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공공직장보육시설
1. 시설설치
2. 관리 및 운영체제
Ⅱ. 공공체육시설
Ⅲ. 공공도서관시설
1. 열람 공간의 대규모화
2. 새로운 도서관 자료의 등장
3. AV서비스 확대
4. 참고봉사기능의 강화
5. 목록공간의 변화
6. 컴퓨터의 설치
7. Browsing공간의 증가
8. 장애자시설의 증가
9. 집회시설의 증가
Ⅳ. 공공청소년수련시설
1. 목적
2. 추진방향
3. 프로그램 운영비 지원
1) 사업개요
2) 대상시설
3) 지원내용
참고문헌
1. 시설설치
2. 관리 및 운영체제
Ⅱ. 공공체육시설
Ⅲ. 공공도서관시설
1. 열람 공간의 대규모화
2. 새로운 도서관 자료의 등장
3. AV서비스 확대
4. 참고봉사기능의 강화
5. 목록공간의 변화
6. 컴퓨터의 설치
7. Browsing공간의 증가
8. 장애자시설의 증가
9. 집회시설의 증가
Ⅳ. 공공청소년수련시설
1. 목적
2. 추진방향
3. 프로그램 운영비 지원
1) 사업개요
2) 대상시설
3) 지원내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Browsing공간의 증가
도서관의 개념이 쾌적한 휴식처로서의 열람공간 환경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므로 가구와 서가의 배치, 높이 등이 조절되고 있으며 STOP-OVER시설로 변화하고 있다.
8. 장애자시설의 증가
과거 특수 도서관이 소장하던 장애자용 열람자료(점자도서, 녹음도서 등)가 일반 공공도서관에 비치되면서 장애자를 위한 시설이 증가하고 있다.
9. 집회시설의 증가
도서관이 지역사회의 문화센터로서 기능이 강화됨에 따라 지역 주민을 위한 공공시설 증가의 요구는 도서관을 하나의 사회중심 시설로 만들어가고 있다
Ⅳ. 공공청소년수련시설
1. 목적
ㅇ 공공 청소년수련시설의 프로그램 운영경비의 일부를 지원하여 청소년수련시설의 재정부담을 완화하고, 운영활성화를 도모한다.
ㅇ 공공 청소년수련시설 운영에의 청소년 참여 및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의 확대 등을 통하여 청소년이 주인이 되는 시설운영 및 청소년 이용률을 제고한다.
2. 추진방향
ㅇ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다양하고 전문화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앞으로 주5일 수업제 실시로 증가하게 될 청소년의 여가활동 시간이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문화활동 및 지역사회 참여로 이어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ㅇ 청소년수련시설 운영에 청소년 참여확대와 지역 청소년들의 요구가 반영된 활동 프로그램 확대운영 우수시설에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3. 프로그램 운영비 지원
1) 사업개요
ㅇ 보조사업자 : 16개 시도
ㅇ 대상시설 : 운영 중인 공공 청소년수련시설
ㅇ 지원내용 : 청소년대상 프로그램의 운영비 지원
ㅇ 소요예산 : 1,630백만 원(청소년육성기금)
2) 대상시설
ㅇ 운영중인 공공 청소년수련시설 중 시도에서 지원을 요청한 시설
ㅇ 청소년문화의 집으로 전환하지 않은 (구)청소년수련실 및 청소년야영장은 지원대상에서 제외한다.
ㅇ 청소년수련관내 청소년문화의집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청소년문화의집에 한하여 지원한다.
※ 단, 지원신청 시설수가 지원계획 시설의 수에 초과 또는 미달될 경우 신청한 사업내용을 검토하여 예산범위 내에서 조정지원 예정
3) 지원내용
ㅇ 지원규모
- 청소년문화의집 : 6백만 원
-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및 유스호스텔 : 5백만 원
- 우리부 지원금액의 100%이상 지방비 확보
ㅇ 지원내역
- 청소년대상 프로그램에 한하며, 가급적 일회성 프로그램은 지양
-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소모성 기자재 구입비 지원 가능
- 유스호스텔의 경우 시설의 성격을 감안하여 주변 유적지 답사 등 여행프로그램 우선 지원
- 청소년담당 우수공무원 표창 및 해외연수 등 인센티브 부여
참고문헌
▷ 김사(2004), 스포츠시설관리, 21세기 교육사
▷ 구태익(2000), 한국청소년수련체계에 관한 연구-수련시설 운영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학박사 학위논문
▷ 노동부(2003), 직장보육시설 설치·운영 규정, 고용평등국
▷ 문화관광부(1993~1999), 전국공공체육시설현황
▷ 한국도서관협회(1996), 공공도서관의 시설, 서울 : 동 협회
▷ 한표환(연구책임자/1996), 공공시설의 공동설치·관리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도서관의 개념이 쾌적한 휴식처로서의 열람공간 환경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므로 가구와 서가의 배치, 높이 등이 조절되고 있으며 STOP-OVER시설로 변화하고 있다.
8. 장애자시설의 증가
과거 특수 도서관이 소장하던 장애자용 열람자료(점자도서, 녹음도서 등)가 일반 공공도서관에 비치되면서 장애자를 위한 시설이 증가하고 있다.
9. 집회시설의 증가
도서관이 지역사회의 문화센터로서 기능이 강화됨에 따라 지역 주민을 위한 공공시설 증가의 요구는 도서관을 하나의 사회중심 시설로 만들어가고 있다
Ⅳ. 공공청소년수련시설
1. 목적
ㅇ 공공 청소년수련시설의 프로그램 운영경비의 일부를 지원하여 청소년수련시설의 재정부담을 완화하고, 운영활성화를 도모한다.
ㅇ 공공 청소년수련시설 운영에의 청소년 참여 및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의 확대 등을 통하여 청소년이 주인이 되는 시설운영 및 청소년 이용률을 제고한다.
2. 추진방향
ㅇ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다양하고 전문화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앞으로 주5일 수업제 실시로 증가하게 될 청소년의 여가활동 시간이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문화활동 및 지역사회 참여로 이어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ㅇ 청소년수련시설 운영에 청소년 참여확대와 지역 청소년들의 요구가 반영된 활동 프로그램 확대운영 우수시설에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3. 프로그램 운영비 지원
1) 사업개요
ㅇ 보조사업자 : 16개 시도
ㅇ 대상시설 : 운영 중인 공공 청소년수련시설
ㅇ 지원내용 : 청소년대상 프로그램의 운영비 지원
ㅇ 소요예산 : 1,630백만 원(청소년육성기금)
2) 대상시설
ㅇ 운영중인 공공 청소년수련시설 중 시도에서 지원을 요청한 시설
ㅇ 청소년문화의 집으로 전환하지 않은 (구)청소년수련실 및 청소년야영장은 지원대상에서 제외한다.
ㅇ 청소년수련관내 청소년문화의집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청소년문화의집에 한하여 지원한다.
※ 단, 지원신청 시설수가 지원계획 시설의 수에 초과 또는 미달될 경우 신청한 사업내용을 검토하여 예산범위 내에서 조정지원 예정
3) 지원내용
ㅇ 지원규모
- 청소년문화의집 : 6백만 원
-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및 유스호스텔 : 5백만 원
- 우리부 지원금액의 100%이상 지방비 확보
ㅇ 지원내역
- 청소년대상 프로그램에 한하며, 가급적 일회성 프로그램은 지양
-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소모성 기자재 구입비 지원 가능
- 유스호스텔의 경우 시설의 성격을 감안하여 주변 유적지 답사 등 여행프로그램 우선 지원
- 청소년담당 우수공무원 표창 및 해외연수 등 인센티브 부여
참고문헌
▷ 김사(2004), 스포츠시설관리, 21세기 교육사
▷ 구태익(2000), 한국청소년수련체계에 관한 연구-수련시설 운영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학박사 학위논문
▷ 노동부(2003), 직장보육시설 설치·운영 규정, 고용평등국
▷ 문화관광부(1993~1999), 전국공공체육시설현황
▷ 한국도서관협회(1996), 공공도서관의 시설, 서울 : 동 협회
▷ 한표환(연구책임자/1996), 공공시설의 공동설치·관리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추천자료
보육정책
사회복지 분야별 분류
스포츠 산업의 확장을 위한 스포츠 마케팅의 역할
도시계획시설
호텔․레스토랑 식음료경영론」의 교과목 특성과 교수방법
청소년복지정책의 발전 방향
직장육아제도
스포츠산업학, 스포츠클럽(한국형) 추진지침서
[보육정책][외국 보육정책 사례][보육정책 개선방안]보육정책의 필요성, 보육정책의 현황, 보...
사회 체육의 활성화 방안, 프랑스와 호주의 사회체육 실태, 현대사회에서 사회체육의 필요성
우리나라 공간계획체계
현대사회 스포츠의 의미,지역사회 스포츠,스포츠 브랜드 나이키,스포츠마케팅사례,브랜드마케...
대구 월드컵 경기장의 사후 활용방안 - 수익사업 추진을 중심으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