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바리공주>의 전개 양상.
Ⅲ. <바리공주> 속 인물(character).
1. 바리공주
2. 바리공주의 아버지(대왕마마, 오구대왕 등등)
3. 서천서역국 약수 지킴이(무장승, 동수자 등등)
Ⅳ. <바리공주>의 상징.
Ⅴ. 결론
참고논문
Ⅱ. <바리공주>의 전개 양상.
Ⅲ. <바리공주> 속 인물(character).
1. 바리공주
2. 바리공주의 아버지(대왕마마, 오구대왕 등등)
3. 서천서역국 약수 지킴이(무장승, 동수자 등등)
Ⅳ. <바리공주>의 상징.
Ⅴ. 결론
참고논문
본문내용
장 결혼하면 딸만 일 곱을 낳을 것이고, 길년(吉年)을 기다리면 나라를 다스릴 아들을 얻을 것이라 한다.
2. 바리공주의 아버지는 길년(吉年)을 참지 않고 혼례를 올린다.
3. 바리공주의 위로 내리 여섯 딸을 낳고, 일곱째로 바리공주가 태어난다.
4. 바리공주가 아버지로부터 딸이라는 이유로 버려지다.
5. 바리공주가 구출자로부터 구해져 기아의 상태에서 벗어나다.
6. 바리공주가 구출자로부터 여성이라는 이유로 버려지고, 양육자를 만난다.
7. 바리공주의 아버지(혹은 부모님)가 바리공주를 버린 죄로 병에 걸리고, 점복하니, 그 병 은 약수를 통해서만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8. 바리공주의 부모님이 신하를 통해 바리공주를 찾는다.
9. 바리공주는 부모님과 피를 합쳐보고 나서 혈육(血肉)임을 알고 부모님과 만난다.
10. 바리공주의 아버지가 약수 약수는 부모님을 살릴 유일한 약으로, 이본(異本)에 따라 피살이꽃, 뼈살이꽃, 숨살이꽃과 같이 등장하거나, 피살이, 뼈살이, 숨살이를 이루어 줄 매개체들도 같이 등장하기도 한다.
를 구해올 사람을 찾지만 여섯 명의 공주를 비롯해서 나서 는 사람이 없다. 마지막 바리공주가 유일하게 약수를 구해오겠다 말한다.
11. 바리공주가 약수를 구하기 위해 남복(男服) 이본(異本)에 따라 남복(男服)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을 하고 여정을 떠난다.
12. 약수를 구하기 위한 여정 길에 구출자를 만나 여정에 도움이 될 물건 이본(異本)에 따라 그 명칭(名稱)은 다르지만, 바리공주가 약수지킴이를 만나기 전까지 역경을 헤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을 받는다.
13. 바리공주는 역경 끝에 약수지킴이를 만난다.
14. 약수지킴이의 요구로 물 긷기를 3년, 불 떼기를 3년, 나무 베기를 3년 하여 9년의 세월 을 보낸다.
15. 약수지킴이가 바리공주가 여성이라는 것을 알고 아들 일곱 명(혹은 세 명)을 낳아 달라 요구한다.
16. 바리공주가 약수를 얻었으나, 아버지(혹은 부모님)가 이미 돌아가셨음을 알게 된다.
17. 약수지킴이와 자식들과 함께 아버지(혹은 부모님)께 돌아가는 데, 돌아가는 와중에 혼 들이 타고 있는 배를 본다.
18. 이미 죽고 상을 치르고 있는 아버지(혹은 부모님)를 약수로 되살려낸다.
19. 되살아난 아버지는 금은보화든 나라의 반이든, 바리공주가 원하는 것을 들어준다고 하 나, 바리공주는 아버지에게 부모에게 먼저 허락받지 않고 결혼한 죄를 구한다.
20. 바리공주는 아버지의 보상을 거절하고, 죽은 영혼들을 관장하는 신이 된다.
Ⅲ. <바리공주> 속 인물(character)
1. 바리공주
<바리공주>의 전체적인 면에서, 바리공주가 사건을 대하는 모습을 보자면 바리공주는 크게 두 가지 모습을 지니고 있다.
첫째, <바리공주> 전체 이야기를 크게 보자면, 바리공주는 이야기 말미(末尾)에 아버지의 보상을 거절하고 죽은 영혼들을 관장하는 신이 되는 순간을 제외하면, 사건을 주도적으로 이끈 인물이 아니라, 사건에 이끌려 간 인물이다. 그런 의미에서 바리공주는 객체성(客體性)을 지닌 인물이다.
<바리공주> 속에 드러나는 주요 사건들을 살펴보면 바리공주가 지닌 사건에 대한 객체성(客體性)을 볼 수 있다. 바리공주가 버려지는 사건, 병에 걸린 부모를 위해 약수를 찾아가는 사건, 약수를 찾으며 고난은 <바리공주>가 가진 이야기의 뼈대이기 때문에 주요사건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주요 사건들은 모두 바리공주의 행동에 따른 사건들이라기보다 그 기원이 바리공주의 아버지에게서 나온다. 그래서 바리공주가 사건을 맞대하여 사건의 해결 방향에 대해 선택하는 폭도 좁을 수밖에 없다.
주요 사건들 속의 바리공주의 행동 양상을 보면,
“종묘사직은 누구에게 전하며 조정 백관은 뉘게 의지하리. 또 시녀 상궁은 누구에게 의지하리. 내 전생의 죄가 남아 옥황상제에게 일곱 딸을 점지하였구나. 서해 용왕에게 진상이나 보내리다.” 김태곤, 1979, 서사무가집, 집문당, 223쪽
이왕 갖다버리는 애기 애명이나 지어주손이다
버렸다 버리대기 더졌다 더지대기
나라에 칠공주가 사해용신에 진상가는 날로 스원이다 서울새남굿보존회 편, 조흥윤 감수, 「서울 새남굿 신가집」, 문덕사, 1996, p183.
우선 바리공주가 버려지는 사건은 바리공주가 개입할 수조차 없는 사건이다. 모든 사건의 발단이 되는 사건이지만, 이 사건에서 바리공주는 선택권조차 가질 수 없는 영아의 상태였다. 바리공주가 태어나면서부터 형성된 ‘아버지와 딸’이라는 혈연관계에서 선택할 여지도 없이 일방적으로 부정당하고, 곧바로 관계가 끊기는 상황을 맞이했다. 그 증거로 이름마저 ‘버려졌다’는 것을 뜻하는 바리공주가 되고 만다.
초공쥬 불너내여. 부모소양 갈여는야?
삼천궁녀 못가는 것을, 소녀 엇지 가오릿가?
듈재 공쥬 불나내여, 부모소양 갈여는야?
형님이 못가는 것을, 소녀 엇지 가오릿가?
셋재 공쥬를 불너내여, 부모소양 갈여는야?
두 형님 못가는 것을, 소녀 엇지 가오릿가?
사공쥬 불너내여, 부모소양 갈여는야?
세 형님 못가는 것을 소녀 엇지 가오릿가?
오공쥬 불너내여. 부모소양 갈여는야?
네 형님 못가는 것을 소녀 엇지 가오릿가?
육공쥬 불너내여, 부모소양 갈여는야?
다섯 형님 못가는 것을, 소녀 엇지 가오릿가?
칠공쥬 불너내여, 부모소양 갈여는야?
국가에 은혜와 신세는 안젓지만은
어마마마 배안에 열 달 들어잇든 공으로
소녀 가오리다 서대석, 박경신 역주, 「서사무가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p. 239
병에 걸린 부모를 위해 약수를 찾아가는 사건에서는 바리공주가 친부모를 찾아 나서기 전에 ‘병’이라는 요인에 의해서 부모에 의해 먼저 혈연관계를 다시 맺게 되고, 바로 약수를 찾는 여정에 대한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을 맞게 된다. 바리공주는 자의에 의한 선택이 아닌 상태로 혈연관계를 다시 잇기 시작했고, 관계를 형성하는 ‘부모와 딸’의 상호간의 이해가 제대로 매듭지어지기 전에 바리공주에게는 결핍된 상태에서 바로 약수를 찾기 위한 여정을 해야 하는 선택의 순간을 맞이한다. 필요에 의해 다시 이어진 관계 속에서의 선택이 바리공주에게 온전한 선택의 여유를 주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가시성
2. 바리공주의 아버지는 길년(吉年)을 참지 않고 혼례를 올린다.
3. 바리공주의 위로 내리 여섯 딸을 낳고, 일곱째로 바리공주가 태어난다.
4. 바리공주가 아버지로부터 딸이라는 이유로 버려지다.
5. 바리공주가 구출자로부터 구해져 기아의 상태에서 벗어나다.
6. 바리공주가 구출자로부터 여성이라는 이유로 버려지고, 양육자를 만난다.
7. 바리공주의 아버지(혹은 부모님)가 바리공주를 버린 죄로 병에 걸리고, 점복하니, 그 병 은 약수를 통해서만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8. 바리공주의 부모님이 신하를 통해 바리공주를 찾는다.
9. 바리공주는 부모님과 피를 합쳐보고 나서 혈육(血肉)임을 알고 부모님과 만난다.
10. 바리공주의 아버지가 약수 약수는 부모님을 살릴 유일한 약으로, 이본(異本)에 따라 피살이꽃, 뼈살이꽃, 숨살이꽃과 같이 등장하거나, 피살이, 뼈살이, 숨살이를 이루어 줄 매개체들도 같이 등장하기도 한다.
를 구해올 사람을 찾지만 여섯 명의 공주를 비롯해서 나서 는 사람이 없다. 마지막 바리공주가 유일하게 약수를 구해오겠다 말한다.
11. 바리공주가 약수를 구하기 위해 남복(男服) 이본(異本)에 따라 남복(男服)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을 하고 여정을 떠난다.
12. 약수를 구하기 위한 여정 길에 구출자를 만나 여정에 도움이 될 물건 이본(異本)에 따라 그 명칭(名稱)은 다르지만, 바리공주가 약수지킴이를 만나기 전까지 역경을 헤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을 받는다.
13. 바리공주는 역경 끝에 약수지킴이를 만난다.
14. 약수지킴이의 요구로 물 긷기를 3년, 불 떼기를 3년, 나무 베기를 3년 하여 9년의 세월 을 보낸다.
15. 약수지킴이가 바리공주가 여성이라는 것을 알고 아들 일곱 명(혹은 세 명)을 낳아 달라 요구한다.
16. 바리공주가 약수를 얻었으나, 아버지(혹은 부모님)가 이미 돌아가셨음을 알게 된다.
17. 약수지킴이와 자식들과 함께 아버지(혹은 부모님)께 돌아가는 데, 돌아가는 와중에 혼 들이 타고 있는 배를 본다.
18. 이미 죽고 상을 치르고 있는 아버지(혹은 부모님)를 약수로 되살려낸다.
19. 되살아난 아버지는 금은보화든 나라의 반이든, 바리공주가 원하는 것을 들어준다고 하 나, 바리공주는 아버지에게 부모에게 먼저 허락받지 않고 결혼한 죄를 구한다.
20. 바리공주는 아버지의 보상을 거절하고, 죽은 영혼들을 관장하는 신이 된다.
Ⅲ. <바리공주> 속 인물(character)
1. 바리공주
<바리공주>의 전체적인 면에서, 바리공주가 사건을 대하는 모습을 보자면 바리공주는 크게 두 가지 모습을 지니고 있다.
첫째, <바리공주> 전체 이야기를 크게 보자면, 바리공주는 이야기 말미(末尾)에 아버지의 보상을 거절하고 죽은 영혼들을 관장하는 신이 되는 순간을 제외하면, 사건을 주도적으로 이끈 인물이 아니라, 사건에 이끌려 간 인물이다. 그런 의미에서 바리공주는 객체성(客體性)을 지닌 인물이다.
<바리공주> 속에 드러나는 주요 사건들을 살펴보면 바리공주가 지닌 사건에 대한 객체성(客體性)을 볼 수 있다. 바리공주가 버려지는 사건, 병에 걸린 부모를 위해 약수를 찾아가는 사건, 약수를 찾으며 고난은 <바리공주>가 가진 이야기의 뼈대이기 때문에 주요사건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주요 사건들은 모두 바리공주의 행동에 따른 사건들이라기보다 그 기원이 바리공주의 아버지에게서 나온다. 그래서 바리공주가 사건을 맞대하여 사건의 해결 방향에 대해 선택하는 폭도 좁을 수밖에 없다.
주요 사건들 속의 바리공주의 행동 양상을 보면,
“종묘사직은 누구에게 전하며 조정 백관은 뉘게 의지하리. 또 시녀 상궁은 누구에게 의지하리. 내 전생의 죄가 남아 옥황상제에게 일곱 딸을 점지하였구나. 서해 용왕에게 진상이나 보내리다.” 김태곤, 1979, 서사무가집, 집문당, 223쪽
이왕 갖다버리는 애기 애명이나 지어주손이다
버렸다 버리대기 더졌다 더지대기
나라에 칠공주가 사해용신에 진상가는 날로 스원이다 서울새남굿보존회 편, 조흥윤 감수, 「서울 새남굿 신가집」, 문덕사, 1996, p183.
우선 바리공주가 버려지는 사건은 바리공주가 개입할 수조차 없는 사건이다. 모든 사건의 발단이 되는 사건이지만, 이 사건에서 바리공주는 선택권조차 가질 수 없는 영아의 상태였다. 바리공주가 태어나면서부터 형성된 ‘아버지와 딸’이라는 혈연관계에서 선택할 여지도 없이 일방적으로 부정당하고, 곧바로 관계가 끊기는 상황을 맞이했다. 그 증거로 이름마저 ‘버려졌다’는 것을 뜻하는 바리공주가 되고 만다.
초공쥬 불너내여. 부모소양 갈여는야?
삼천궁녀 못가는 것을, 소녀 엇지 가오릿가?
듈재 공쥬 불나내여, 부모소양 갈여는야?
형님이 못가는 것을, 소녀 엇지 가오릿가?
셋재 공쥬를 불너내여, 부모소양 갈여는야?
두 형님 못가는 것을, 소녀 엇지 가오릿가?
사공쥬 불너내여, 부모소양 갈여는야?
세 형님 못가는 것을 소녀 엇지 가오릿가?
오공쥬 불너내여. 부모소양 갈여는야?
네 형님 못가는 것을 소녀 엇지 가오릿가?
육공쥬 불너내여, 부모소양 갈여는야?
다섯 형님 못가는 것을, 소녀 엇지 가오릿가?
칠공쥬 불너내여, 부모소양 갈여는야?
국가에 은혜와 신세는 안젓지만은
어마마마 배안에 열 달 들어잇든 공으로
소녀 가오리다 서대석, 박경신 역주, 「서사무가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p. 239
병에 걸린 부모를 위해 약수를 찾아가는 사건에서는 바리공주가 친부모를 찾아 나서기 전에 ‘병’이라는 요인에 의해서 부모에 의해 먼저 혈연관계를 다시 맺게 되고, 바로 약수를 찾는 여정에 대한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을 맞게 된다. 바리공주는 자의에 의한 선택이 아닌 상태로 혈연관계를 다시 잇기 시작했고, 관계를 형성하는 ‘부모와 딸’의 상호간의 이해가 제대로 매듭지어지기 전에 바리공주에게는 결핍된 상태에서 바로 약수를 찾기 위한 여정을 해야 하는 선택의 순간을 맞이한다. 필요에 의해 다시 이어진 관계 속에서의 선택이 바리공주에게 온전한 선택의 여유를 주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가시성
키워드
추천자료
고소설(古小說)
<제석본(帝釋本)풀이> 내용 소개 및 분석
[대학국어작문]판소리에서 임기응변과 변조의 의미
[고대문학] 설화 - 전통문화와 창작정신
고전문학사 완벽정리
원시부터 근대까지의 한국문학사
제4판 한국문학통사 3 (조동일) 요약, 정리
고전소설(김만중의 구운몽)
[판소리][연주형태][웃음양상][대중문화][광대문화]판소리의 정의, 판소리의 특징, 판소리의 ...
국문학개론
설화의 개념 및 특징
구비문학론 - 제02장 <설화> (총설, 신화, 전설, 민담)
[설화(說話)의 개념 및 설화의 구술성과 이야기판] 설화의 개념 및 설화의 구술성과 이야기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