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OR모형] SCOR 모형의 개요와 발전, 특징, 구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SCOR모형의 이해

Ⅰ. SCOR모형의 개요

Ⅱ. SCOR모형의 발전과 특징

Ⅲ. SCOR모형의 구조

Ⅳ. 프로세스 참조모형과 생산유형

본문내용

) 용어와 비즈니스 프로세스가 표준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ERP와 같은 정보시스템 패키지의 도입 시에 도움이 되고, 각 사용자들의 패키지에 대한 이해와 활용 능력이 향상되며, 패키지를 활용한 추가 업무 개선도 용이해진다.
(4) SCOR모형이 계속 발전되면 이러한 참조 모형에 기반하여 해당 기업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서, 프로세스의 문제점이나 장점 그리고 개선안 등을 도출시킬 수 있기 때문U1 그에 대한 대책이 용이해진다.
(5) 표준 비즈니스 프로세스마다 제각기 지향해야 할 자세나 개선안을 기반으로 하여 개별 기업을 뛰어넘어 전체 공급사슬에 걸쳐 논의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에 의해서 베스트 프랙티스가 축적됨과 동시에 공유된다.
(6) 이와 같은 표준 비즈니스 프로세스별 개선안이나 노하우를 축적함으로써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이점들을 바탕으로 방법론의 표준화 그리고 공급사슬관리와 관련된 베스트 프랙티스의 축적 그리고 프로세스 개선이나 공급사슬 구조 개선 사례들의 증가 등이 점차 가속화되면 SCOR모형의 표준화 효과는 점차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III. SC0R 모형의 구조
SCOR 모형의 구조는 3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계층 1은 전략적 성과 계층이다. 공급사슬(계획, 조달, 생산, 유통 프로세스) 전반의 효과성을 측정하며 개선 목표가 설정된다.
기업이 모든 계층 1 성과지표에 대해 최근수를 추구할 필요는 없다. 대개 기업은 하나 내지 두 가지의 핵심 공급사슬 프로세스에 대해 최우수 수준의 성과를 추구하며, 나머지는 평균 내지 우수 수준 정도의 성과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계층 2는 공급사슬의 구성 계층이다. 이 계층에서는 기업이 계획, 조달, 생산, 유통하는 제품의 유형을 고려하여 공급사슬을 구성하게 된다. 공급사슬은 계층 1에서 설정된 전락적인 목표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공급사슬의 구성을 위해 1부 2장에서 살펴본 생산 유형을 재점검하고, 필요시 최적의 생산 유형을 구현할 계획을 수립하고, 생산 유형별로 정의된 프로세스 카테고리를 활용하게 된다. 그리고 공급망과 유통망을 포함하는 전체 공급사슬의 구조를 포함하여 To-Be 프로세스 카테고리를 작성한다.
계층 3은 프로세스 요소(Element) 계층이다. 이 계층에서는 계층 2에서 구성된 공급사슬의 프로세스 카테고리별로 하위 프로세스 절차와 요소를 정의한다. 그리고 생산/구매방식, 세부적인 조달계획의 수립, 공급자에 대한 계약관리, 검품, 제품의 생산/테스트 방법, 기술관리, 예측, 고객 주문관리 등 세부적인 실행전략을 구성하게 된다.
네 번째 계층은 공급사슬 변화의 실행단계인데 SCOR 모형에는 포함되지 않고, 세 개의 계층에서 수립한 실행전략에 맞추어 실행을 하는 행동이다.
SCOR모형의 구조 및 공급사슬관리 수행절차
IV. 프로세스 참조모형(Process Reference Model)과 생산 유형
SCOR 모형은 프로세스 참조모형(Process Reference Model)이다. 프로세스 참조모형이란 기존의 기업 경영혁신(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벤치마킹(Benchmarking), 그리고 우수한 기업의 업무 관행(Best Practices) 분석의 개념을 하나로 통합한 모형을 의미한다.
기업 경영혁신(BPR)은 1990년에 마이클 해머(Michael Hammer)가 Harvard Business Review에서 주장한 기법인데, 업무수행 전 과정을 백지에서 생각하여 고객에게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핵심 프로세스를 파악하고 근본적(fundamental)이면서도 급진적(Radical)으로 재설계하는 기법이다. 이것은 공급사슬의 AS-IS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TO-BE 프로세스를 도출하는데 활용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벤치마킹(Benchmarking)은 특정 산업 내에서 우수한 기업을 찾아 해당
기업과의 성과 차이를 확인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여, 해당 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기법이다. 즉, 유사 기업의 운영성과를 계량화하고 산업 내
최우수(Best-in-Class) 기업을 기준으로 자사의 목표를 설정하는데 활용하는 방법이다. 본래 벤치마크(Benchmark)는 기업이 목표달성을 위해 설정하는 측정 기준을 의미한다.
그리고 우수한 기업의 업무 관행(Best Practices) 분석은 산업 내 최우수(Best-in-class)성과를 가져온 경영전략, 업무 프로세스, 경영 기법, 정보 시스템 등의 솔루션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프로세스 참조모형은 이들 방법을 하나로 통합하고 프로세스 요소, 성과지표, 우수한 기업의 업무 관행(Best Practice) 등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모형의 적용성을 높인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SCOR 모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계층 2의 프로세스 카테고리와 계층 3의 프로세스 요소를 활용하여 현재와 장래의 공급사슬을 구성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프로세스 참조모형의 개념
기업의 생산전략에 따라 생산 유형은 일반적으로 계획생산형(MTS: Make-to-Stock), 주문생산형(MTO: Make-to-Order), 주문조립형(ATO: Assemble-to-Order), 주문설계형(ETO: Engineer-to-Order) 등으로 구분된다.
이들 생산 유형에 따라 조달, 생산, 유통 등 공급사슬 프로세스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SCOR 모형에서는 이들 생산 유형별로 프로세스 카테고리를 정의하고 있다. 또한 카테고리별로 표준적인 프로세스 절차와 요소를 제시하고 있다.
생산 유형과 특징
유형
특징
계획생산형
주로 수요예측(실제 고객주문이 아닌)에 따라 생산하며, 즉각적인 조달이 필수적이므로 완제품 형태로 재고를 유지
주문생산형
완제품 재고를 거의 보유하지 않고 고객의 주문을 받은 후에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
주문조립형
재고 생산과 주문생산 방식의 중간 형태로 중간제품이나 주요 부품의 형태로 재고를 보유하고 있다가 고객의 주문이 있으면 이들을 완제품으로 조립하는 방식
주문설계형
고객이 주문하는 사양에 근거하여 새롭게 제품을 설계, 생산하는 방식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10.07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64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