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단원의 개관
1. 단원 소개
2. 단원의 계열
3. 단원의 목표
4. 단원의 지도 계획
5. 단원의 평가 계획
6. 단원 지도상의 유의점
Ⅱ.학생 실태 조사 및 분석
1. 좋아하는 학습 형태 조사
2. 좋아하는 사회 수업 방법 조사
3. 옛날에 쓰던 물건의 쓰임에 대해 알고 있는 정도 조사
4. 옛날에 쓰던 물건에 대한 흥미와 관심 조사
5. 수업에 반영할 점
Ⅲ.교재 연구
1. 주제 설정 이유
2. 문제 해결 학습 모형
Ⅳ.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1.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2. 판서계획
3. 학습지
1. 단원 소개
2. 단원의 계열
3. 단원의 목표
4. 단원의 지도 계획
5. 단원의 평가 계획
6. 단원 지도상의 유의점
Ⅱ.학생 실태 조사 및 분석
1. 좋아하는 학습 형태 조사
2. 좋아하는 사회 수업 방법 조사
3. 옛날에 쓰던 물건의 쓰임에 대해 알고 있는 정도 조사
4. 옛날에 쓰던 물건에 대한 흥미와 관심 조사
5. 수업에 반영할 점
Ⅲ.교재 연구
1. 주제 설정 이유
2. 문제 해결 학습 모형
Ⅳ.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1.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2. 판서계획
3. 학습지
본문내용
을 덜 들게 한다. - 매는 끈이 있다.
- ‘이기게’의 반대말
답 : 지게
4번 문제 - 흔들면 내가 원하는 것이 나온다.
- 불 난 집 - 손쉽게 가지고 다닐 수 있다.
- 냉방병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 오늘처럼 더운 여름날 사용한다.
답 : 부채
5번 문제 - 2개가 함께 쓰인다. - 하나는 두들길 때 쓴다.
- 두들기면 작은 공기 방울이 생긴다.
- 다른 하나는 올록볼록하게 골이 나 있다.
- 공기방울이 옷감 사이의 때를 밀어내 때가 잘 빠지게 한다.
답 : 빨래판과 빨랫방망이
6번 문제 - 구멍에 넣어야 나온다.
- 돌리면 내가 원하는 것이 나온다.
- 두 개가 만나야 한다. - 음식 맛을 좋게 한다.
- 곡식의 영양소 파괴를 줄일 수 있다.
답 : 맷돌
7번 문제 - 숨을 쉰다. - 작은 공기구멍이 있다.
- 진흙과 가는 모래
- 젓갈, 김치, 된장
- 음식을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답 : 옹기
적용 및 정리
학습 내용 정리
(모둠 TGT 게임)
차시 예고
▶활동3. 우리는 생활 도구 박사
T : 오늘 여러분이 공부를 열심히 했는지 모둠 별로 퀴즈를 풀어보며 확인해보겠습니다. 퀴즈는 난이도 하 1문제, 중 2문제, 상 1문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둠 별로 한 사람 당 한 문제씩 풀 것이니 누가 어떤 난이도의 문제를 풀 것인지 정하도록 합니다. 문제는 난이도에 상관없이 모두 1점씩이며, 각자 맡은 문제를 풀 때 다른 조원들은 답을 말하거나 힌트를 주어서는 안 됩니다. 먼저 퀴즈를 풀기 전에 오늘 배운 내용이 정리되어 있는 학습지를 보며 각자 5분 동안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T : 이제 퀴즈를 풀어 봅시다. 먼저 각 모둠에서 난이도 하를 맡은 친구들이 일어나서 퀴즈를 푼 뒤, 난이도 중과 난이도 상의 순서로 진행을 하겠습니다.
-모둠별로 역할을 나눈 뒤, 학습지를 보며 5분 동안 공부를 한다.
5′
4′
1′
◎정리 학습지, 타이머
◈정리 학습지를 미리 모둠 자리에 놔두어 시간을 단축하도록 하되, 미리 보지 못하도록 학습지를 말아서 끈으로 묶어 놓는다.
◎PPT, 답 기록 판, 자석
◈교사가 조별로 점수를 기록하며, 만약 다른 조원이 답을 말해주었다면 답이 맞았더라도 점수를 주지 않도록 한다.
-난이도 하 : 문제는 OX 문제입니다. 그림 속의 소가 끄는 기구로 밭을 갈 때 사용했던 기구의 이름은 쟁기이다. (O)
-난이도 중 : 답을 쓰는 문제입니다. 떡에 아름다운 무늬를 찍어 더 맛있어 보이게 할 때 쓰는 도구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떡살)
-난이도 중 : 옛날 우리 조상이 사용한 다듬잇돌과 다듬잇방망이는 오늘날 어떤 생활 도구와 쓰임이 같을까요? (다리미)
-난이도 상 : 답을 길게 쓰는 문제입니다. 옛날의 생활 도구 중 옹기에는 조상들의 어떤 지혜가 담겨 있나요? (음식을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T : 오늘 옛날 생활 도구의 쓰임새와 그 속에 담긴 조상들의 지혜에 대하여 공부하여 보았습니다. 선생님이 나누어 준 정리 학습지는 교과서 101쪽 위에 풀로 붙여둡니다.
▶차시 예고하기
T : 다음 시간에는 옛날 생활 도구의 좋은 점을 잇고 있는 오늘날의 생활 도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학습지를 교과서에 붙인다.
S : 네. 감사합니다.
평가 계획
성취기준
평 가 기 준
평가방법
상
중
하
옛날 생활 도구의 쓰임새와 그 속에 담긴 조상들의 지혜를 알 수 있다.
옛날 생활 도구의 쓰임새와 그 속에 담긴 조상들의 지혜를 잘 알고 문제 에 답할 수 있다.
옛날 생활 도구의 쓰임새와 그 속에 담긴 조상들의 지혜를 알 수 있다.
옛날 생활 도구의 쓰임새와 그 속에 담긴 조상들의 지혜를 잘 알지 못하며 문제에 답하지 못한다.
관찰평가
퀴즈
2. 판서계획
단원 3. 고장의 생활과 변화
학습목표 : 옛날과 오늘날의 생활 도구를 통해 생활 모습의 차이를 알 수 있다.
옛날 생활 도구에 담긴 조상들의 지혜와 슬기를 알 수 있다.
활동1>옛날 생활 도구의 쓰임새 알기
활동2>다섯 고개 -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생활 도구
활동3>우리는 생활 도구 박사
분단
O O O O 1
O O 2
O 8
3. 학습지
3- 지혜를 담아 온 생활 도구(96~102)
옛날의 생활 도구와 그 속에 담긴 조상들의 지혜와 슬기 알기(98~102)
1.옛날 생활 도구의 쓰임새 (쓰임이 같은 오늘날의 생활 도구)
가마솥
물을 데우거나 밥을 짓는 도구 (전기 압력 밥솥)
다듬잇돌과 다듬잇방망이
옷감을 두드려 반드럽게 하는 도구 (다리미)
지게
곡식이나 물건을 나르는 데 쓰는 도구 (지게차)
쟁기
논이나 밭을 가는 데 쓰는 농기구 (트랙터)
괭이
땅을 파거나 흙을 고르는 데 쓰는 농기구
낫
풀, 곡식을 베고 나뭇가지를 치는 데 쓰는 농기구 (예초기)
옹기
곡식이나 음식을 보관하는 도구 (냉장고/김치냉장고)
절구
곡식을 찧거나 빻는 도구
맷돌
곡물을 갈아서 가루로 만드는 도구 (믹서)
나막신
비가 올 때 신던 나무로 만든 신 (장화)
부채
손으로 쥐고 흔들어서 시원한 바람을 일으키는 데 쓰던 도구 (선풍기/에어컨)
화로
숯불을 담아 놓는 그릇, 주로 난방을 하거나 불씨를 보존하기 위한 도구 (난로/온풍기)
병풍
바람을 막거나 장식용으로 방 안에 치는 도구
호롱
그릇에 기름을 채우고 심지를 담가 불을 붙여 실내를 밝히는 데 쓰던 도구 (전등)
삼태기
흙이나 거름 등을 담아 나르는 데 쓰는 도구
도롱이
짚 등으로 엮어 허리나 어깨에 걸쳐 두르는 비옷 (비옷)
2. 생활 도구에 담겨 있는 조상들의 지혜
빨래판 : 골이 있어 빨래의 때를 쉽게 빠지게 함.
빨랫방망이 : 빨래를 두들기면 작은 공기 방울을 만들어 옷감 사이의 때를 밀어냄.
부채 : 자연 바람을 일으키고 가지고 다니기 편리하며, 냉방병의 걱정이 없음.
맷돌 : 돌이 마찰을 일으켜 음식을 갈아서 영양소 파괴도 줄이고 음식 맛도 좋음.
옹기 : 습기를 조절하여 음식을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음.
떡살 : 아름다운 무늬로 떡을 더 맛있게 보이게 함.
조각보 : 헝겊 자투리 하나라도 아껴서 다시 사용하는 지혜가 담겨 있음.
지게, 호미, 괭이 : 농사짓는 데 힘을 덜 들일 수 있음.
- ‘이기게’의 반대말
답 : 지게
4번 문제 - 흔들면 내가 원하는 것이 나온다.
- 불 난 집 - 손쉽게 가지고 다닐 수 있다.
- 냉방병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 오늘처럼 더운 여름날 사용한다.
답 : 부채
5번 문제 - 2개가 함께 쓰인다. - 하나는 두들길 때 쓴다.
- 두들기면 작은 공기 방울이 생긴다.
- 다른 하나는 올록볼록하게 골이 나 있다.
- 공기방울이 옷감 사이의 때를 밀어내 때가 잘 빠지게 한다.
답 : 빨래판과 빨랫방망이
6번 문제 - 구멍에 넣어야 나온다.
- 돌리면 내가 원하는 것이 나온다.
- 두 개가 만나야 한다. - 음식 맛을 좋게 한다.
- 곡식의 영양소 파괴를 줄일 수 있다.
답 : 맷돌
7번 문제 - 숨을 쉰다. - 작은 공기구멍이 있다.
- 진흙과 가는 모래
- 젓갈, 김치, 된장
- 음식을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답 : 옹기
적용 및 정리
학습 내용 정리
(모둠 TGT 게임)
차시 예고
▶활동3. 우리는 생활 도구 박사
T : 오늘 여러분이 공부를 열심히 했는지 모둠 별로 퀴즈를 풀어보며 확인해보겠습니다. 퀴즈는 난이도 하 1문제, 중 2문제, 상 1문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둠 별로 한 사람 당 한 문제씩 풀 것이니 누가 어떤 난이도의 문제를 풀 것인지 정하도록 합니다. 문제는 난이도에 상관없이 모두 1점씩이며, 각자 맡은 문제를 풀 때 다른 조원들은 답을 말하거나 힌트를 주어서는 안 됩니다. 먼저 퀴즈를 풀기 전에 오늘 배운 내용이 정리되어 있는 학습지를 보며 각자 5분 동안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T : 이제 퀴즈를 풀어 봅시다. 먼저 각 모둠에서 난이도 하를 맡은 친구들이 일어나서 퀴즈를 푼 뒤, 난이도 중과 난이도 상의 순서로 진행을 하겠습니다.
-모둠별로 역할을 나눈 뒤, 학습지를 보며 5분 동안 공부를 한다.
5′
4′
1′
◎정리 학습지, 타이머
◈정리 학습지를 미리 모둠 자리에 놔두어 시간을 단축하도록 하되, 미리 보지 못하도록 학습지를 말아서 끈으로 묶어 놓는다.
◎PPT, 답 기록 판, 자석
◈교사가 조별로 점수를 기록하며, 만약 다른 조원이 답을 말해주었다면 답이 맞았더라도 점수를 주지 않도록 한다.
-난이도 하 : 문제는 OX 문제입니다. 그림 속의 소가 끄는 기구로 밭을 갈 때 사용했던 기구의 이름은 쟁기이다. (O)
-난이도 중 : 답을 쓰는 문제입니다. 떡에 아름다운 무늬를 찍어 더 맛있어 보이게 할 때 쓰는 도구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떡살)
-난이도 중 : 옛날 우리 조상이 사용한 다듬잇돌과 다듬잇방망이는 오늘날 어떤 생활 도구와 쓰임이 같을까요? (다리미)
-난이도 상 : 답을 길게 쓰는 문제입니다. 옛날의 생활 도구 중 옹기에는 조상들의 어떤 지혜가 담겨 있나요? (음식을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T : 오늘 옛날 생활 도구의 쓰임새와 그 속에 담긴 조상들의 지혜에 대하여 공부하여 보았습니다. 선생님이 나누어 준 정리 학습지는 교과서 101쪽 위에 풀로 붙여둡니다.
▶차시 예고하기
T : 다음 시간에는 옛날 생활 도구의 좋은 점을 잇고 있는 오늘날의 생활 도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학습지를 교과서에 붙인다.
S : 네. 감사합니다.
평가 계획
성취기준
평 가 기 준
평가방법
상
중
하
옛날 생활 도구의 쓰임새와 그 속에 담긴 조상들의 지혜를 알 수 있다.
옛날 생활 도구의 쓰임새와 그 속에 담긴 조상들의 지혜를 잘 알고 문제 에 답할 수 있다.
옛날 생활 도구의 쓰임새와 그 속에 담긴 조상들의 지혜를 알 수 있다.
옛날 생활 도구의 쓰임새와 그 속에 담긴 조상들의 지혜를 잘 알지 못하며 문제에 답하지 못한다.
관찰평가
퀴즈
2. 판서계획
단원 3. 고장의 생활과 변화
학습목표 : 옛날과 오늘날의 생활 도구를 통해 생활 모습의 차이를 알 수 있다.
옛날 생활 도구에 담긴 조상들의 지혜와 슬기를 알 수 있다.
활동1>옛날 생활 도구의 쓰임새 알기
활동2>다섯 고개 -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생활 도구
활동3>우리는 생활 도구 박사
분단
O O O O 1
O O 2
O 8
3. 학습지
3- 지혜를 담아 온 생활 도구(96~102)
옛날의 생활 도구와 그 속에 담긴 조상들의 지혜와 슬기 알기(98~102)
1.옛날 생활 도구의 쓰임새 (쓰임이 같은 오늘날의 생활 도구)
가마솥
물을 데우거나 밥을 짓는 도구 (전기 압력 밥솥)
다듬잇돌과 다듬잇방망이
옷감을 두드려 반드럽게 하는 도구 (다리미)
지게
곡식이나 물건을 나르는 데 쓰는 도구 (지게차)
쟁기
논이나 밭을 가는 데 쓰는 농기구 (트랙터)
괭이
땅을 파거나 흙을 고르는 데 쓰는 농기구
낫
풀, 곡식을 베고 나뭇가지를 치는 데 쓰는 농기구 (예초기)
옹기
곡식이나 음식을 보관하는 도구 (냉장고/김치냉장고)
절구
곡식을 찧거나 빻는 도구
맷돌
곡물을 갈아서 가루로 만드는 도구 (믹서)
나막신
비가 올 때 신던 나무로 만든 신 (장화)
부채
손으로 쥐고 흔들어서 시원한 바람을 일으키는 데 쓰던 도구 (선풍기/에어컨)
화로
숯불을 담아 놓는 그릇, 주로 난방을 하거나 불씨를 보존하기 위한 도구 (난로/온풍기)
병풍
바람을 막거나 장식용으로 방 안에 치는 도구
호롱
그릇에 기름을 채우고 심지를 담가 불을 붙여 실내를 밝히는 데 쓰던 도구 (전등)
삼태기
흙이나 거름 등을 담아 나르는 데 쓰는 도구
도롱이
짚 등으로 엮어 허리나 어깨에 걸쳐 두르는 비옷 (비옷)
2. 생활 도구에 담겨 있는 조상들의 지혜
빨래판 : 골이 있어 빨래의 때를 쉽게 빠지게 함.
빨랫방망이 : 빨래를 두들기면 작은 공기 방울을 만들어 옷감 사이의 때를 밀어냄.
부채 : 자연 바람을 일으키고 가지고 다니기 편리하며, 냉방병의 걱정이 없음.
맷돌 : 돌이 마찰을 일으켜 음식을 갈아서 영양소 파괴도 줄이고 음식 맛도 좋음.
옹기 : 습기를 조절하여 음식을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음.
떡살 : 아름다운 무늬로 떡을 더 맛있게 보이게 함.
조각보 : 헝겊 자투리 하나라도 아껴서 다시 사용하는 지혜가 담겨 있음.
지게, 호미, 괭이 : 농사짓는 데 힘을 덜 들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