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개론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3) 가면극의 형성과정과 역사
①농경의례(굿)에서 발전한 가면극으로는 河回(하회)가면극(12과장으로 구성)과 江陵端午(강릉단오)굿의 官奴假面劇(관노가면극)(대사가 없는 默劇(묵극))이 있다. ②신라의 처용무와 오기, 고려의 연등회, 팔관회 등이 산대잡희로 발전된다.
(4) 탈놀음 臺詞(대사)의 형식
①탈놀음의 대사는 민중의 일상생활에서 전승되는 풍부한 구어를 그대로 쓰고, 사투리, 비속어, 외설어, 신소리와 말재롱, 속담, 관용적 표현, 전고의 인용 등이 사용된다. ②탈놀음의 대사 속에는 일정한 윤율이 있고, 기존 가요의 사설이 많이 포함되어 있고, 반복법이 빈번하게 쓰이고 있다.
(5) 탈놀음의 극적 전개방식
①싸움의 형식 ②반복의 형식 ③정체 확인 형식
(6) 가면극의 형식체계(科場(과장)(=마당)의 성립배경)
①5과장의 오행에서 인유하여 형식체계가 정해졌다는 견해 ②가면극의 과장의 성립배경으로 판소리 12마당을 제시하는 견해 ③무속의례의 재차와 어떤 관련이 있지 않겠는가 하는 견해
(7) 대립, 갈등구조와 서민의식
①인간적인 약점의 출로 ②숭고한 것과 비속한 것의 결합 ③허무로의 돌변
3. 人形劇(인형극)
(1) 현재 전승되어 내려오는 유일의 인형극으로는 꼭두각시놀음이 있다.
(2) 꼭두각시놀음은 원래 남사당패의 남사당놀이에 포함되는 풍물, 버나(접시돌리기), 살판(땅재주), 어름(줄타기), 덧뵈기(탈놀음), 덜미(꼭두각시놀음)의 여섯 가지 놀이종목 가운데서 가장 마지막으로 공연되던 예술형태이다.
(3) 꼭두각시놀음은 모두 여덟 마당(또는 거리)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여덟 마당은 곡예장 거리, 뒷절 거리, 최영노의 집 거리, 동방노인 거리, 표생원 거리, 매사냥 거리, 평양감사 재상 거리, 건사 거리의 순서로 연행된다.
(4) 인형극에서도 가면극과 마찬가지로 타락한 승려가 등장한다.
(5) 인형극의 홍동지는 가면극의 취발이와 같은 역할을 한다.
(6) 인형극은 가면극보다는 불교에 대해서 관용적이다.
4.발탈
* 대나무등의 장치를 사용해서 팔을 조종한다는 점에서 인형극과 흡사
* 완성된 극이 아니라 재미있는 놀이의 성격이 강함
*******************************************************************************
漢文學(한문학)
1. 한문학의 개념
(1) 한문학은 우리의 글자가 없는 시기에 중국의 한자를 차용하여 우리 나라 사람들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한 문학을 말한다.
(2) 삼국 중 고구려가 제일 먼저 중국으로부터 한문을 유입하였으며, 신라는 가장 늦게 한문학을 받아들였지만 가장 우수한 문화기록을 남겼다.
2. 한문학의 범주
(1) 순수한 국문문하만이 국문학이 될 수 있다.
(2) 한문학과 순연한 한국문학을 큰 한국문학에 포함시키자는 절충론
3. 한문학의 양식 - 15類(류) 273子目(자목)으로 매우 복잡한 양식이다.
4. 한문학의 흐름
(1) 삼국시대의 한문학
* 을지문덕<여수장우중문시>-적장을 잔뜩 추켜올려주는 척하며 속으로는 조롱
神策究天文 妙算窮地理.....
* 진덕여왕 <太平頌(태평송)>-외교관계를 돈독코자...사대주의적 발상이라는 비판.
* 최치원의 秋夜雨中 :고향을 그리는 향수
秋風唯苦吟 世路少知音....
*혜초의 왕오천축국전:기행시
(2) 고려의 한문학
고려전기: 귀족풍의 화려하고 섬세한 맛,감정 절제,유교의 영향으로 교훈성 강조
*정지상:율격의 규칙에서 약간벗어나는 요체시를 잘 지음.
雨歇長堤草色多 送君南浦動悲歌...............
*최승로:임금의 명을 받아 지은 應製詩(응제시)
去年會是滿失欄......
*김부식:교훈시. 문벌형성
무신난이후
*이인로:한림별곡에 인로시라고 칭해짐,죽림고회의 맹주
*임춘 :불우함 때문에 곤궁한 시 씀
*이규보:8000수이상의 많은시를 쓴 천재시인,색과 공의 경계를 자유로이 엄나들며 고도의 깨달음을 이끌어 냄
山僧貪月色 幷汲一甁中......
***동명왕편 :282행의 오언고체시,민족적 자존심을 느높임.
*이제현:한문학 작가 가운데 최고, <黃土店>에서 충선왕에 대한 충정어린 울분
민간에서 불려지던 민요를 7언절구로 번역하여 小樂府(소악부)펴냄.
(고려가요인 장암,사리화,수정사 등)
*圃隱(포은) 정몽주, 冶隱(야은) 길재, 陶隱(도은) 이종인-三隱
*牧隱(목은)이색-조선시대 사림파에 영향==>남근,김종직
(3) 조선조의 한문학
조선전기:
**훈구파(사장파)
정도전 - 조선조 개국을 예찬한 악장(문덕곡, 신도가 등)
권근(입학사설), 신숙주, 서거정(동인시화, 태평한화골계전), 강희맹(양화소록),성현
-비판적인 면모 부족, 백성들을 교화하는 한 방편
**사림파
김종직 :사장파의 문학관을 전면부정, 도를 중시하는 문학관
남효온 :김시습과 더불어 방외인 문학으로 일세를 풍미
**해동강서파
본래 강서파란 송나라 강서 출신의 황정견과 지사도등을 말함, 옛고사를 많이 사용하고 개성 적 표현을 중시하여 기발한 시를 지음
李荇(이행), 朴誾(박 은)
**삼당파 :-穆陵盛世(목릉성세)시대에 대표적인 시인
-載道문학이 갖는 한계를 절감하고 실행활에 밀착하여 보다 솔직한 시를 짓는데 전념
-시를 전업으로 하는 전문시인들이었음.
손곡 이달 : 허균의 스승, 서얼 출신
桐花夜烟落 海樹春雲空....
위 시는 '이예장과 헤어지며'라는 시. 벗과의 헤어질때 느낌을 청각적 이미지로 표현
최경창
백광훈
**유몽인,이수광 허균,권필-개혁적이고 저항적인 성향의 문사들이 새로운 문학을 일으킴
**月沙(월사) 이정구,象村 신흠, 谿谷 장유, 澤堂 이식:고급관료를 주축으로 정통 한문학으로의 복귀 시도(월,상,계, 택)
**閭巷詩人(여항시인),委巷詩人(위항시인)-아전,서얼,역관등 중인층 신분으로 독자적 영역 구축
**後四家(후사가)-전대의 월,상,계,택 四家와 구분, 세심한 관찰을 통한 생동감 있는 표현을 구사
이덕무 (잠자리를 시화하면서 날개 그림자를 마치 도자기에 난 잔금인 듯하다라고 표현)
유득공,(<二十一都懷古詩>를 통해 고조선 이래 21군데 도읍지를 돌아다니며 감회를 읊음)
박제가,이서구
**조선말 : 黃玹(황현)-한일합병이 되자 <絶命詩 >4수를 남기고 음독 자살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1.12.19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18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