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구약 성서와 기독론
1. 메시아
【2】지혜자
【3】고난의 종
- 마태가 본 예수 -
♣ 마태복음 다섯 가지 교설 ♣
마가가 본 예수
요한이 본 예수
바울이 본 예수
1. 메시아
【2】지혜자
【3】고난의 종
- 마태가 본 예수 -
♣ 마태복음 다섯 가지 교설 ♣
마가가 본 예수
요한이 본 예수
바울이 본 예수
본문내용
린자 버림받은 자의 구주였음
마가가본 예수상- “서민예수”, “민중과 함께 하는 예수”
- 예수는 헤롯처럼 권력과 부를 탐하는 자가 아니라 낮은 자리에서 버림받은 자들의 아픔과 슬픔을 위로하고 그들에게 참 삶과 희망을 주시는 자임을 암시함.
요한이 본 예수
◆ 요한은 앞에서 말한 마태, 마가와는 달리 상당히 차원 높은 기독론을 전개함.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사셨다. 우리는 그의 영광을 보았다. 그 영광은 아버지께서 주신 동생자의 영광이며, 그 안에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였다.” (요 1:14)
◆ 성육신 - “말씀이 육신이 되어” 이론으로 시작함.
‘말씀’을 희랍어로 로고스(logos)라 하는데 인간의 입에서 나오는 ‘언어’를 뜻하는 것이 아님.
고대 희랍 철학에서 그 어원을 찾을 수 있었음.
로고스 사상은 스토익 철학에 이르러 체계 확립 됨. - 신(神) 자체는 아니지만 신적인 것으로 부름.
요한은 로고스 = 하나님과 동격인 ‘말씀’ = 예수 그리스도
◆ 요한복음서에 특이한 기독론의 특징
예수는 자신을 가리켜 1) 생명의 떡
2) 세상의 빛
3) 선한 목자
4) 길, 진리, 생명
5) 참 포도나무
- 이 상징들은 예수 그리스도는 모든 사물의 본질로서의 로고스인 동시에
참 생명이 되신다는 것을 증명함.
◆ 예수님의 표적
- 요한복음서에서 예수는 참 생명을 주시기 위하여 세상에 오신 참 메시아라는 것을 증명하는 몇 가지 표적
1) 가나의 혼인집에서 물로 포도주를 만드심
2) 삼십팔년된 병자를 고치심
3) 오병이어의 이적
4) 날때부터 소경된 자를 고치심
5) 죽은 나사로를 살리심
요한이 본 예수상 - 예수는 범죄와 타락으로 인하여 상실한 인간성 회복, 그리고 고뇌와 고통 속에서 허덕이는 인간 삶의 변화, 모든 생명에게 희망과 용기와 빛을 비춰 주시기 위해서 오신 '생명의 군주'.
바울이 본 예수
① 바울이 예수를 믿게 된 배경
- 바울은 사도가 되기 전 예수 제자들이 주장한 예수의 존재를 믿지 않았고 이를 하나님을 모독하는 것이라 생각 하고 이를 고집하였다.
하지만 다메섹 도상에서 예수님과의 만남을 체험함으로써 예수님을 믿고 따르는 사람이 되었다.
“사울이 행하여 다메섹에 가까이이 가더니 홀연히 하늘로서 빛이 저를 둘러 비추는지라, 땅에 엎드러져 들으매 소리 있어 가라사대 사울아, 사울아, 네가 어찌하여 나를 핍박하느냐 하시거늘 대답하되 주여 뉘시오니이까. 가라사대 나는 네가 핍박하는 예수라”(행 9:3-5)
② 바울의 기독론
1) 역사적 사실성보다 교리적 진리성에 더 치중
2) '그리스도 안에서'라 초점을 맞춤
3) 십자가의 은혜와 부활의 능력을 중심 골자로 삼음
③ 바울이 체험한 예수
1) 구주로서의 예수
2)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예수
3) 둘째아담으로서의 예수
4) 아가페의 계시자요, 실천자로서의 예수
5) 속죄자로서의 예수
⇒ 바울이 본 예수 - 십자가가 곧 그리스도의 얼굴이며 부활이 예수의 생명임.
이러한 그리스도와 함께 살아갈 때 거기에 참 자유가 있으며, 생명의 구원을 얻게 된다고 하였음.
마가가본 예수상- “서민예수”, “민중과 함께 하는 예수”
- 예수는 헤롯처럼 권력과 부를 탐하는 자가 아니라 낮은 자리에서 버림받은 자들의 아픔과 슬픔을 위로하고 그들에게 참 삶과 희망을 주시는 자임을 암시함.
요한이 본 예수
◆ 요한은 앞에서 말한 마태, 마가와는 달리 상당히 차원 높은 기독론을 전개함.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사셨다. 우리는 그의 영광을 보았다. 그 영광은 아버지께서 주신 동생자의 영광이며, 그 안에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였다.” (요 1:14)
◆ 성육신 - “말씀이 육신이 되어” 이론으로 시작함.
‘말씀’을 희랍어로 로고스(logos)라 하는데 인간의 입에서 나오는 ‘언어’를 뜻하는 것이 아님.
고대 희랍 철학에서 그 어원을 찾을 수 있었음.
로고스 사상은 스토익 철학에 이르러 체계 확립 됨. - 신(神) 자체는 아니지만 신적인 것으로 부름.
요한은 로고스 = 하나님과 동격인 ‘말씀’ = 예수 그리스도
◆ 요한복음서에 특이한 기독론의 특징
예수는 자신을 가리켜 1) 생명의 떡
2) 세상의 빛
3) 선한 목자
4) 길, 진리, 생명
5) 참 포도나무
- 이 상징들은 예수 그리스도는 모든 사물의 본질로서의 로고스인 동시에
참 생명이 되신다는 것을 증명함.
◆ 예수님의 표적
- 요한복음서에서 예수는 참 생명을 주시기 위하여 세상에 오신 참 메시아라는 것을 증명하는 몇 가지 표적
1) 가나의 혼인집에서 물로 포도주를 만드심
2) 삼십팔년된 병자를 고치심
3) 오병이어의 이적
4) 날때부터 소경된 자를 고치심
5) 죽은 나사로를 살리심
요한이 본 예수상 - 예수는 범죄와 타락으로 인하여 상실한 인간성 회복, 그리고 고뇌와 고통 속에서 허덕이는 인간 삶의 변화, 모든 생명에게 희망과 용기와 빛을 비춰 주시기 위해서 오신 '생명의 군주'.
바울이 본 예수
① 바울이 예수를 믿게 된 배경
- 바울은 사도가 되기 전 예수 제자들이 주장한 예수의 존재를 믿지 않았고 이를 하나님을 모독하는 것이라 생각 하고 이를 고집하였다.
하지만 다메섹 도상에서 예수님과의 만남을 체험함으로써 예수님을 믿고 따르는 사람이 되었다.
“사울이 행하여 다메섹에 가까이이 가더니 홀연히 하늘로서 빛이 저를 둘러 비추는지라, 땅에 엎드러져 들으매 소리 있어 가라사대 사울아, 사울아, 네가 어찌하여 나를 핍박하느냐 하시거늘 대답하되 주여 뉘시오니이까. 가라사대 나는 네가 핍박하는 예수라”(행 9:3-5)
② 바울의 기독론
1) 역사적 사실성보다 교리적 진리성에 더 치중
2) '그리스도 안에서'라 초점을 맞춤
3) 십자가의 은혜와 부활의 능력을 중심 골자로 삼음
③ 바울이 체험한 예수
1) 구주로서의 예수
2)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예수
3) 둘째아담으로서의 예수
4) 아가페의 계시자요, 실천자로서의 예수
5) 속죄자로서의 예수
⇒ 바울이 본 예수 - 십자가가 곧 그리스도의 얼굴이며 부활이 예수의 생명임.
이러한 그리스도와 함께 살아갈 때 거기에 참 자유가 있으며, 생명의 구원을 얻게 된다고 하였음.
키워드
추천자료
팔로미(FOLLOW ME) PART 02.영혼을 살리는 극처방,“죽어야 산다” [요약] _ 저자: 데이비드 플...
[성경·설교·말씀] (누가복음 7장 36-50절) 본받아야 할 신앙의 모습 (새벽예배·성서·기독교·...
[성경·설교·말씀] (누가복음 6장 20-26절) 네가지 화와 네가지 복 (새벽예배·성서·기독교·교...
[성경·설교·말씀] (데살로니가후서 1장 1-10절) 점점 자라나는 신앙생활 (새벽예배·성서·기독...
[성경·설교·말씀] (빌립보 2장 1-11절) 뜻을 합하여 한 마음을 품는 그리스도인 (새벽예배·성...
[성경·설교·말씀] (아가서 6장 1-3절) 동산에 계신 주님 (새벽예배) (성서·기독교·교회·예수·...
[성경·설교·말씀] (사무엘상 1장 1-2절) 기도로 해결 받은 한나 (성서·기독교·교회·예수·하나님)
[성경·설교·말씀] (누가복음 19장 1-10절) 삭개오의 신앙 다섯 가지 (성서·기독교·교회·예수·...
[성경·설교·말씀] (요한복음 10장 1-16절] 선한목자의 자격 (성서·기독교·교회·예수·하나님)
[성경·설교·말씀] (빌립보서 2장 5-9절)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 (새벽예배) (성서·기독교·...
[성경·설교·말씀] (고린도 전서 4장 1-2절) 충성과 순종의 신앙생활 (성서·기독교·교회·예수·...
[성경·설교·말씀] (사도행전 13장 1-3절) 안디옥 교회의 사명 (성서·기독교·교회·예수·하나님)
[성경·설교·말씀] (고린도 후서 2장 14-17절) 우리는 그리스도의 향기 (성서·기독교·교회·예...
[성경·설교·말씀] (요나 1장 11-17절) 물고기 뱃속과 같은 환경에 있을지라도 (성서·기독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