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성격유형
1) ISTJ - 세상의 소금형
2) ISTP - 백과 사전형
3. ESTP - 수완 좋은 활동가형
4. ESTJ - 사업가형
5. ISFJ - 임금 뒤편의 권력형
6. ISFP - 성인 군자형
7. ESFP - 사교적인 유형
8. ESFJ - 친선 도모형
9. INFJ - 예언자형
10. INFP - 잔다르크형
11. ENFP - 스파크형
12. ENFJ - 언변 능숙형
13. INTJ - 과학자형
14. INTP - 아이디어 뱅크형
15. ENTP - 발명가형
16. ENTJ - 지도자형
3. 나의 성격유형
4. 모순과 허점
2. 성격유형
1) ISTJ - 세상의 소금형
2) ISTP - 백과 사전형
3. ESTP - 수완 좋은 활동가형
4. ESTJ - 사업가형
5. ISFJ - 임금 뒤편의 권력형
6. ISFP - 성인 군자형
7. ESFP - 사교적인 유형
8. ESFJ - 친선 도모형
9. INFJ - 예언자형
10. INFP - 잔다르크형
11. ENFP - 스파크형
12. ENFJ - 언변 능숙형
13. INTJ - 과학자형
14. INTP - 아이디어 뱅크형
15. ENTP - 발명가형
16. ENTJ - 지도자형
3. 나의 성격유형
4. 모순과 허점
본문내용
오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또 다른 결과 해석 유형은 어떤 결과든 매우 그럴듯한 이야기를 풀어놓는 형식이다. 다시 말해, 누구에게나 어느 정도 적용될 법한 내용들을 기술해 놓는 것이다.
‘자신에게 너그럽고 다른 대외적인 책임감이 따르는 일은 열성을 가지고 일한다.’, ‘준비성이 철저하며, 참을성이 많고 타인을 잘 돕는다.’ 이런 식으로 말이다.
상식적인 내용이나 합리적인 이론적 가정들이 섞여 있을 수 있다. 그 때문에 더 믿고 싶은 마음을 부추기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은 그러한 것들을 미끼로 두고 제멋대로인 결론을 풀어놓거나 논리적 도약을 이루게 된다.
하나하나 따지고 볼 수는 없지만 종합하자면, MBTI는 \'신뢰있는 정보로 받아들일만한 경험적, 이론적 근거가 부족하다\'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5. 나의 생각
나는 나의 유형을 보고 “아! 그런가보다.”하고 생각했다.
너무 관심을 두지 말고, 오늘의 운세처럼 큰 고민 없이 가벼운 마음으로 즐기면 좋을 것 같다. 심리검사의 결과를 볼 때, 그에 관해 타당성이나 신뢰성에 대한 근거나 현실성을 따지는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보아야겠다. 직업을 추천했다고 해서 정말로 그 직업만 가야된다는 생각보다는 그 직업에 관해 한번 생각을 해 볼 정도의 관심만 두면 된다.
심리검사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존재하지 않는 허상에 가깝다.
그것을 인지함으로써 예민하게 반응하거나 곧이곧대로 받아들일 필요가 없다.
보기엔 그럴듯해 보이지만 객관성이나 타당성이 확인된 것은 아닌 것 같다. 다른 것들보다야 훨씬 합리적인 방식이겠지만 말이다.
비판적으로 접근하자면 이론적 근거를 갖추지 못하거나 또는 순전히 개발자의 머리에서 나온 가정들에 기초하여 개발된 것들이 대부분인 것 같다.
특히 정신분석 쪽에 기반을 둔 검사들은 연구방법론적으로 한계가 있었기에 타당화나 신뢰도를 얻기가 어려워 보인다. 정신분석적 \'상징\'을 가지고 결과를 해석하기 때문에 \'논리적 비약\'이 심하거나 \'비상식적인\' 해석도 많을 것 같다.
융의 이론에 바탕을 두어 접근하는 검사나 치료방식은 여전히 검증되었다고 말하기 어렵다. 일단 정신분석 관련 학파 중에서도 분석심리학은 더 비약적 논리를 가지고, 실증 자체를 스스로 더욱 어렵게 만들어버린 학파이기 때문이다. 논거가 사상의학보다 조금 나은 수준이다. 경험적 연구 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신뢰도나 타당도가 갖춰졌다고 보기 어렵다.
과도기를 밟고 있다고 봐야 할 것 같다.
또 다른 결과 해석 유형은 어떤 결과든 매우 그럴듯한 이야기를 풀어놓는 형식이다. 다시 말해, 누구에게나 어느 정도 적용될 법한 내용들을 기술해 놓는 것이다.
‘자신에게 너그럽고 다른 대외적인 책임감이 따르는 일은 열성을 가지고 일한다.’, ‘준비성이 철저하며, 참을성이 많고 타인을 잘 돕는다.’ 이런 식으로 말이다.
상식적인 내용이나 합리적인 이론적 가정들이 섞여 있을 수 있다. 그 때문에 더 믿고 싶은 마음을 부추기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은 그러한 것들을 미끼로 두고 제멋대로인 결론을 풀어놓거나 논리적 도약을 이루게 된다.
하나하나 따지고 볼 수는 없지만 종합하자면, MBTI는 \'신뢰있는 정보로 받아들일만한 경험적, 이론적 근거가 부족하다\'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5. 나의 생각
나는 나의 유형을 보고 “아! 그런가보다.”하고 생각했다.
너무 관심을 두지 말고, 오늘의 운세처럼 큰 고민 없이 가벼운 마음으로 즐기면 좋을 것 같다. 심리검사의 결과를 볼 때, 그에 관해 타당성이나 신뢰성에 대한 근거나 현실성을 따지는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보아야겠다. 직업을 추천했다고 해서 정말로 그 직업만 가야된다는 생각보다는 그 직업에 관해 한번 생각을 해 볼 정도의 관심만 두면 된다.
심리검사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존재하지 않는 허상에 가깝다.
그것을 인지함으로써 예민하게 반응하거나 곧이곧대로 받아들일 필요가 없다.
보기엔 그럴듯해 보이지만 객관성이나 타당성이 확인된 것은 아닌 것 같다. 다른 것들보다야 훨씬 합리적인 방식이겠지만 말이다.
비판적으로 접근하자면 이론적 근거를 갖추지 못하거나 또는 순전히 개발자의 머리에서 나온 가정들에 기초하여 개발된 것들이 대부분인 것 같다.
특히 정신분석 쪽에 기반을 둔 검사들은 연구방법론적으로 한계가 있었기에 타당화나 신뢰도를 얻기가 어려워 보인다. 정신분석적 \'상징\'을 가지고 결과를 해석하기 때문에 \'논리적 비약\'이 심하거나 \'비상식적인\' 해석도 많을 것 같다.
융의 이론에 바탕을 두어 접근하는 검사나 치료방식은 여전히 검증되었다고 말하기 어렵다. 일단 정신분석 관련 학파 중에서도 분석심리학은 더 비약적 논리를 가지고, 실증 자체를 스스로 더욱 어렵게 만들어버린 학파이기 때문이다. 논거가 사상의학보다 조금 나은 수준이다. 경험적 연구 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신뢰도나 타당도가 갖춰졌다고 보기 어렵다.
과도기를 밟고 있다고 봐야 할 것 같다.
키워드
추천자료
발달심리학의 4가지모델에 대하여
동서양의 이해- 전통적 요소의 현대적 재해석에 대하여 우리 주변에서 볼수 있는 3~4가지 예...
[MBTI][성격유형검사][4가지 선호유형][16가지 성격유형]MBTI(성격유형검사)의 발달과정과 4...
성격이론의 4가지 접근법 유형을 상호비교하라.,정신 역동적 접근법,특성 접근법,현상학적 접...
MBTI 성격유형검사와 4가지선호지표별 16가지 성격유형 설명 PPT 발표자료
(금융제도론B형)국내외 금융환경 변화의 특성(4가지 기준)을 설명하고, 우리나라 금융환경의 ...
신용장 거래의 특징 및 한계성 - 신용장거래의 성격격에서 신용장거래의 특징 4가지를 설명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