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호주의 유아교육과정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일본의 유아교육

2. 호주의 유아교육

3. 한국의 실정 및 발전 방향

본문내용

의무적으로 교육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유아교육의 무상교육 하향화이다.
유아교육법 제정에 따라 2007년까지 점진적으로 실시되는 만5세아 무상교육이 수업료(보육료)뿐만 아니라 급식비 및 간식비를 무상 교육의 항목에 포함시켜 지원해주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고 만3-4세의 저소득층 유아에 대한 교육비 지원 뿐 아니라 OECD의 국가들처럼 점차적으로 무상교육의 대상 연령을 하향화해 가는 방안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유아교육의 행 재정적 지원 정책이다.
유아교육의 전문성과 독자성을 인정하는 교육행정 지원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 즉 교육인적자원부에는 초등이나 중등 교육과 마찬가지로 유아교육과를 독립적으로 설치해야 하고 시 도 교육청 및 지역교육청에서도 초등교육행정의 일부로써가 아니라 독립된 유아교육과를 설치하여 유아교육전문가가 유아교육행정을 담당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병설유치원의 초등학교 교장이나 교감이 원장 원감을 겸임하는 문제나 사립의 경우 무자격 원장이나 원감에 대한 해결방안도 모색되어야 한다.
교육비 예산 중 유아교육 비율의 증가이다. 대부분의 국가들의 의무 무상교육으로 실시되는 초등교육과 같은 수준의 교육비를 유아교육에 투입하고 있다. 미국, 독일, 영국과 같은 나라들은 최근 들어서 오히려 유아교육에 더 많은 교육비를 투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유아교육의 확대와 수준 향상을 위해 유아교육 예산 비율을 연차적으로 상향조정하여 투입되도록 하여야 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아교육의 구조적 문제는 역대 정부의 유아교육 부분에 대한 무관심과 정책 부재에서 기인된 것이다. 지금의 우리나라 유아교육제도는 일본의 이원 병행체제를 그대로 도입한 것으로 오늘날 일본의 유아교육이 안고 있는 고질적인 유 보육 이원화의 전례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각처 별로 나눠져 있는 유 보육의 통합이야말로 진정한 출발점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생애 단계별 지적 성숙도를 감안할 때 만 5세 아이들에 대한 교육과 보육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지적 성숙이 최고조에 달하는 17세의 지능을 100으로 할 때 0~4세는 지능의 50%, 4~8세는 약 30%에 이른다. 8세 이후에는 나머지 20%가 발달하게 되는데, 개인 최종 지능의 80%가 만 5세 전후에 형성되는 셈이다. 이렇듯 중요한 유아기시기의 적절한 교육이야말로 최우선으로 투자되어야 하는 부분이라 생각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0.09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70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