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 목
2. 실험목적
3. 이 론
4. 실험방법
5. 실험 시 주의 사항
2. 실험목적
3. 이 론
4. 실험방법
5. 실험 시 주의 사항
본문내용
.9
30.05
22.8
10
13.65
30.05
22.5
평 균
13.765
30.07
22.735
표준오차
0.032
0.008
0.083
보고값
2) 마이크로미터
(1) 철사, 머리카락의 직경과 종이의 두께 측정값
[단위] : mm
횟 수
철사 직경
머리카락 직경
종이 두께
1
0.732
0.088
0.157
2
0.733
0.087
0.160
3
0.731
0.089
0.160
4
0.731
0.086
0.159
5
0.732
0.083
0.160
6
0.733
0.087
0.156
7
0.734
0.085
0.155
8
0.731
0.089
0.158
9
0.732
0.088
0.160
10
0.733
0.085
0.157
평 균
0.7322
0.0867
0.1582
표준오차
0.0003
0.0006
0.0006
보고값
3) 구면계
(1) 측정값
[단위] : mm
횟 수
1
0.365
2.570
2.205
2
0.366
2.581
2.215
3
0.365
2.569
2.204
4
0.364
2.585
2.221
5
0.366
2.575
2.209
6
0.375
2.572
2.197
7
0.385
2.577
2.192
8
0.362
2.580
2.218
9
0.370
2.573
2.203
10
0.371
2.580
2.209
평 균
0.3689
2.5762
2.2073
표준오차
0.0022
0.0017
0.0029
보고값
[단위] : mm
횟 수
AB 사이의 거리
BC 사이의 거리
AC 사이의 거리
1
80.4
80.4
80.4
2
80.9
80.9
80.9
3
80.8
80.8
80.8
4
80.7
80.7
80.7
5
80.5
80.5
80.5
평 균
80.66
80.66
80.66
총 평균 a : 80.66
표준오차 σ : 0.07
* 높이 h = h2-h1 = 2.2073 mm , σh = 0.0029
정점 사이의 거리 a = 80.66 mm , σh = 0.07
3. 토론
버니어 캘리퍼, 마이크로미터, 구면계를 다루면서 눈금 읽는 연습을 할 수 있었던 계기가 된 것 같다. 그리고 오차가 0.003~0.07 정도가 났는데, 이러한 것들은 각자의 보는 관점과 올바르지 못한 기기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었다고 생각한다.
측정을 10회를 하게 되면서 눈의 피로함을 느낄 수 있었지만 반복적인 측정으로 정확한 값에 근접할 수 있었다 생각하고, 기기의 사용에 한층 더 여유로움을 느낄 수 있었다.
30.05
22.8
10
13.65
30.05
22.5
평 균
13.765
30.07
22.735
표준오차
0.032
0.008
0.083
보고값
2) 마이크로미터
(1) 철사, 머리카락의 직경과 종이의 두께 측정값
[단위] : mm
횟 수
철사 직경
머리카락 직경
종이 두께
1
0.732
0.088
0.157
2
0.733
0.087
0.160
3
0.731
0.089
0.160
4
0.731
0.086
0.159
5
0.732
0.083
0.160
6
0.733
0.087
0.156
7
0.734
0.085
0.155
8
0.731
0.089
0.158
9
0.732
0.088
0.160
10
0.733
0.085
0.157
평 균
0.7322
0.0867
0.1582
표준오차
0.0003
0.0006
0.0006
보고값
3) 구면계
(1) 측정값
[단위] : mm
횟 수
1
0.365
2.570
2.205
2
0.366
2.581
2.215
3
0.365
2.569
2.204
4
0.364
2.585
2.221
5
0.366
2.575
2.209
6
0.375
2.572
2.197
7
0.385
2.577
2.192
8
0.362
2.580
2.218
9
0.370
2.573
2.203
10
0.371
2.580
2.209
평 균
0.3689
2.5762
2.2073
표준오차
0.0022
0.0017
0.0029
보고값
[단위] : mm
횟 수
AB 사이의 거리
BC 사이의 거리
AC 사이의 거리
1
80.4
80.4
80.4
2
80.9
80.9
80.9
3
80.8
80.8
80.8
4
80.7
80.7
80.7
5
80.5
80.5
80.5
평 균
80.66
80.66
80.66
총 평균 a : 80.66
표준오차 σ : 0.07
* 높이 h = h2-h1 = 2.2073 mm , σh = 0.0029
정점 사이의 거리 a = 80.66 mm , σh = 0.07
3. 토론
버니어 캘리퍼, 마이크로미터, 구면계를 다루면서 눈금 읽는 연습을 할 수 있었던 계기가 된 것 같다. 그리고 오차가 0.003~0.07 정도가 났는데, 이러한 것들은 각자의 보는 관점과 올바르지 못한 기기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었다고 생각한다.
측정을 10회를 하게 되면서 눈의 피로함을 느낄 수 있었지만 반복적인 측정으로 정확한 값에 근접할 수 있었다 생각하고, 기기의 사용에 한층 더 여유로움을 느낄 수 있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일반물리학실험] 강체의 단진동 예비보고서
자기유도(전류천칭)<일반물리학실험//형설출판사//경희대학교>
RLC회로의 임피던스<일반물리학실험//형설출판사//경희대학교>
RLC 공진회로<일반물리학실험//형설출판사//경희대학교>
[일반물리학실험Ⅰ] 7장. 힘과 일 (결과레포트)
[Solution] 일반물리학8판 솔루션(Ch1 ~ 39)
[일반물리학 실험] RLC회로의 임피던스 : 저항(resistor), 인덕터(inductor) 및 축전기(capac...
[일반물리학 실험] RLC 공진회로 : 주파수 변화에 따른 RLC 병렬회로의 전류와 임피던스의 변...
[일반물리학실험] (결과) 교류회로 : 저항 및 축전기로 구성된 직렬 R-C회로에서 교류전압과 ...
[일반물리학 실험] 중력가속도 측정
[일반물리학] 포물체의 운동 : 물체가 각도를 가지고 발사된 경우의 운동을 살펴보고, 이 물...
[물리학] 에르빈 슈뢰딩거(Erwin Schrodinger/Schr&ouml;dinger)방정식에 관해서 (슈뢰...
[일반물리학 및 실험] 전자기 유도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