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지식관리시스템
Ⅰ. 지식관리시스템의 개요
1. 지식관리시스템의 개념
2. 지식관리시스템의 분류
3. 지식관리시스템의 구성
Ⅱ. 기존 정보시스템과 지식관리시스템의 차이
Ⅰ. 지식관리시스템의 개요
1. 지식관리시스템의 개념
2. 지식관리시스템의 분류
3. 지식관리시스템의 구성
Ⅱ. 기존 정보시스템과 지식관리시스템의 차이
본문내용
지식의 저장 및 관리를 각각 담당한다.
지식관리시스템의 구성요소
지식관리는 일반적인 정보관리(Information Management)와 어떻게 다른가는 다음 표를 통해 알 수 있다.
지식관리와 정보관리의 차이점
II. 기존 정보시스템과 지식관리시스템의 차이
기존의 정보시스템은 대부분이 대규모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거래처리 중심의 DPS(Data Processing System)이거나, 일상적, 반복적인 보고서 제공 기능 중심의 MIS(Management Information System)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자동화된 처리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수작업 처리에 비해 괄목할만한 업무생산성의 향상을 가지고 왔다. 후에 발달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DSS : Decison Support Systems)이나 전문가시스템(ES : Expert Systems), 임원 정보시스템(EIS : Executive Information Systems)등은 특정업무영역에 대한 모델을 기반으로
반 구조적 성격의 문제해결을 위한 데이터의 결합 및 분석을 주 기능으로 하
는 정보시스템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지식관리시스템은 이러한 기존 정보시스템들과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컴퓨터상에 저장된 데이터나 정보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조직 내에 분산되어 있는 지식을 효과적으로 저장 및 관리하게 할 수 있는 통합된 개념의 정보시스템이다. 또한 지식관리시스템의 사용자들은 단순히 데이터나 정보를 입력, 조회 또는 출력을 하는 소극적 역할이 아니라 자신의 업무경험에 바탕한 지속적인 업무지식의 창출(지식근로자), 효과적인 지식관리시스템의 설계 및 운용(지식관리자), 그리고 전사적인 지식기반경영의 비전 및 전략수립(최고지식관리자)등에 있어서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가장 이상적인 지식관리시스템은 어느 특정 IT를 통해서 구현되기보다는 현재 시스템을 지식관리라는 개념에 맞게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지식관리시스템은 조직내 정보계 시스템뿐만 아니라 조직이나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기간계 시스템 또는 ERP라든지 워크플로우와 같은 IT들과 통합된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그래서 실제 업무를 처리하는 시스템이 바로 지식관리시스템이 되고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지식근로자가 되는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고 이상적인 형태의 지식관리시스템이 되는 것이다.
지식관리시스템의 구성요소
지식관리는 일반적인 정보관리(Information Management)와 어떻게 다른가는 다음 표를 통해 알 수 있다.
지식관리와 정보관리의 차이점
II. 기존 정보시스템과 지식관리시스템의 차이
기존의 정보시스템은 대부분이 대규모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거래처리 중심의 DPS(Data Processing System)이거나, 일상적, 반복적인 보고서 제공 기능 중심의 MIS(Management Information System)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자동화된 처리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수작업 처리에 비해 괄목할만한 업무생산성의 향상을 가지고 왔다. 후에 발달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DSS : Decison Support Systems)이나 전문가시스템(ES : Expert Systems), 임원 정보시스템(EIS : Executive Information Systems)등은 특정업무영역에 대한 모델을 기반으로
반 구조적 성격의 문제해결을 위한 데이터의 결합 및 분석을 주 기능으로 하
는 정보시스템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지식관리시스템은 이러한 기존 정보시스템들과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컴퓨터상에 저장된 데이터나 정보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조직 내에 분산되어 있는 지식을 효과적으로 저장 및 관리하게 할 수 있는 통합된 개념의 정보시스템이다. 또한 지식관리시스템의 사용자들은 단순히 데이터나 정보를 입력, 조회 또는 출력을 하는 소극적 역할이 아니라 자신의 업무경험에 바탕한 지속적인 업무지식의 창출(지식근로자), 효과적인 지식관리시스템의 설계 및 운용(지식관리자), 그리고 전사적인 지식기반경영의 비전 및 전략수립(최고지식관리자)등에 있어서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가장 이상적인 지식관리시스템은 어느 특정 IT를 통해서 구현되기보다는 현재 시스템을 지식관리라는 개념에 맞게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지식관리시스템은 조직내 정보계 시스템뿐만 아니라 조직이나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기간계 시스템 또는 ERP라든지 워크플로우와 같은 IT들과 통합된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그래서 실제 업무를 처리하는 시스템이 바로 지식관리시스템이 되고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지식근로자가 되는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고 이상적인 형태의 지식관리시스템이 되는 것이다.
추천자료
[경영지원시스템] 정보보고시스템(IRS), 의사결정지원시스템(DSS), 중역정보시스템(EIS)의 개...
고객관계관리(CRM)의 개념과 ERP와의 관계, 프로세스와 목적관점의 CRM 및 e-CRM
[운영지원시스템] 거래처리시스템(TPS), 프로세스통제시스템, 그룹지원시스템의 개념과 특징
제품설계 프로세스
보호정책의 동향(보호정책비용과 편익, 신보호무역주의)과 무역정책의 수단(관세장벽 및 비관...
[TV광고] 텔레비전광고(TV광고의 종류와 텔레비전광고기획 및 집행)
[글로벌기업의 법률적 환경] 법률환경의 성격(개념, 구성체계)
[기업의 국제화] 기업의 국제화 동기, 기업의 해외진출 형태, 기업의 국제화과정
[글로벌기업의 경영조직] 글로벌 네트워크조직의 구축(전개와 특징)
[글로벌기업 경영조직구조의 발전] 글로벌기업(국제기업)의 조직구조 발전과정과 유형, 조직...
[지휘와 리더십] 지휘의 원칙과 리더십의 원천, 리더십 이론(특성이론, 행동이론, 상황이론)
해외직접투자가 투자국과 피투자국에 미치는 영향 - 해외직접투자의 투자국과 피투자국에 미...
[글로벌기업의 정치적환경] 글로벌기업 정치적 위험의 관리(정치적위험의 예측과 관리절차, ...
[매체기획과 전략] 매체의 최근경향,매체기획과 목표,매체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