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산성본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1. 연구목적

II. 기업개요

1. 기업소개

2. 경영이념

3. 연혁

4. CEO

5. 사업현황

6. 재무현황

▣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경쟁력 지표, 경쟁기업과의 비교까지도 파악해 볼 수 있는 온라인 경영컨설팅 서비스이다. 셋째, 대중소기업 성과공유제로 업종별 성과공유모델 및 표준계약서를 발급, 보급하는 등 확산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부정책 사업이다. KPC는 대중소기업 성과공유제 확산본부로서 성과공유제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 교육 및 국내외 성공사레 발굴 등의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5.11 CEO혁신사업
CEO혁신센터는 CEO의 경영역량 강화와 창조적 혁신 능력 배양을 위한 다양한 특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CEO 경영아카데미, CEO 혁신세미나, CEO 포럼, 차세대 CEO 비즈니스 스쿨로 국내 최고의 중소기업 CEO 역량 개발 러닝센터로서 세계와 경쟁하는 국내 중소기업의 경영자들에게 최고 수준의 교육 프로그램과 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국내 중소기업 경영자의 경영 역량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5.12 경영시스템인증
국가 산업 경쟁력 강화와 혁신 주도형 경제 성장의 선도적 역할을 위하여 생산성경영시스템 구축사업, 국가생산성대상(National Productivity Award : NPA) 사업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으며, 국가생산성경영체제에는 글로벌 기준 진단/심사, 경영역량성숙도 등급 인증, 기업 내 혁신인력 양성, 교육/컨설팅 지원이 있다.
생산성경영시스템 구축사업은 산업발전법 22조의 2에 근거한 국내외 최초의 경영혁신시스템 역량성숙도 등급인증제도이다. 구축사업의 단계에는 1단계 : 경영역량 수준평가, 2단계 : Action Plan 수립, 3단계 : 교육 및 혁신 OJT(on-the-job training) 지원, 4단계 : 혁신청과 모니터링의 순이다.
국가생산성대상제도는 산업발전법 제22조에 의거 생산성혁신 우수기업(기관) 및 유공자, 혁신팀을 발굴 포상하고 있으며, 기업 및 단체표창, 개인유공자표창, 생산성향상 우수기업지정, 혁신팀 표창이 있다.
6. 재무현황
<표 Ⅱ-1> KPC의 재무상태표
(단위 : 백만원) 구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자산
유동자산
15,955
13,487
13,611
15,596
17,363
비유동자산
11,779
12,283
12,130
12,172
12,261
자산총계
27,734
25,770
25,741
27,768
29,624
부채
유동부채
11,238
10,401
8,491
9,780
9,765
비유동부채
10,671
8,342
10,129
9,659
10,286
부채총계
21,909
18,743
18,620
19,439
20,051
자본
자본금
500
500
500
500
500
기타
5,325
6,527
6,621
7,829
9,073
자본총계
5,825
7,027
7,121
8,329
9,573
<표 Ⅱ-2> KPC의 손익계산서
(단위 : 백만원)구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매출액
57,896
66,063
73,130
84,400
94,966
매출원가
48,884
56,430
63,991
75,444
85,390
판관비
7,974
8,761
8,609
8,036
8,610
영업이익
1,038
872
530
920
966
영업외수익
392
1,450
467
542
613
영업외비용
230
987
644
39
81
법인세비용
155
134
259
214
254
당기순이익
1,045
1,201
94
1,209
1,244
총수익
58,288
67,513
73,597
84,942
95,579
총비용
58,288
67,513
73,597
84,942
95,579
출처 : http://www.kpc.or.kr/intro/public05.asp?c_menu=6_7&s_menu=6_7_5/2011.05.23
KPC의 재무 상태는 2006년에 자산총계가 약 270억원 이였고 2007년과 2008년에는 약 250억원정도로, 하락세를 보이다가 2009년에 다시 약 270억원으로 20억원정도가 증가하였으며 2010년에는 290억원으로 전년대비 20억원정도의 상승세를 나타냈다. 그 원인은 130억원, 150억원을 웃돌던 유동자산이 170억원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부채총계는 2006년의 210억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후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가 상승세와 하락세를 반복하면서 2010년 200억원대로 다시 올랐다. 자본금은 5억원으로 해 마다 똑같은 금액으로 시작하였으나 기타자본이 상승세를 보이면서 2006년에 50억원이던 자본금이 2010년에는 90억원으로 상승하였다. 또한 이익상태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매출총이익이 약 90억원대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영업이익은 2006년부터 판관비가 점차 증가하여 하락세를 보이다가 2009년 다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인건비와 교육에 지출되는 사업비, 그 외 운영비 증가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그리고 당기순이익은 2008년에 9천만원대로 급격히 하락하다가 2009년부터 다시 상승하고 있다.
▣ 참 고 문 헌
최동규(2011), “인간존중 생산성”, KPC
최동규(2011), “5가지 인간존중가치의 실천사례”, KPC
한국생산성본부(2008), “2008 KPC Program Guidebook", KPC
http://www.kpc.or.kr/images/intro/role_02.gif/2011.04.29
http://100.naver.com/100.nhn?docid=185934/2011.04.29
http://www.kpc.or.kr/intro/message.asp?c_menu=6_1/2011.05.13
http://www.kpc.or.kr/productivity/pro_kpc.asp?c_menu=3_5&s_menu=3_5_4/2011.05.13
http://www.kpc.or.kr/intro/history.asp?c_menu=6_2/2011.05.13
http://www.kpc.or.kr/intro/public05.asp?c_menu=6_7&s_menu=6_7_5/2011.05.23
http://www.kpc.or.kr/intro/public05.asp?c_menu=6_7&s_menu=6_7_5/2011.05.23

키워드

한국,   생산성,   본부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1.10.14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84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