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한옥 환경특성][한옥 기능적 분류][한옥 우수성][집터고르기][풍수지리]한옥의 성격, 한옥의 환경특성, 한옥의 기능적 분류, 한옥의 형성, 한옥의 우수성, 한옥 집터고르기, 한옥과 풍수지리, 한옥 관련 제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옥][한옥 환경특성][한옥 기능적 분류][한옥 우수성][집터고르기][풍수지리]한옥의 성격, 한옥의 환경특성, 한옥의 기능적 분류, 한옥의 형성, 한옥의 우수성, 한옥 집터고르기, 한옥과 풍수지리, 한옥 관련 제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옥의 성격

Ⅲ. 한옥의 환경특성
1. 배치계획
1) 원칙
2) 방위 및 배치
2. 평면계획
3. 일사(열) 및 일조(소독)계획
4. 통풍계획
5. 건축재료의 특성을 이용한 환경조절

Ⅳ. 한옥의 기능적 분류
1. 대청
2. 방
3. 사랑
4. 사당
5. 찬방
6. 부엌

Ⅴ. 한옥의 형성

Ⅵ. 한옥의 우수성

Ⅶ. 한옥의 집터고르기
1. 지세(地勢)를 논함
2. 평지에 집터를 고를 때
3. 골짜기에서 집터를 고를 때
4. 집터를 살펴봄

Ⅷ. 한옥과 풍수지리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오를 듯이 역지상향(逆之上向)하고 꼬리가 흐르는 물에 잠긴 듯이 형용되면 대길할 징조이다. 또 나성들이 수구를 바라다보면 좋고, 반대로 집이 있는 쪽을 보면 불길하다. 수구가 집과 가까우면 해롭고 떨어져 있으면 무방하다.
물길 중에 사주(砂洲, 모래 섬)가 있어 수상류(首上流)에 거슬릴 때 주(洲, 섬)가 하나이면 거당(巨當)하고, 주가 셋이면 더욱 좋으며, 주가 수구를 내려다보는 모양이면 가장 길하나, 그 주가 만약 낮으면 길하지 못하다.
□응사(應砂) : 집터 좌우와 앞쪽에 모래언덕(砂丘)이 있어 그 끝이 둥글고 아름다우면 자제(子弟)들이 과거에 급제할 징조이고, 그 형용이 탁필(卓筆)같이 보이면 문귀(文貴)할 것이며, 퇴갑둔군(堆甲屯軍)한 모습이면 무귀(武貴)하게 된다. 반대로 언덕 끝이 급경사이면 도적이 일고, 고탁(孤擢)한즉 스님이 배출될 상이며, 조화(燥火)한 듯이 느껴짐은 온역(瘟疫)과 화재(火災)가 일어날 조짐이다. 그것이 소탕(掃蕩)하면 쟁송(爭訟)할 암시이고, 사태가 나거나 해서 천망(天罔)한다면 작적(作賊)하여 병사(兵死)하게 된다. 이들의 방향은 모두 목성윤도(木星輪圖)에 의하여 추상(推詳)된다.
□집터 앞에 다리를 놓거나 탑[塔婆]을 세우며 서낭[城隍]을 쌓는 일은 모두 방위를 보게 마련이니 조심하여야지 함부로 해서는 안 된다.
□바람 부는 방향을 살핌 : 북쪽에서 부는 바람이 사입(射入)하면 자손이 낙수(落水)하고, 서북풍은 남녀의 음욕(淫慾)이고, 동북풍은 투군(投軍)하여 낙진(落陣)하고, 간방(艮方)에서 부는 바람은 온황장질(瘟簾瀆疾)이 창궐할 가능성이 있으며, 인방(寅方)의 바람은 호랑이에게 다칠 징조이며, 갑묘(甲卯)의 바람은 길에서 죽거나 다칠 조짐, 을방(乙方)의 바람은 자손의 눈이 멀거나 하는 액운이 있을 가능성이 높고, 진손(辰巽)의 바람은 주인이 두풍(頭風)할 것이며, 사병(巳丙)의 바람은 뱀에게 물리거나 하고, 수정(手丁)의 바람은 수재(水災)가 있을 것이며, 미(未)는 노채해소(市?咳嗽)의 병이 들고, 곤(坤)은 공송(公訟)이 있다. 신경(申庚)은 주폭패복(主暴敗覆)하고, 신(辛)은 간고(艱苦)하며, 해임(亥壬)은 가난하게 될 징조이다. 요풍(凹風)이 있어 취사(吹射)한즉 기산(氣散)하고, 바람이 좌입(左入)한즉 장방(長房)이 흠(欠)하고, 우입(右入)한즉 소방(小房)이 흠하니 이들은 모두 피하여야 한다.
Ⅷ. 한옥과 풍수지리
옛 한국인들은 자연에 순응하여 집을 꾸미고자 하였고, 이러한 생각으로 인해 집과 터의 조화에 대해 많은 신경을 썼다. 그래서 집을 짓기 전 집터를 고를 때에는 풍수지리설을 바탕으로 하여 물의 흐름, 바람의 방향과 역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집을 지었다.
한국 주택은 기단을 형성한 위 이 위에 다시 높은 바닥을 형성하기 때문에 일견 대지와 분리된 듯하나 들어열개로 된 분합문을 들쇠에 매달면 그 순간 대지와 분리되었던 바닥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은 외부공간, 다시 말해 자연공간과 융합한다. 또 내부공간은 창호지가 갖는 음의 투과로서 바람소리와 더불어 처마 끝 낙수 소리, 뒤뜨락 감나무 까치소리, 앞마당 느티나무의 매미소리 등의 자연음을 내부 공간에 투영시켜 다 한층 자연과의 융합성을 느끼게 한다. 한옥의 울타리는 높지 않게 지었는데, 이것은 자연과의 교감과 더불어 외부 사람들과의 교류를 위해서이다.
조선시대 주택의 외부공간은 대자연을 축소한 것 같은 중국의 정원이나 일본의 인공적인 정원과는 달리 지극히 자연과 조화되게, 꾸미지 않는 가운데 꾸미며, 꾸미면서도 꾸미지 않는 듯 극히 소박한 것이 그 특성이다. 이런 자연과의 융합성은 사용부재의 형태에서도 잘 나타난다. 흰재는 흰재 그대로 대들보나 문지방에 이용하고 막돌은 막돌대로 초석을 사용한다. 한옥은 건물의 구조를 지탱하는 기둥과 서까래, 창문 등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며, 장식적인 요소는 최대한 억제되어 있다. 공간의 구조나 사용되는 목재 등의 재료는 인위적 가공을 최소한으로 억제함으로써 자연의 이치와 형태가 그대로 드러날 수 있도록 배려되어 있는 것이다.
한국의 공간은 자연 속에서 순리대로 영위되고, 순리대로 그 속에서 살아가는 그런 공간적 특성을 지니는 것이다.
Ⅸ. 결론 및 제언
한옥의 구조에서 마당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데. 마당의 용도가 관상용이나, 장식적일 수도 있고, 농경에서 실용적으로 이용되는 공간이고 실내 공간의 연장으로 큰 역할을 하였다. 실용정원으로 채소밭이 되기도 하였고, 휴식, 잔치 및 행사, 놀이들이 이 외부공간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대청마루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데, 내부에 속한 공간이지만 개방성을 내포하기 때문에. 외부와 마찰 없이 부드럽게 연결해주고, 시각적 접촉 또한 실내와 실외를 잇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각 방에서의 손쉬운 출입으로 내부와 외부는 밀접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외부공간과 내부공간과의 연결은 인간의 정서를 풍요롭게 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아파트 등의 현대가옥이 가지는 장점은 많다. 하지만, 우리의 정서를 바탕으로 지어진 집, 우리의 정신이 깃 들여진 집을 단지 편리하다, 불편하다라는 잣대로만 측정하는 것은 곤란할 것이다. 창호지를 통해 들어오는 은은한 빛이 낭만으로 함께 할 수 있음은 집이란 단지 잠자는 공간이 아니라 “사람을 키우는 공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효율성과 편리성을 대표하는 현대가옥에 우리의 전통한옥이 가지는 여유로움을 합치시킬 수 있다면 인간적인 차원의 주거생활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며, 인간의 정서도 훨씬 풍요로워 질 수 있을 것이다. 21세기에는 세계화되는 추세에서 외국의 가옥 구조를 무조건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장점을 살려 한옥의 전통을 현대적인 가옥 구조와 조화시켜 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광언(2000), 한국의 집 지킴이, 다락방
정미진(1997), 전통가옥에서 나타나는 한국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주거학연구회, 새로 쓰는 주거문화
주택문화사(2002), 한옥의 재발견
한림출판사 편집부(1999), Hanoak(한옥) 239
햇살과 나무꾼(2001), 조상들의 지혜가 하나씩 15가지 생활 과학 이야기, 채우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10.2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93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