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동기부여를 해주어야 한다. 심리적 부담과 저항은 개념의 차이, 목표 행동을 위한 수행기술 부족, 의사소통의 문제의 차원에서 탐색, 재조정되어야 한다. 내담자가 자각과 합리적 사고 능력을 회복하였다고 해서 상담이 종결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 행동으로 옮겨졌을 때 나타나는 문제들로 인해 많은 수정과 어려움을 겪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단계에서는 내담자와 함께 목표에 이를 수 있는 구체적인 행동 계획들을 작성하여야 한다. 또 예상되는 갈등 상황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 방안도 함께 수립되어야 한다. 세워진 판단 기준이 실천 계획에 의해서 내담자의 실생활에 실현되는 지를 면밀히 검토, 체크해야 한다. 상담자와 내담자의 합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단계로써 지금까지 성취한 것들이 요약되어야 한다. 상담의 종결 여부는 내담자의 성취도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내담자로 하여금 계획수립이나 과정들이 어떻게 결실을 맺었는 지에 대해 스스로 평가하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겠다.
참고문헌
김계현, 상담심리학: 적용영역별 접근, 학지사, 1995
노안영, 상담의 기본요소, 중앙적성출판사, 1997
이장호, 상담면접의 기초, 중앙적성출판사, 1994
참고문헌
김계현, 상담심리학: 적용영역별 접근, 학지사, 1995
노안영, 상담의 기본요소, 중앙적성출판사, 1997
이장호, 상담면접의 기초, 중앙적성출판사, 199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