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blical Archaeology] 성경고고학 과제물 (Assignments and Midterm Exam)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Biblical Archaeology] 성경고고학 과제물 (Assignments and Midterm Exam)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1st Assignment………………… 03
 학습을 위한 질문 ………………… 03

Ⅱ. 2nd Assignment ………………… 05
 질문 ………………… 05

Ⅲ. Midterm Exam ………………… 07

성서 고고학 중간 테스트 (01 ~ 23)

본문내용

왕조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면, 처음 두 가지 특징이 갖는 종교적 의미는 무엇인가?
답. 고왕국 시기 동안 고대 이집트의 왕권은 크게 신장되어 파라오의 중앙집권적인 전제군주의 힘이 강화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이집트 제 4왕조가 남긴 수많은 유적들, 특히 쿠푸의 대피라미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정신적인 면에서도 왕의 위치는 신과 동격으로 격상되어, 초기에는 호루스의 화신으로, 이집트 제5왕조부터는 태양신 레의 아들로 숭배되었다.
13. 기원전 2650-2152년 (고왕국 3-6왕조)시대에 이집트 정치형태는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그리고 그 결과 기원전 2150-1986년 (첫 중간기 7-11왕조)시대 초기에 나타난 사회적 변화상태 (내적, 외적)는 어떤 것들이었는가(참고, 47-48페이지)?
답. 5왕조에서 시작된 지방 분권화는 6왕조에서도 계속되었고, 지방의 권력이 강화되자 중앙정부는 귀족들의 독립을 억제하지 못했고, 결국 정부의 혼란과 사회 계급 제도의 와해 피라미드를 비롯한 무덤의 약탈, 외국 무역의 격감, 밀려들어온 아시아인들의 침략으로 말미암아 고왕국 시대는 종말을 고하였다.
이러한 영향은 첫 중간기 시대의 사람들에게 번영과 안정이라는 과거 이집트의 가치가 무너지고 절망과 쾌락주의, 냉소주의가 만연하게 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종교적인 각성 운동도 일어났다.
14. 이집트 중왕국 12왕조 시대 (1937-1759)의 경제적, 지리적, 외교적 측면은 어떠했는지 간략히 기술하라 (참고, 49페이지).
답. 기원전 2050년경 남쪽의 테베가 승리하여 중왕국 시대가 시작되었으며, 12왕조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중왕국 12왕조 시대의 파라오들은 대규모 관개 사업을 버려 새로운 농경지를 확보했으며, 부비아를 정복했고, 남쪽 지역과 페니키아의 무역을 재개하였다. 팔레스타인과 시리아는 이집트의 문화적 지배를 받고 있었지만 정치적 지배권을 행사하지는 못하였다.
15. 아시아인들로 취급받는 힉소스족은 이집트의 두 번째 중간 시대 1696-1525 (13-17 왕조)에 이집트의 나일강 하류에 정치적 입지를 확보하게 되는데, 이들이 이집트에 소개한 문화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참고, 50페이지 창 41:41-43).
답. 힉소스인들 이집트에 소개한 것은 말과 전차, 조합식 칼, 갑옷 땅을 다져 세운 방형의 요새 등이다.
16. 이집트의 신왕국 18왕조 (1539-1295)는 힉소스와 소수민족들의 통치를 무력화시킨 왕조이며, 이집트의 19왕조 (1295-1186)는 해양민족의 침입을 받아 약해진 왕조이다. 그러면 이 신왕국 시대에 일어난 중요한 성서적 사건은 무엇인가?
답. 이스라엘이 출애굽이 있던 시대(람세스2세).
17. 기원전 1069-656년제 3차 중간시대 (21-25왕조)에 이집트를 서쪽에서, 남쪽에서, 북쪽에서 이집트를 침입해 들어온 민족들은 누구인가? (참고, 51-52페이지 나훔 3:8-10)
답. 서쪽은 리비아고, 남쪽은 구스인 들이며, 북쪽은 앗시리아다.
18. 이집트의 21왕조 (1069-945) 파라오 시아문 (Siamun, 978-959)과 솔로몬 사이에 있었던 사건을 설명하라 (참고, 51, 53페이지 왕상 9:15-19; 참고, 왕상 7:8). 블레셋 지역(“게제르”도 이 지역에 속함)에 대한 이집트의 영향력은 솔로몬 시대에도 여전하였다. 또 솔로몬은 이집트 건축양식을 빌어 정략 결혼한 아내, 바로의 공주를 위해 별궁을 지었다 (왕상 3:1대하 8:11; See David M. Rohl, Pharaohs and Kings. New York: Crown Publishers, Inc. 1995, pp. 181ff.)
답. 이집트의 시아문은 다윗이 죽은 후 게셀을 점령한다. 하지만 솔로몬의 강력한 군사력에 직면하게 되자 그의 딸을 결혼 선물로 주고 물러났다(결혼 동맹을 맺음).
19. 이집트 22왕조 (945-715, 리비아인들이 세운 왕조)의 세숑크 1세 (성경의 Shishak
945-924)와 솔로몬의 아들 르호보암 왕 사이에 있었던 사건을 설명하라 (참고, 대하
12:2-4, 왕하 11:40).
답. 예루살렘을 침략하여 많은 재화를 약탈하고 그것을 기념하여 카르낙에 비문을 새겼다.
20. 이집트 24왕조 (테프나크트에 의해 727-720년 나일강 삼각주 사이스 [Sais]에 세워진 작은 왕조)와 이스라엘의 마지막 왕 호세아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참고, 왕하 17:1-6).
답. 호세통치 9년에 앗시리아 왕 살만에셀이 올라와서 공격하자, 호세아는 앗시리아에 조공을 바치지 않고, 애굽왕 소(사이스)에게 조공을 드렸다. 그 결과 사마리아성이 함락되고 성 안 사람들은 앗시리아 제국 여러 지역에 흩어짐을 당하였다.
21. 이집트 25왕조 (780-656) 구스왕 디르하카 (690-664?)와 히스기야 왕과의 관계는 어떠했는가? (참고, 52-54페이지 왕하 18:21, 24; 19:9).
답. 히스기야 왕은 기원전 701년에 앗시리아의 산혜립 왕과 전쟁을 하였으나 패배하였다. 두 번째 전쟁에서 이집트 25왕조에게 도움을 청하였으나 하나님의 기적적인 개입으로 앗시리아는 물러 가게 되었다.
22. 이집트 후기시대 26왕조 (느고 1세의 아들 삼메티쿠스 1세에 의해 사이스에 세워진 작은 왕조 715-525)의 느고 2세 (Necho II, 610-595)와 유다의 요시야 왕과의 관계는 어떠했는가? (참고, 54페이지 왕하 23:29-30)
답. 므깃도 전투에서 유다의 요시야 왕을 살해했다(왕하 23:29).
23. 이집트 26왕조 아프리에스(589-570; 느고 2세의 후손, 성서의 호프라, 렘44:30) 시대에 유다 잔민들이 도피하여 거하려고 했던지역과 이에 대한 예레미야의 예언은 어떠했는가? (참고, 52, 54페이지 렘 44:1-30).
답. 호브라는 유다의 마지막 왕 시드기야와 동맹을 체결했지만, 하나님께서는 선지자 예례미야를 통해 이 동맹이 하나님으로부터 나온 것이 아님을 밝힘과 함께 유다와 시드기야는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에게 멸망을 당하고, 애굽 왕 호브라 역시 그 왕국을 노리는 적들의 손에 멸망당할 것을 예언하였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10.06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61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