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살균의 정의
Ⅲ. 살균의 방법
1. 열에 의한 살균
2. 염소(clorine)에 의한 살균
3. 이산화 염소(ClO2)에 의한 살균
4. 오존(ozone)에 의한 살균
5. 자외선(ultraviolet)에 의한 살균
6. 초음파에 의한 살균
Ⅳ. 멸균의 정의
Ⅴ. 멸균의 방법
1. 고압증기멸균법
2. 건열멸균법
3. 자비법
4. 가스 멸균법
Ⅵ. 우주정거장에서의 멸균
참고문헌
Ⅱ. 살균의 정의
Ⅲ. 살균의 방법
1. 열에 의한 살균
2. 염소(clorine)에 의한 살균
3. 이산화 염소(ClO2)에 의한 살균
4. 오존(ozone)에 의한 살균
5. 자외선(ultraviolet)에 의한 살균
6. 초음파에 의한 살균
Ⅳ. 멸균의 정의
Ⅴ. 멸균의 방법
1. 고압증기멸균법
2. 건열멸균법
3. 자비법
4. 가스 멸균법
Ⅵ. 우주정거장에서의 멸균
참고문헌
본문내용
법은 못되나 아포형성세균을 포함하지 않은 물품소독에만 이용한다.
4. 가스 멸균법
ethylene oxide gas멸균은 증기에 노출되는 것으로 손상을 입을 수 있는 물품의 멸균법으로 밀폐된 공간에서 130℉(160℃)의 온도에서 4시간동안 노출되어 있어야 한다. 가스멸균은 멸균되면 표지테이프의 줄무늬가 노란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한다.
산화에틸렌은 기체이기 때문에 플라스틱, 고무, 가죽과 같은 다공성물에 침투되어 있다가 살아있는 조직에 닿으면 화학적 화상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에 따라 24시간에서 2주 동안 실내온도에서 멸균된 포장에 공기를 쐬어야 한다.
Ⅵ. 우주정거장에서의 멸균
미국 항공우주국의 과학자들에게 미생물의 놀라운 생명력을 일깨워주는 사건이 발생했다. 우주공간에 건설 중인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사람이 타기도 전에 먼저 그곳에서 미생물을 발견한 것이다. 이 작은 생명체는 인간 조직에 수없이 서식하고 있고 장비의 표면을 덮고 있기 때문에 우주왕복선이 지구로부터 정거장으로 오고갈 때 옮겨지는 것이다. 우주정거장에서 그들 중 일부는 생존에 실패하지만 대부분은 대기권 밖의 조건에 적응해서 새로운 조건에서 적절한 생태학적 지위(econiche)를 차지하게 된다. 그들 중 대부분이 박테리아나 진균(fungus)들이다. 이들은 우주에서 생존을 위해 인간에겐 필수적인 우주복도 없이 최악의 조건인 우주에서 살아남은 것이다. 미생물이 인간보다 먼저 우주정거장을 차지했고, 아마도 인간이 떠나간 후에도 최후까지 남아 그곳을 지킬 것이다. 미생물이 다른 생명체와 비교해서 다양한 극한 환경에서 살 수 있는 비결은 무엇일까?
그 비밀은 미생물의 다양한 유전방식에 있다. 미생물의 경우 동물이나 식물에 비해 매우 큰 유전적 변이를 보인다. 한 유전자(리보솜 RNA 유전자)를 예로 들면, 사람과 생쥐의 유전자 변이도가 0.7%밖에 안 되는데 반해, 미생물의 일종인 세균의 경우에는 같은 종에 속하는 두 개체간의 변이도가 약 3%나 된다. 이렇게 높은 유전자 변이도가 미생물의 천부적인 환경 적응력과 직결된다.
참고문헌
김경란 - 신비스런 우주여행, 도서출판 대우
김경민 외(2003) - 미생물학, 라이프사이언스
김계엽 외 14인(2003) - 병원미생물학, 현문사
김태운 외(2003) - 의학 미생물과 감염질환, 서울 : 수문사
손정태·장은희 등저 - 기본간호학 2, 현문사
홍순우 외(1985) - 최신일반미생물학실험, 일신사
4. 가스 멸균법
ethylene oxide gas멸균은 증기에 노출되는 것으로 손상을 입을 수 있는 물품의 멸균법으로 밀폐된 공간에서 130℉(160℃)의 온도에서 4시간동안 노출되어 있어야 한다. 가스멸균은 멸균되면 표지테이프의 줄무늬가 노란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한다.
산화에틸렌은 기체이기 때문에 플라스틱, 고무, 가죽과 같은 다공성물에 침투되어 있다가 살아있는 조직에 닿으면 화학적 화상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에 따라 24시간에서 2주 동안 실내온도에서 멸균된 포장에 공기를 쐬어야 한다.
Ⅵ. 우주정거장에서의 멸균
미국 항공우주국의 과학자들에게 미생물의 놀라운 생명력을 일깨워주는 사건이 발생했다. 우주공간에 건설 중인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사람이 타기도 전에 먼저 그곳에서 미생물을 발견한 것이다. 이 작은 생명체는 인간 조직에 수없이 서식하고 있고 장비의 표면을 덮고 있기 때문에 우주왕복선이 지구로부터 정거장으로 오고갈 때 옮겨지는 것이다. 우주정거장에서 그들 중 일부는 생존에 실패하지만 대부분은 대기권 밖의 조건에 적응해서 새로운 조건에서 적절한 생태학적 지위(econiche)를 차지하게 된다. 그들 중 대부분이 박테리아나 진균(fungus)들이다. 이들은 우주에서 생존을 위해 인간에겐 필수적인 우주복도 없이 최악의 조건인 우주에서 살아남은 것이다. 미생물이 인간보다 먼저 우주정거장을 차지했고, 아마도 인간이 떠나간 후에도 최후까지 남아 그곳을 지킬 것이다. 미생물이 다른 생명체와 비교해서 다양한 극한 환경에서 살 수 있는 비결은 무엇일까?
그 비밀은 미생물의 다양한 유전방식에 있다. 미생물의 경우 동물이나 식물에 비해 매우 큰 유전적 변이를 보인다. 한 유전자(리보솜 RNA 유전자)를 예로 들면, 사람과 생쥐의 유전자 변이도가 0.7%밖에 안 되는데 반해, 미생물의 일종인 세균의 경우에는 같은 종에 속하는 두 개체간의 변이도가 약 3%나 된다. 이렇게 높은 유전자 변이도가 미생물의 천부적인 환경 적응력과 직결된다.
참고문헌
김경란 - 신비스런 우주여행, 도서출판 대우
김경민 외(2003) - 미생물학, 라이프사이언스
김계엽 외 14인(2003) - 병원미생물학, 현문사
김태운 외(2003) - 의학 미생물과 감염질환, 서울 : 수문사
손정태·장은희 등저 - 기본간호학 2, 현문사
홍순우 외(1985) - 최신일반미생물학실험, 일신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