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회로실험] 다이오드 응용 회로 - 정류기, 리미터 결과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자회로실험] 다이오드 응용 회로 - 정류기, 리미터 결과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① 반파 정류기
② 전파 정류기

③ 전파 정류기 출력의 필터링
<전체 실험 결과>
<실험 3-1. 무부하 실험(기준저항과 커패시터의 병렬 연결)>
<실험 3-2. 부하 실험(부하저항 추가)>
<실험 3-3. 무부하 실험(2번째 커패시터 추가)>
<실험 3-4. 부하 실험(2번째 커패시터와 부하 저항 추가)>

④ 바이어스된 2중 다이오드 리미터
<스위치 모두 열림 상태>
<스위치 S1, S2 중 하나만 닫힘 상태>
<스위치를 모두 닫고 직류 정전압원의 출력 증가>
<가변 저항을 조절하여 VFB와 VBG를 각각 최대로 하는 실험>

본문내용

실험에서의 경향성과 동일하나 그 진폭이 훨씬 커졌다. 블리더 저항기가 추가되었을 때 회로의 전압 변동률이 좋아진다는 이론에 부합하는 결과이다. 또한 회로에 커패시터가 1개 추가되었기 때문에 전압의 첨두치가 훨씬 작아졌다.
④ 바이어스된 2중 다이오드 리미터
<스위치 모두 열림 상태>
오른쪽 사진은 회로에서 다이오드가 연결된 두 스위치가 모두 열려 있는 상태의 출력 파형이다. 입력된 파형을 거의 그대로 측정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입력 파형과 출력 파형이 거의 동일하게 일치하는 것은 타당하다.
<스위치 S1, S2 중 하나만 닫힘 상태>
위의 두 사진은 각각 스위치 S1, S2를 하나씩만 닫았을 때의 출력 파형이다. 바이어스된 2중 다이오드 리미터에서 각각의 바이어스가 (+), (-)로 각각 제한되었음을 확인, 이론과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두 스위치를 모두 닫았을 때의 결과는 아래 세 사진 중에서 첫 번째 사진이다.
<스위치를 모두 닫고 직류 정전압원의 출력 증가>
다음의 세 사진들은 스위치 S1, S2를 모두 닫고, 직류 정전압원 VAA의 출력을 각각 1V, 2V, 3V로 조절해가며 경향성을 확인한 실험의 출력 파형이다. 왼쪽 위가 1V, 오른쪽 위가 2V, 아래쪽 사진이 3V의 출력 파형이다.
직류 정전압원의 출력 전압이 커질수록 출력 파형의 첨두치가 늘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바이어스 전압 크기와 출력 파형의 진폭의 크기는 비례한다는 이론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가변 저항을 조절하여 VFB와 VBG를 각각 최대로 하는 실험>
왼쪽 사진은 VFB=0V, VBG=1V 상태에서의 출력 파형이고, 오른쪽 사진은 VFB=1V, VBG=0V 상태에서의 출력 파형이다. 오른쪽 사진과 같이 출력 파형의 최대, 최소값을 나타낸 채로 사진을 찍어야 했는데 왼쪽 사진은 그러지 못해서 데이터가 소실되어 버렸다.
그러나 출력 파형의 기준축 위치가 비슷한데 비해 오른쪽 파형이 왼쪽에 비해 보다 더 위로 올라간 파형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파형의 변화 없이 기준전압 이상이나 이하로 파형을 옮기는 클램퍼 현상과 비슷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VFB=1V, VBG=0V 상태(과정 18)에서의 최대값이 1.44V, 최소값이 -560mV임을 토대로 추정하여 볼 때, VFB=0V, VBG=1V 상태(과정 17)에서의 최대값과 최소값은 각각 1.44V와 -560mV 이하가 될 것임을 추측해볼 수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0.02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54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