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고려시대 건축의 특성
Ⅲ. 고려시대 건축의 사원건축
Ⅳ. 고려시대 건축의 목조건축
Ⅴ. 고려시대 건축의 불사건축
1. 위치
2. 배치형식의 예
Ⅵ. 고려시대 건축의 공민왕릉
참고문헌
Ⅱ. 고려시대 건축의 특성
Ⅲ. 고려시대 건축의 사원건축
Ⅳ. 고려시대 건축의 목조건축
Ⅴ. 고려시대 건축의 불사건축
1. 위치
2. 배치형식의 예
Ⅵ. 고려시대 건축의 공민왕릉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쌍의 망주석이 있다. 두 번째 단에는 두 쌍의 문인상과 한 쌍의 돌등이 있고 세 번째 단에는 두 쌍의 무인상이 있다. 경사단의 아래에는 정자각이 있으며 능의 원찰인 광통보제선사의 탑과 비가 있다.
이 정자각은 전에 없어져 터만 있던 것을 최근에 새로 복구한 것이다. 무덤칸은 무덤 안길과 안칸으로 이루어진 외칸무덤이다. 안칸의 벽면은 잘 다듬은 화강석 판돌을 한 면에 하나씩 세워 만들었으며 천정은 3개의 판돌을 덮어서 평천정을 하였다. 동, 서, 북 세 벽면에는 공민왕이 그렸다고 전하는 12지신상 벽화가 각각 4상씩 배치되어 있다. 12지신상은 구름을 타고 손에 홀을 쥐었으며 머리에 관을 쓴 인물로 형상화하였다. 관 위에는 각기 자기 방위에 해당하는 동물의 머리가 그려져 있다. 천정에는 하늘을 상징한 해와 북두칠성, 그리고 한 쌍의 3성을 그렸다.
안 칸의 동벽에는 높이 43cm, 너비 38cm의 문을 새기고 그 밑에 방형의 구멍을 뚫어 정릉과 통함을 나타냈다. 공민왕릉의 건축과 설계에는 당시 고려 사람들이 도달했던 수학 및 천문지리, 석조 건축기술, 조형예술 수준이 종합적으로 집성되어 있다.
실로 공민왕릉은 지난 시기의 우리나라 역대 무덤건축과 석조 조각기술의 극치를 자랑하는 최대의 걸작으로 동양문화사에서 당당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성우(1988), 고구려 불사계획의 변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김동욱(2000), 한국건축의 역사
김동현, 한국 목조 건축의 기법
금흥곤(1978), 한국 고건축의 의장에 관한 연구 : 삼국시대 - 고려시대, 중앙대 박론
신영훈(1989), 사원건축, 대원사
이 정자각은 전에 없어져 터만 있던 것을 최근에 새로 복구한 것이다. 무덤칸은 무덤 안길과 안칸으로 이루어진 외칸무덤이다. 안칸의 벽면은 잘 다듬은 화강석 판돌을 한 면에 하나씩 세워 만들었으며 천정은 3개의 판돌을 덮어서 평천정을 하였다. 동, 서, 북 세 벽면에는 공민왕이 그렸다고 전하는 12지신상 벽화가 각각 4상씩 배치되어 있다. 12지신상은 구름을 타고 손에 홀을 쥐었으며 머리에 관을 쓴 인물로 형상화하였다. 관 위에는 각기 자기 방위에 해당하는 동물의 머리가 그려져 있다. 천정에는 하늘을 상징한 해와 북두칠성, 그리고 한 쌍의 3성을 그렸다.
안 칸의 동벽에는 높이 43cm, 너비 38cm의 문을 새기고 그 밑에 방형의 구멍을 뚫어 정릉과 통함을 나타냈다. 공민왕릉의 건축과 설계에는 당시 고려 사람들이 도달했던 수학 및 천문지리, 석조 건축기술, 조형예술 수준이 종합적으로 집성되어 있다.
실로 공민왕릉은 지난 시기의 우리나라 역대 무덤건축과 석조 조각기술의 극치를 자랑하는 최대의 걸작으로 동양문화사에서 당당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성우(1988), 고구려 불사계획의 변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김동욱(2000), 한국건축의 역사
김동현, 한국 목조 건축의 기법
금흥곤(1978), 한국 고건축의 의장에 관한 연구 : 삼국시대 - 고려시대, 중앙대 박론
신영훈(1989), 사원건축, 대원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