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량][다리][강성 선정][진동수 측정][계측시스템]교량(다리)의 종류, 교량(다리)의 사용재료, 교량(다리)의 강성 선정, 교량(다리)의 진동수 측정, 교량(다리)의 계측시스템, 교량(다리)의 사고 사례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량][다리][강성 선정][진동수 측정][계측시스템]교량(다리)의 종류, 교량(다리)의 사용재료, 교량(다리)의 강성 선정, 교량(다리)의 진동수 측정, 교량(다리)의 계측시스템, 교량(다리)의 사고 사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교량(다리)의 종류

Ⅲ. 교량(다리)의 사용재료
1. 콘크리트
2. 철근

Ⅳ. 교량(다리)의 강성 선정

Ⅴ. 교량(다리)의 진동수 측정
1. 차량이 통과할 때의 교량의 진동
2. 교량공학에서의 진동

Ⅵ. 교량(다리)의 계측시스템

Ⅶ. 교량(다리)의 사고 사례
1. 교량명
2. 시설물 위치
3. 시설물 형식 및 제원
1) 형식
2) 총길이
3) 교량 높이
4) 차선수
5) 준공
4. 사고일시
5. 피해정도
6. 손상내용
7. 사고원인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정과 같은 조치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통신 관련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신뢰도, 유연성, 확장성이 크게 향상된다.
Ⅶ. 교량(다리)의 사고 사례
1. 교량명
쇼하리 강(Schoharie Creek) 교량
2. 시설물 위치
미국 뉴욕 주 쇼하리 강
3. 시설물 형식 및 제원
1) 형식
5개의 단순경간
2) 총길이
165m
3) 교량 높이
하상으로부터 24m
4) 차선수
양방향 각기 2개 차선
5) 준공
1953년
4. 사고일시
1987. 4. 5.
5. 피해정도
사망 10명, 차량 5대(승용차 4대, 트럭 1대) 손실
6. 손상내용
교량붕괴
7. 사고원인
교각의 세굴
쇼하리 강(Schoharie Creek) 교량은 1953년 쇼하리 강을 가로 지르도록 건설되었다. 그러나 이 교량은 1987년 4월 5일에 발생한 홍수에 의하여 갑자기 붕괴되었다. 그 결과 10명이 사망하고, 승용차 4대, 트럭 1대의 손실이 있었다. 이로 인한 일부 고속도로 구간의 갑작스런 변경으로 강 양측의 업무활동에 방해가 야기되었고,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붕괴사실에 초점이 모아졌다.
붕괴원인조사에서 붕괴의 주 원인은 교각의 세굴이었음이 확인되었다. 쇼하리 강 교량에서는 세굴에 대한 일차적인 대책으로 사석(Dry Rip-Rap)을 사용하였다. 이것은 홍수 시 굴러가지 않도록 직사각형 모양의 큰 원석(Field Quarry Stones)으로 되어 있었다. 교각 플린스(Plinths)에 수직 균열들이 발견되었던 1955년 초에 문제점이 발생했다. 더 이상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1957년 각 플린스(Plinth) 상부에 두께 0.9m의 철근 콘크리트를 쳤다. 1983년과 1986년에 점검을 실시하였지만 1986년도의 점검은 수위가 높아 교각 하부의 상세한 점검을 할 수가 없었다.
1987년 홍수 시 세굴로 인해 플랜스의 남측 부분으로부터 지지부(Support)가 떨어져 나가 플랜스의 상부에 인장 휨응력을 야기시켰고, 이로 인해 결국 플린스뿐만 아니라 두 개의 받침 지주(Support Columns)를 연결하는 횡단기초(Cross Footing)가 파괴되었다. 이로 인하여 제3경간과 제4경간 사이의지지부(Support)의 유실이 불가피했다.
세굴에 의한 이 교량의 붕괴는 교량기초 부위가 세굴에 의해 지지력(Support Capacity)을 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교량기초를 깊게 해야 하는 것을 다시금 일깨워 주고 있다. 또한 이 예에서 계획이 잘못된 보수는 궁극적으로 반드시 실패를 하게 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1986년 점검 시에는 홍수로 인해 이 교량에 대한 정밀점검을 할 수가 없었으며, 홍수 후 교량기초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점검을 하는 것이 가능했을 것임에도 가능했을 것임에도 재점검을 하지 않았던 당사자들에게 책임을 지우지 않았음이 추후 밝혀졌다. 교량붕괴를 유발하는 세굴에 대한 계속적인 문제 때문에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어 수중점검에 대한 기술발전을 도모케 하였다.
참고문헌
고려대학교 서강대학교 물리학과 공역 : 일반물리학, 범한서적, 1995
건설교통부 제정 : 도로교설계기준, 2004
김세영 : 최신 강교 계획과 설계, 과학기술, 2003
장병순 : 교량공학, 기문당, 2002
한국도로공사 도로연구소 : 교량세굴 방지대책 연구(Ⅱ), 1996
FHWA : Evaluating Scour at Bridges,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HEC No. 18, Publication No. FHWA-IP-90-017, 2nd Edition, 1996

키워드

교량,   다리,   진동수,   부실공사,   건설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10.0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66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