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관찰이라는 원칙
2. 다음 원칙은 ‘느낌’
3. 욕구
4. 부탁.
5. 적용
6. 갈등의 중재
2. 다음 원칙은 ‘느낌’
3. 욕구
4. 부탁.
5. 적용
6. 갈등의 중재
본문내용
화를 잘 배운 사람은 상대방이 무슨 말을 하든 그 사람의 느낌과 욕구를 파악하려고 노력하고, 둘 사이를 좋게 만들 긍정적인 부탁을 생각해 내면 됩니다.
예를 들어 “당신 참 바보 같군요.”라고 누가 말한다면, 어찌 하시겠습니까? 이 방법을 배우기 전에는 화가 날지도 모르지만 화를 낼 필요가 없습니다. 이럴 땐 우선 상대방의 느낌을 관찰하면 됩니다. 그러고 나선 “혹시 제가 조금 전에 드린 말씀이 사실과 다르다고 생각하시나요?”라고 물어보면 됩니다. 많은 경우 사람들은 우리가 한 말에 동의할 수 없을 때 “당신 참 바보 같군요”라고 말합니다. “평가 대신 관찰”이라는 원칙을 배운 우리는 우리가 표현할 땐 평가 대신 관찰을 표현하도록 노력하고, 상대방이 우리를 평가하는 표현을 해도 그 표현에는 신경 쓰지 말고 그 표현에 담겨 있는 상대방의 관찰을 이끌어 내면 되는 것입니다.
6. 갈등의 중재
지금까지 비폭력대화라는 방법을 소개해봤습니다. 짧은 시간에 말씀 드리려다 보니 거의 수박 겉핥기가 되어 버렸네요. 말씀 드린 것처럼 이 방법인 훌륭한 방법이긴 하지만 워낙에 우리의 신념을 개선하고 말버릇도 고쳐야 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쉽게 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이 방법을 익히려면 훈련이 필요하고 지도자도 필요합니다. 특히 여러분이 어떤 갈등을 겪고 있다면, 비폭력대화를 잘 아는 사람이 중재해 줄 경우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비폭력대화 지도자들은 양측 모두 비난과 평가가 섞인 말들을 쏟아부어도 그 중에서 사실, 느낌, 욕구 등을 파악해 내서 양측의 욕구를 채울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도와 주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당신 참 바보 같군요.”라고 누가 말한다면, 어찌 하시겠습니까? 이 방법을 배우기 전에는 화가 날지도 모르지만 화를 낼 필요가 없습니다. 이럴 땐 우선 상대방의 느낌을 관찰하면 됩니다. 그러고 나선 “혹시 제가 조금 전에 드린 말씀이 사실과 다르다고 생각하시나요?”라고 물어보면 됩니다. 많은 경우 사람들은 우리가 한 말에 동의할 수 없을 때 “당신 참 바보 같군요”라고 말합니다. “평가 대신 관찰”이라는 원칙을 배운 우리는 우리가 표현할 땐 평가 대신 관찰을 표현하도록 노력하고, 상대방이 우리를 평가하는 표현을 해도 그 표현에는 신경 쓰지 말고 그 표현에 담겨 있는 상대방의 관찰을 이끌어 내면 되는 것입니다.
6. 갈등의 중재
지금까지 비폭력대화라는 방법을 소개해봤습니다. 짧은 시간에 말씀 드리려다 보니 거의 수박 겉핥기가 되어 버렸네요. 말씀 드린 것처럼 이 방법인 훌륭한 방법이긴 하지만 워낙에 우리의 신념을 개선하고 말버릇도 고쳐야 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쉽게 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이 방법을 익히려면 훈련이 필요하고 지도자도 필요합니다. 특히 여러분이 어떤 갈등을 겪고 있다면, 비폭력대화를 잘 아는 사람이 중재해 줄 경우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비폭력대화 지도자들은 양측 모두 비난과 평가가 섞인 말들을 쏟아부어도 그 중에서 사실, 느낌, 욕구 등을 파악해 내서 양측의 욕구를 채울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도와 주기 때문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