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에 따른 중국 가족 특징의 변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전 통 사 회

2) 사회주의 시대

3) 개혁개방 이후

4) 현 대 사 회

본문내용

노령인구의 증가는 이 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고 있는데, 60세 이상 노인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0년이 되면 그 숫자가 1억74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고 한다. 이는 총 인구의 12.78%를 차지하는 것으로 이 가운데 80세 이상의 고령노인의 숫자만 따져도 2132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어 진다고 한다. [중국사회, 너무 빨리 늙는다], 국제통일, 2006.10.4
http://www.naeil.com/News/politics/ViewNews.asp?nnum=296412&tid=3&sid=E
노령화가 가속화 될수록 한자녀가 부양해야할 노인인구수는 점점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했듯이 소황제가 과연 이들을 잘 부양할 수냐 하는 문제가 거론된다. 그들의 특징을 살펴 볼 때, 이기주의가 심하고, 재산을 축척 할 줄 모르는 그들이 과연 그들의 부모를 잘 부양할 수 있는 가에 대한 우려를 해보게 된다.
자녀에게는 자신의 능력을 뛰어 넘어 감당해야 하는 노인 부양과 자녀에게 지극한 사랑과 정성으로 길러왔음에도 불구하고 노년에는 그 것을 돌려받지 못하는 노인들의 문제는 가정의 문제이자 사회의 큰 문제 일 것이다. 중국도 점점 현대화가 되어가면서 어쩔 수 없는 문제를 겪고 있는 거라고 할 수도 있지만 한자녀 정책과 더불어 파생 된 많은 중국 가족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중국의 사회가 지금보다 더욱 나은 국가가 될 것이다.
마치며_
이제까지 중국 가족의 특징 변화를 시대별로 살펴보았다. 전통사회부터 사회주의 시대를 거쳐 개혁개방이후, 그리고 현대사회까지 중국의 가족의 특징의 변화들을 살펴보고 그것들이 사회에 어떠한 영향력을 끼치는지를 알게 되었다.
전통사회 중국 가족의 특징은 가족중심의 사회로 혈통을 중시 해 왔으며, 종법제도는 중국인들로 하여금 가정과 나라를 사랑하고 권위에 복종, 관례를 따르고, 전통 숭상을 낳았다. 그리고 동시에 농경사회로 가족은 가정의 기능과 동시에 생산과 소비 기능을 담당했으며 그들은 가족애를 중시하였다. 그리고 가족애는 결국 국가에 대한 사랑으로 확대 되였다. 그리고 유가사상으로 인한 효의 강조는 이 시대에의 가족의 특징이다.
사회주의 시대의 중국가족특징은 사실 가족주의가 사라지게 되는데 공산주의 조직들로 인해 가족단위가 아닌 공산당 청년연맹 등에 대한 소속감이 더욱 강화되었고, 가족생활을 공동체 생활로 대체되었다. 생산과 소비 기능이 가족 안에서 이루어 졌던 것이 인민공사를 통해 이루어 졌고, 국가의 철저한 통제와 관리 하에 들어가게 되었다. 그리고 사유재산제의 폐지로 인해 대가족 형태는 점점 핵가족화 되었다.
개혁개방 이후의 중국가족특징은 가족주의의 회복으로 볼 수 있는데 공산당 하에서 모든 것이 관리 되던 것이 개혁개방으로 점차 시장경제가 도입되고 다시금 가족 단위로 돌아가게 되면서 점점 가족주의가 회복하게 된다. 그리고 가장 큰 특징으로는 계획생육정책이 되면서 한자녀 정책이 실시된다. 이는 후에 현대 사회에 소황제, 흑해자 문제 등의 원인이 된다.
현대사회의 중국 가족특징 중 몇 가지 살펴보면 대표적으로 소황제, 흑해자가 있다. 소황제란 1980년 이후에 태어난 어느 정도 구매력 있는 외동자식으로 이름대로 소황제 대우를 받으며 자라나 현 중국 사회에 그들의 특징들이 중국사회의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흑해자는 한자녀 정책으로 호적에 오르지 못한 아이들로 이들의 정확한 수는 추정 할 수 없으나 이들의 교육, 보건, 범죄 등의 여러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한자녀 정책과 더불어 남아선호사상은 남녀성비불균형 문제와 4-2-1현상(한자녀가 2명의 부모와 4병의 조부모를 부양해야 하는 현상)들이 벌어지고 있다.
현 중국의 가족 특징을 살펴보면 결국 전 시대의 한가구한자녀정책으로 인한 결과들이 현 중국 가족 특징으로 드러나고 있는데, 실제로 위의 정책으로 인해 가구당 평균 자녀수가 5.44명에서 1.84명으로 감소하였고, 인구도 3.38억명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약 1조원 부양비 절약되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했듯이 이로 인해 많은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것이 현 중국가족의 특징이고 현실이다. 그리고 이는 단순한 가족의 특징으로 그치지 않는다. 결국 가족이 중국 사회를 이루고 가족의 특징은 사회에 영향을 준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가족 특징을 이해함으로 중국사회를 이해하고, 시대별로 중국 가족의 특징의 변화를 살펴봄을 바탕으로 앞으로 중국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고민하고 공부해야 할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10.08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69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