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기능주의 인류학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3. 기능주의 인류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문화인류학에 있어서 기능주의(funtionalism)의 배경, 이론적 특질, 사례분석, 전망

본문내용

으로서 사회변화를 설명하기 곤란하다.
2. 방법론적으로 역사를 배제함은 스스로 유용한 자료를 폐기하는 우를 범한다는 비판이 있다.
3. 말리노우스키의 기능주의에서는 생물학적 욕구가 지나치게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생물학적 욕구는 보편적인 것이기 때문에 문화 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없게 된다.
‘기능주의’는 인류학을 풍습 및 사실의 나열과 의사 역사로부터 체계적인 학문으로 변모시켰다. 에반스-프리차드(Evans-Pritchard, E. E. 1902 ~73)의 아프리카 아산디 족 및 누어 족에 관한 연구, 레이몬드 퍼스의 티코피아 족에 관한 연구, 마이어 포르테스의 탈렌시 족 연구 , 막스 글루크만의 아프리카 정치 . 법률 . 의례에 관한 연구 등을 들 수 있다.
M. 포르테스, 에반스-프리차드가 엮은 [아프리카의 전통적인 정치 체계](1940)와 래드클리프-브라운, 데릴 포드가 엮은 [아프리카 친족과 혼인의 체계](1950)는 사회 조직친족 제도에 관한 기능주의적 인류학의 성과를 보여주는데, 에반스-프리차드는 정부가 없는 누어(Nuer)족 사회에서 질서를 유지시키고, 누어 사회를 누어 사회답게 만드는 것은 갈등(conflict)임을 밝혔고, 글루크만은 에반스-프리차드의 자료를 다른 각도로 재분석하여 개개인의 충성과 이해가 맞서는 갈등이 있음으로 해서 법과 사회 질서가 유지된다고 주장했다. 에반스-프리차드는, 인류학은 사회에 관한 ‘자연 과학’이 아니라 대상 문화를 다른 또 하나의 문화 (쓰는이-읽는 이의 문화)로 번역하는 작업, 인문 과학임을 주장했다. 즉, 의미 있는 패턴을 찾음이 목적이라고 봤다.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10.09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70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