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전공 필수용어 75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일대일 마케팅 (one to one marketing)․․․․․․․․․․․․․․․․․․․․․․․․․․․․․1
2. 모바일 마케팅(mobile marketing)․․․․․․․․․․․․․․․․․․․․․․․․․․․․․․․․․1
3. 퍼미션 마케팅(Permission Marketing)․․․․․․․․․․․․․․․․․․․․․․․․․․․․․․2
4. 상호작용 마케팅(interactive marketing)․․․․․․․․․․․․․․․․․․․․․․․․․․2
5. 관계 마케팅(relationship marketing)․․․․․․․․․․․․․․․․․․․․․․․․․․․․․․3
6. Mass Customization (고객 맞춤화)․․․․․․․․․․․․․․․․․․․․․․․․․․․․․․4
7. BtoB 거래와 BtoC 거래․․․․․․․․․․․․․․․․․․․․․․․․․․․․․․․․․․․․․․4
8. click & mortar (인터넷 기업 + 전통기업)․․․․․․․․․․․․․․․․․․․․․․․․․․․5
9. 역경매 (reverse auction)․․․․․․․․․․․․․․․․․․․․․․․․․․․․․․․․․․․․․․․5
10. SPA(Specialty store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6

11. 아울렛 몰 (outlet mall)․․․․․․․․․․․․․․․․․․․․․․․․․․․․․․․․․․․․․․․7
12. 킬러, 테넌트(killer, tenant)․․․․․․․․․․․․․․․․․․․․․․․․․․․․․․․․․․․․․7
13. 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7
14. CSS(Credit Scoring System)․․․․․․․․․․․․․․․․․․․․․․․․․․․․․․․․․․․8
15. Seeds & needs․․․․․․․․․․․․․․․․․․․․․․․․․․․․․․․․․․․․․․․․․․8
16. Prosumer & Consumer․․․․․․․․․․․․․․․․&#

본문내용

적인 차이점도 존재하지 않는다. 법률은 브랜드와 브랜딩 과정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그리고 제품 혹은 서비스 영역에서 브랜드를 구체적으로 이해하는데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경제학적 관점에서는 유·무형에 따라 제품을 재화(goods)로 그리고 서비스를 용역(service)으로 명명하고 있는데, 지배적 견해로는 재화와 용역을 물질적 재화와 비물질적 재화로 규정하여 양자간의 차이는 서비스(용역)가 재화의 형태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다. 비록 제품 분야에서보다 서비스 분야에서 브랜드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것이 훨씬 더 어려운 것이 사실이지만 아직도 서비스 분야에서는 브랜드에 대한 욕구 및 브랜딩 진화의 새로운 기회들이 많이 남아있다.
서비스 분야의 경우 선택의 폭이 넓고, 서비스와 서비스 제품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다른 요소들과 연계되어 있으며, 서비스의 기본 구조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인하여 소비자들이 대안들간의 경계를 충분히 식별할 수 없다. 즉,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소들이 연계되어 하나의 서비스 제품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금융시장의 자산관리에는 정부채권, 은행, 증권시장, 그리고 유형자산투자 등 다양한 수단들이 존재하는데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전문가적 견해가 없기 때문에 오로지 육감, 조언, 습관 등에 의해 의사결정을 하고 있다. 따라서, 금융시장에 있어서도 브랜딩은 특성이 없고 혼란스러운 구매환경에 형태와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소비자들을 유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기업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반면 소비자들에게는 복잡한 시장환경에서 확신감을 가지고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질적으로, 서비스 브랜드는 "허쯔(Hertz)", "클럽 메드(Club Med)", "힐튼(Hilton)", "매리어트(Marriott)" 그리고 "하바드(Harvard)" 등과 같이 무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상에 붙여진 이름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대부분의 경우 기업 브랜드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언급한 예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각각의 서비스 브랜드는 무형이지만 자료처리, 레져활동, 호텔 혹은 고등교육 등과 같은 한정된 서비스 형태를 취하는 일련의 구체적인 속성들을 식별할 수 있게 한다. 현재 몇몇 서비스 분야는 이미 브랜드 시대에 접어들어 치열한 경쟁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무형의 서비스를 어떻게 브랜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제시해 주고 있다.
은행 산업이 하나의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는데, 만약 누군가에게 어떤 은행 브랜드를 알고 있는지 질문하면 아마도 의구심을 품거나 혼란스러워 할 것이다. 사람들 대부분이 은행의 이름은 알고 있어도 은행의 브랜드가 무엇인지를 모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은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 이유는 대중에게 있어 은행의 이름은 구체적 서비스를 식별하는 브랜드이기 보다는 단지 기업명 혹은 어떤 장소를 나타내는 표시로만 인식되기 때문이다. 은행의 이름이 소유주의 이름(예: Morgan, Barclay's)이나 구체적인 지역(예: Midland Bank, 서울은행, 대구은행) 혹은 목표고객(예: City Bank, 기업은행) 등에 맞춰져 있는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서비스 브랜드에서도 브랜딩의 일환으로 이름의 축약된 형태인 두문자어 브랜드(acronym brand) 혹은 이니셜 브랜드(initial brand)가 출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조업에서 General Electric이 GE로, General Motors가 GM으로 축약되듯이 서비스업에서도 "Banque Nationale de Paris"가 "BNP"로, "National Westminster"는 "NatWest"로, "Korea Telecom(한국통신)"이 "KT"로 그리고 "대한투자신탁"이 "대투" 등으로 불려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기억용이성이라는 광고원칙에 입각하여 이름을 더욱 단순화시키려는 의도라고 입장을 표명한다. 물론 짧은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기억하기에는 쉽지만 이러한 아이디어는 브랜딩과 커뮤니케이션에 어느 정도 한계점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금융업의 경우 일부 기업은 지역적인 은행들인데 이들의 이름은 그 동안 구체적인 지역을 독점적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다시 말해서, 이들 은행들은 기본적으로 장소와 사람의 관점에서 인식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들은 엄밀히 말해서 시공을 초월하여 한정된 현실을 적절하게 나타내는 이름들이었다.
반면 브랜드는 일시적이거나 지역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일련의 속성들을 식별해 주는 기능을 하며 장기적인 차별성을 약속한다. 특히, 업무의 지역적 범위가 세계로 확대되면서 지역에 국한된 이름은 이러한 브랜드의 기능에 하나의 제약으로 작용하였다. 브랜드 축약 현상은 이러한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다. 비록 그것이 명사이지만 어떻게 서비스 브랜드가 변형되어 왔는지, 어떤 속성들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가치들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지를 설명하는 형용사와 동사로서의 기능을 한다.
즉, 축약된 은행명은 사람과 장소 대신에 고객과의 구체적인 관계를 대표하게 되는 것이다. 은행들은 구체적인 관계를 가시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업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시적이고 모방하기 용이한 수단은 브랜딩의 올바른 방향성을 설명하고 정당화시킬 수 없기 때문에 단순한 외적 표현에 지나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차별화의 핵심 즉, 브랜드의 후원 하에 고객과 은행간의 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서비스 브랜드는 무형성이라는 독특한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자신만의 이미지를 창출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슬로건이 사용되고 있는데, 슬로건은 내부적 그리고 외부적 관계를 설정하는 하나의 원칙이라고 할 수 있다. 브랜드는 슬로건을 통해 행동지침을 규정하며 이러한 행동지침은 브랜드가 슬로건을 위반할 경우 고객들이 불만족할 수 있는 권리를 함께 제공한다. 결국, 서비스 산업에서 브랜드란 차별화를 통해 고객과의 관계를 끊임없이 발전시켜 나가는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53페이지
  • 등록일2011.10.04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59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