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Introduction & purpose
2.Materials
3.Method
4.Result
5.Discussion
6.References
2.Materials
3.Method
4.Result
5.Discussion
6.References
본문내용
cussion
[1]Pure culture에 대한 고찰
이번 실험의 목적은 p-cresol을 영양분으로 살아가는 균을 찾아내고 배양하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pure culture를 통하여 토양 속에서 각기 다른 균들 중 p-cresol을 탄소원으로 삼는 균을 독립적으로 배양을 했다. 그리고 그것을 희석을 하고, 대조군plate와 p-cresol이 첨가된 plate에 각각 배양해본 결과 희석의 농도가 커질수록 p-cresol을 탄소원으로 하는 균들의 수가 현저히 줄어들었다. 따라서 이번 실험의 pure culture에서의 얻은 균들중 p-cresol을 영양분삼아 자라는 균들이 적은 것을 할 유추할 수 있고, 또한 액체배지보다 고체배지에서 더욱더 성장이 활발하다는 이유로, 이 균들이 토양에서 생존하기에 적합하게 적응 돼 있는 균들이라고 볼 수 있다.
[2-1]p-cresol분해경로
[2-2]p-cresol분해의 연구사례
phenol 및 p-cresol의 미생물학적 분해
페놀 및 p-cresol 각각을 유일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기질농도에서의 분해능과 성장률을 시간별로 측정하였다. 위의 결과들을 토대로 하여 가장 적합한 kinetics 모델로 설정된 것은 Monod with Growth model이었다. 또한 가장 높은 u값은 Phenol 및 p-creosol 의 농도가 각각 2mM 일 때 0.68/h, 0.795/h/였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u 값이 점점 감소함으로써 고농도에서의 생육 저해를 보여주었다. 생장 가능한 기질 최고 농도는 Phenol 및 p-cresol각각 12mM, 8mM이었다. 그리고 위의 결과들은 이들 두 물질을 혼합 기질로 사용하였을 때의 실험결과와 비교 검토 되어졌다.
[3]Doubling time
미생물의 성장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 dx=X dt(식 1)
즉 시간변화(dt)에 따른 균수의 변화(dx)는 현존하는 균수(X)와 성장속도(u)의 곱으로 표현할 수있다.(식 1) 식 1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dx/dt=X(식 2).
식 2를 적분하면 Ln X=LnX0 + t(식 3)
Ln(X/X0)= t(식 4)
식 4로 부터 증식시간(td)는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td=Ln2/ =0.693/(식 5)
또한 세균은 이분법으로 분열하므로 미생물이 n번의 분열을 하면 균수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X/X0 =2n(식 6)
양변에 Log를 취하여 정리하면 => n=3.32*log(X/X0)(식 7)
식 6및 7을 이용하여 초기균수 103개, 식중독 유발 최저균수를 106개로 가정하여 미생물의 세대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106/103 = 2n n:세대수(Generation Number)
n=3.32*log(106/103)
n=9.96
즉 1000마리의 균이 이분법으로 약10회 증식 시 백만마리에 도달한다는 뜻으로 이때 소요되는 시간은 doubling time을 곱해 줌으로써 계산할 수 있다. 즉 doubling time 이 20분인 경우는 200분이 소요되며, 30분인 경우는 300분이 소요된다. 온도에 따른 doubling time의 보정으로 미생물의 doubling time은 특이적 성장속도(specific growth rate(u)) 값과 연관이 있다. 즉 성장속도(specific growth rate)가 증가하면 증식시간이 짧아지고 성장속도가 감소하면 증식시간은 길어진다. 이와 같이 미생물의 성장속도및 증식시간은 온도에 따라 영향을 받으므로 식품이 보관중인 온도에 따라 증식시간(doubling time)을 보정해 주어야한다. E. coli에서의 생육온도와 specific growth rate는 1958년 Ingraham에 의해 연구되어졌다. 이 연구 data를 이용하여 각 온도에 따른 specific growth rate를 그림 1에서 구한 후 specific growth rate와 doubling time과의 전환식(식 5: doubling time=ln2/=0.693/)에 의해 doubling time을 구할 수 있다.
References
http://www.kfia.or.kr/sjdd/download/sik01.doc
Jeong JJ, Kim JH, Kim CK, Hwang I, Lee K. (2003) Microbiology. Vol. 149, pages 3265-77.
장웅석, 김근배. (1993) 가을 학술발표회 초록집, page 22-22(1)
[1]Pure culture에 대한 고찰
이번 실험의 목적은 p-cresol을 영양분으로 살아가는 균을 찾아내고 배양하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pure culture를 통하여 토양 속에서 각기 다른 균들 중 p-cresol을 탄소원으로 삼는 균을 독립적으로 배양을 했다. 그리고 그것을 희석을 하고, 대조군plate와 p-cresol이 첨가된 plate에 각각 배양해본 결과 희석의 농도가 커질수록 p-cresol을 탄소원으로 하는 균들의 수가 현저히 줄어들었다. 따라서 이번 실험의 pure culture에서의 얻은 균들중 p-cresol을 영양분삼아 자라는 균들이 적은 것을 할 유추할 수 있고, 또한 액체배지보다 고체배지에서 더욱더 성장이 활발하다는 이유로, 이 균들이 토양에서 생존하기에 적합하게 적응 돼 있는 균들이라고 볼 수 있다.
[2-1]p-cresol분해경로
[2-2]p-cresol분해의 연구사례
phenol 및 p-cresol의 미생물학적 분해
페놀 및 p-cresol 각각을 유일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기질농도에서의 분해능과 성장률을 시간별로 측정하였다. 위의 결과들을 토대로 하여 가장 적합한 kinetics 모델로 설정된 것은 Monod with Growth model이었다. 또한 가장 높은 u값은 Phenol 및 p-creosol 의 농도가 각각 2mM 일 때 0.68/h, 0.795/h/였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u 값이 점점 감소함으로써 고농도에서의 생육 저해를 보여주었다. 생장 가능한 기질 최고 농도는 Phenol 및 p-cresol각각 12mM, 8mM이었다. 그리고 위의 결과들은 이들 두 물질을 혼합 기질로 사용하였을 때의 실험결과와 비교 검토 되어졌다.
[3]Doubling time
미생물의 성장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 dx=X dt(식 1)
즉 시간변화(dt)에 따른 균수의 변화(dx)는 현존하는 균수(X)와 성장속도(u)의 곱으로 표현할 수있다.(식 1) 식 1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dx/dt=X(식 2).
식 2를 적분하면 Ln X=LnX0 + t(식 3)
Ln(X/X0)= t(식 4)
식 4로 부터 증식시간(td)는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td=Ln2/ =0.693/(식 5)
또한 세균은 이분법으로 분열하므로 미생물이 n번의 분열을 하면 균수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X/X0 =2n(식 6)
양변에 Log를 취하여 정리하면 => n=3.32*log(X/X0)(식 7)
식 6및 7을 이용하여 초기균수 103개, 식중독 유발 최저균수를 106개로 가정하여 미생물의 세대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106/103 = 2n n:세대수(Generation Number)
n=3.32*log(106/103)
n=9.96
즉 1000마리의 균이 이분법으로 약10회 증식 시 백만마리에 도달한다는 뜻으로 이때 소요되는 시간은 doubling time을 곱해 줌으로써 계산할 수 있다. 즉 doubling time 이 20분인 경우는 200분이 소요되며, 30분인 경우는 300분이 소요된다. 온도에 따른 doubling time의 보정으로 미생물의 doubling time은 특이적 성장속도(specific growth rate(u)) 값과 연관이 있다. 즉 성장속도(specific growth rate)가 증가하면 증식시간이 짧아지고 성장속도가 감소하면 증식시간은 길어진다. 이와 같이 미생물의 성장속도및 증식시간은 온도에 따라 영향을 받으므로 식품이 보관중인 온도에 따라 증식시간(doubling time)을 보정해 주어야한다. E. coli에서의 생육온도와 specific growth rate는 1958년 Ingraham에 의해 연구되어졌다. 이 연구 data를 이용하여 각 온도에 따른 specific growth rate를 그림 1에서 구한 후 specific growth rate와 doubling time과의 전환식(식 5: doubling time=ln2/=0.693/)에 의해 doubling time을 구할 수 있다.
References
http://www.kfia.or.kr/sjdd/download/sik01.doc
Jeong JJ, Kim JH, Kim CK, Hwang I, Lee K. (2003) Microbiology. Vol. 149, pages 3265-77.
장웅석, 김근배. (1993) 가을 학술발표회 초록집, page 22-22(1)
키워드
추천자료
독일의 맥주문화
P2P를 적용한 인터넷비즈니스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전자상거래)
RENAISSANCE and REPORMATION(르네상스와 종교개혁)
센서와 신호증폭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영아의 건강문제
병태 생리 - 빈혈, 백혈병, 혈소판 결함, 응고 결함
2007 봄부터는 비비드컬러가 다가옵니다
[자율규제][정보프라이버시보호 자율규제][언론 자율규제][인터넷방송 자율규제]자율규제의 ...
[P2P][P2P 특징][P2P 주요기능][P2P 서비스구조][P2P 서비스업체][P2P 문제점][P2P 전개 방향...
[교육심리학]1. 가드너의 중다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2. 콜버그...
[사회복지시설][사회복지서비스][사회복지체계]사회복지시설의 의미, 사회복지시설의 동향, ...
측정과 진동측정, 측정과 압력손실측정, 측정과 증기압측정, 측정과 회전수측정, 측정과 배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