로파일의 작성
본문내용
피검자가 확인해 보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러면 계산된 연령과 피검자가 말한 자신의 연령 사이에 발생할 수도 있는 불일치를 해결할 수 있다. 계산에서 한달을 30일로 계산함에 주의하라.
검사자는 각 문항의 적절한 점수에 표시를 하고, 전체 원 점수를 얻기 위해 표시된 숫자를 합산한다. 검사자는 각 문항의 반응마다 각 문항의 P(pass), F(fail), 혹은 피검자의 실제 반응 등을 표시를 해야하는데 이는 문제를 실시했는지, 빠뜨린 것인지를 구분하기 위해서이다. 어휘문제, 이해문제, 공통성문제의 경우, 채점 후의 검토에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검사자는 피검자가 말한 그대로(verbatim)를 기록해야 한다. 적어도 피검자가 표현한 각각의 유의미한 생각(idea)이라도 기록해야 한다. 다음의 축약어들은 K-WAIS 실시 과정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Q(question)- 추가질문(검사자가 반응을 명료화하기 위해 질문을 했을 때)
DK-모른다(피검자가 “모른다”고 말하거나 응답에 대한 이해 부족을 표시했을 때)
INC-미완성(피검자가 시간제한이 있는 문항에서 제한시간내에 과제를 완수하지 못했을 때)
NR-무 반응(피검자가 말이나 행동으로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았을 때)
빠진 곳찾기 소검사에 쓰이는 축약어로 ‘p'와 ’px'가 있다. 이것은 각 문항에 대한 피검자의 반응을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피검자가 그림의 빠진 부분을 정확하게 지적했다면 ‘p'라고 쓰고, 엉뚱한 곳을 지적했다면 ’px'라고 쓴다.
9. 검사 실시에 필요한 준비물
다음 재료는 검사 도구에 포함된 것이다.
① 요강
② 기록 용지
③ 빠진곳찾기와 토막짜기 문제가 들어 있는 작은 수첩
④ 차례맞추기가 들어있는 수첩(각 문항마다 각각 다른 봉투에 담겨 있다)
⑤ 어휘문제가 인쇄된 카드
⑥ 토막짜기에 사용되는 9개의 빨강-흰색 토막이 들어있는 상자
⑦ 모양맞추기에 사용되는 조각들이 들어있는 4개의 상자
⑧ 모양맞추기의 배열도
⑨ 바꿔쓰기를 위한 점수판
이밖에 검사자가 특정 문항의 반응, 또는 토막짜기와 모양맞추기 수행의 세부사항을 기록할 경우, 기록 용지외에 더 많은 공간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이때는 보조 용지를 사용할 있다.
10. 검사자가 갖추어야 할 준비물
다음 재료는 검사자가 필요로 하는 것들이다.
① 초시계
② 바꿔쓰기에서 쓸 지우개 없는 연필 2자루
제 5장 환산 점수와 IQ의 산출방법
검사가 끝난 후, 피검사자의 원점수, 환산 점수, IQ를 산출하는 방법은 일정한 절차를 따른다. 환산 점수를 산출하는 절차는 단순하고 산술적이지만 실수를 하게 되면 엉뚱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절차는 정확하고 신중하게 행해져야 한다. 검사자는 아래 사항에 유의하여야 한다.:
1. 소검사의 각 문항마다 정확하고 분명하게 점수를 기록한다.
2. 기본 지식 문제, 어휘문제, 산수 문제의 경우, 시작점 이후로 일정한 문항을 맞추면 시작점 이전의 쉬운 문항은 맞춘 것으로 간주하여 채점한다.
3. 빠른 수행에 대한 가산 점수가 주어지는 문항은 기록 용지의 해당 점수란이나 본 요강 4장을 참조 채점한다.
4. 기록 용지 표지에 있는 검사 점수 결과표에 각 소검사의 원점수를 옮겨 적는다.
5. 검사일과 생년월일을 확인하여 피검자의 연령을 계산하다.
6. 환산 점수 산출표를 사용하여 각 소검사의 원점수를 환산점수로 전환하고 환산점수의 합계로 IQ를 산출한다.
1. 환산 점수 전환방법
기록 용지의 표지의 검사 점수 결과표에 각 소검사의 원점수를 모두 기입 한후, 결과표 왼편에 있는 환산점수 산출표를 사용하여 원점수를 환산 점수로 전환한다. 이 환산 점수는 참조 집단에 근거하였으며 연령에 상관없이 모든 피험자에게 적용된다.
환산 점수 산출표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각 소검사별로 표의 맨 오른쪽이나 맨 왼쪽, 또는 중앙의 열에서 피험자의 원점수에 해당하는 환산점수를 찾는다. 산출된 환산 점수를 기록용지 표지에 있는 검사 점수 결과표의 각 소검사별 환산 점수란에 기입한다.
2. 환산 점수의 합산
기록 용지란에 언어성, 동작성, 전체 IQ를 기입하는 란이 있다. 언어성은 소검사 6종의 환산 점수를 합한 것이다. 동작성 검사의 점수는 5종의 동작성 검사의 환산 점수를 합한 것이며, 전체 검사 점수는 언어성과 동작성 점수를 합한 것이다.
모든 피험자에게 11개의 소검사가 모두 실시되어야 하지만 특정 검사 실시가 불가능하거나 검사 점수가 유용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언어성 검사 중 5개의 소검사만 실시되었거나, 동작성 검사 중 4개만이 실시 되었을 경우, 비례 배분에 의해서 환산 점수의 합을 구하고, IQ를 산출한다. 그러나 5개 미만의 언어성 검사나 4개 미만의 동작성 검사를 비례 배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언어성 검사의 경우, 실시된 5개의 소검사의 환산 점수의 합에 6/5를 곱하여 6개 검사에 대한 추정치를 구한다. 같은 방식으로, 동작성 검사는 4개 검사의 환산 점수의 합에 5/4를 곱하여 5개 검사에 대한 추정치를 구한다.
비례 배분에 의한 추정치를 환산 점수의 합 대신에 사용할 경우는 기록 용지에 “추정치”라고 표시하여 비례 배분에 의한 추정치임을 나타내야 한다.
3. IQ의 산출
<부록 Ⅰ>에는 언어성, 동작성, 전체 검사의 IQ의 산출표가 제시되어 있다. 이 표는 7개의 연령 집단 별로 구분되어 있다.
해당되는 연령 집단을 찾은 후, 언어성, 동작성, 전체 검사 환산 점수의 합에 해당하는 IQ 점수를 찾는다. 이를 기록 용지 표지의 해당란에 기입한다. <부록 1>의 IQ 산출표에는 IQ 45 이하나, 150 이상인 점수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해당하는 피험자에 대해서는 각각 “45이하” 또는 “150이상”이라고만 기록한다.
4. 프로파일의 작성
11개의 소검사의 환산 점수를 기록 용지 표지의 프로파일 란에 표시 할 수 있다. 검사자는 이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쉽게 피험자는 참조집단과 비교할 수 있다. 한편, <표 11>에는 15% 신뢰 수준에서 유의하기 위한 각 소검사간의 점수차가 제시되어 있다. 제 7장의 ‘나. 각 소검사간의 차이’를 참조하면 프로파일의 임상적 해석에 유용할 것이다.
검사자는 각 문항의 적절한 점수에 표시를 하고, 전체 원 점수를 얻기 위해 표시된 숫자를 합산한다. 검사자는 각 문항의 반응마다 각 문항의 P(pass), F(fail), 혹은 피검자의 실제 반응 등을 표시를 해야하는데 이는 문제를 실시했는지, 빠뜨린 것인지를 구분하기 위해서이다. 어휘문제, 이해문제, 공통성문제의 경우, 채점 후의 검토에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검사자는 피검자가 말한 그대로(verbatim)를 기록해야 한다. 적어도 피검자가 표현한 각각의 유의미한 생각(idea)이라도 기록해야 한다. 다음의 축약어들은 K-WAIS 실시 과정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Q(question)- 추가질문(검사자가 반응을 명료화하기 위해 질문을 했을 때)
DK-모른다(피검자가 “모른다”고 말하거나 응답에 대한 이해 부족을 표시했을 때)
INC-미완성(피검자가 시간제한이 있는 문항에서 제한시간내에 과제를 완수하지 못했을 때)
NR-무 반응(피검자가 말이나 행동으로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았을 때)
빠진 곳찾기 소검사에 쓰이는 축약어로 ‘p'와 ’px'가 있다. 이것은 각 문항에 대한 피검자의 반응을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피검자가 그림의 빠진 부분을 정확하게 지적했다면 ‘p'라고 쓰고, 엉뚱한 곳을 지적했다면 ’px'라고 쓴다.
9. 검사 실시에 필요한 준비물
다음 재료는 검사 도구에 포함된 것이다.
① 요강
② 기록 용지
③ 빠진곳찾기와 토막짜기 문제가 들어 있는 작은 수첩
④ 차례맞추기가 들어있는 수첩(각 문항마다 각각 다른 봉투에 담겨 있다)
⑤ 어휘문제가 인쇄된 카드
⑥ 토막짜기에 사용되는 9개의 빨강-흰색 토막이 들어있는 상자
⑦ 모양맞추기에 사용되는 조각들이 들어있는 4개의 상자
⑧ 모양맞추기의 배열도
⑨ 바꿔쓰기를 위한 점수판
이밖에 검사자가 특정 문항의 반응, 또는 토막짜기와 모양맞추기 수행의 세부사항을 기록할 경우, 기록 용지외에 더 많은 공간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이때는 보조 용지를 사용할 있다.
10. 검사자가 갖추어야 할 준비물
다음 재료는 검사자가 필요로 하는 것들이다.
① 초시계
② 바꿔쓰기에서 쓸 지우개 없는 연필 2자루
제 5장 환산 점수와 IQ의 산출방법
검사가 끝난 후, 피검사자의 원점수, 환산 점수, IQ를 산출하는 방법은 일정한 절차를 따른다. 환산 점수를 산출하는 절차는 단순하고 산술적이지만 실수를 하게 되면 엉뚱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절차는 정확하고 신중하게 행해져야 한다. 검사자는 아래 사항에 유의하여야 한다.:
1. 소검사의 각 문항마다 정확하고 분명하게 점수를 기록한다.
2. 기본 지식 문제, 어휘문제, 산수 문제의 경우, 시작점 이후로 일정한 문항을 맞추면 시작점 이전의 쉬운 문항은 맞춘 것으로 간주하여 채점한다.
3. 빠른 수행에 대한 가산 점수가 주어지는 문항은 기록 용지의 해당 점수란이나 본 요강 4장을 참조 채점한다.
4. 기록 용지 표지에 있는 검사 점수 결과표에 각 소검사의 원점수를 옮겨 적는다.
5. 검사일과 생년월일을 확인하여 피검자의 연령을 계산하다.
6. 환산 점수 산출표를 사용하여 각 소검사의 원점수를 환산점수로 전환하고 환산점수의 합계로 IQ를 산출한다.
1. 환산 점수 전환방법
기록 용지의 표지의 검사 점수 결과표에 각 소검사의 원점수를 모두 기입 한후, 결과표 왼편에 있는 환산점수 산출표를 사용하여 원점수를 환산 점수로 전환한다. 이 환산 점수는 참조 집단에 근거하였으며 연령에 상관없이 모든 피험자에게 적용된다.
환산 점수 산출표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각 소검사별로 표의 맨 오른쪽이나 맨 왼쪽, 또는 중앙의 열에서 피험자의 원점수에 해당하는 환산점수를 찾는다. 산출된 환산 점수를 기록용지 표지에 있는 검사 점수 결과표의 각 소검사별 환산 점수란에 기입한다.
2. 환산 점수의 합산
기록 용지란에 언어성, 동작성, 전체 IQ를 기입하는 란이 있다. 언어성은 소검사 6종의 환산 점수를 합한 것이다. 동작성 검사의 점수는 5종의 동작성 검사의 환산 점수를 합한 것이며, 전체 검사 점수는 언어성과 동작성 점수를 합한 것이다.
모든 피험자에게 11개의 소검사가 모두 실시되어야 하지만 특정 검사 실시가 불가능하거나 검사 점수가 유용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언어성 검사 중 5개의 소검사만 실시되었거나, 동작성 검사 중 4개만이 실시 되었을 경우, 비례 배분에 의해서 환산 점수의 합을 구하고, IQ를 산출한다. 그러나 5개 미만의 언어성 검사나 4개 미만의 동작성 검사를 비례 배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언어성 검사의 경우, 실시된 5개의 소검사의 환산 점수의 합에 6/5를 곱하여 6개 검사에 대한 추정치를 구한다. 같은 방식으로, 동작성 검사는 4개 검사의 환산 점수의 합에 5/4를 곱하여 5개 검사에 대한 추정치를 구한다.
비례 배분에 의한 추정치를 환산 점수의 합 대신에 사용할 경우는 기록 용지에 “추정치”라고 표시하여 비례 배분에 의한 추정치임을 나타내야 한다.
3. IQ의 산출
<부록 Ⅰ>에는 언어성, 동작성, 전체 검사의 IQ의 산출표가 제시되어 있다. 이 표는 7개의 연령 집단 별로 구분되어 있다.
해당되는 연령 집단을 찾은 후, 언어성, 동작성, 전체 검사 환산 점수의 합에 해당하는 IQ 점수를 찾는다. 이를 기록 용지 표지의 해당란에 기입한다. <부록 1>의 IQ 산출표에는 IQ 45 이하나, 150 이상인 점수는 제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해당하는 피험자에 대해서는 각각 “45이하” 또는 “150이상”이라고만 기록한다.
4. 프로파일의 작성
11개의 소검사의 환산 점수를 기록 용지 표지의 프로파일 란에 표시 할 수 있다. 검사자는 이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쉽게 피험자는 참조집단과 비교할 수 있다. 한편, <표 11>에는 15% 신뢰 수준에서 유의하기 위한 각 소검사간의 점수차가 제시되어 있다. 제 7장의 ‘나. 각 소검사간의 차이’를 참조하면 프로파일의 임상적 해석에 유용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인간발달단계와 교육이론
Piaget의 인지발달이론과 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의 이론 비교
[심리학개론] 다니엘 골먼의 EQ와 SQ이론(감성지능과 사회지능)
[심리학] 다니엘 골먼의 사회지능과 감성지능
교육현장에서의 다중지능 활용방안
다중지능이론(MI이론)의 개념, 다중지능이론(MI이론)의 특성과 배경, 다중지능이론(MI이론)의...
심리학적 원인론(청소년비행이론)
[방통대/아동발달]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 대하여 논하시오.
[교육심리학] 가드너와 콜버그의 이론과 교육적 시사점
인간과교육 3공통)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에 대한 고찰과 교육적 시사점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실존주의 교육관)을 비교...
지능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적 이슈를 기록하고 본인의 견해를 적으시오 [지능]
Piaget 인지발달이론 [피아제 이론 배경]
[지능이론] 길포드의 다차원적 기능구조 비네의 지능구조와 지능검사 서스톤의 기본정신능력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