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ease의 활성도측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protease의 활성도측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원리
2. 실험 기구 및 시약
3. 실험방법
4. 실험결과
5. 고찰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 효소처리하지 않은 분리대두단백을 사용하였다.
Yamashita 등(1970)의 방법을 변형하여 가수분해도를 측정하였다. 즉, 효소처리 또는 무처리한 분리대두단백 1g을 각각 증류수 100ml 첨가하여 자석교반기로 교반시켜 분산시킨 후, 이 용액 1ml를 취하여 Lowry법으로 질소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위의 분산액 중 각각 10ml를 취하여 20% trichloro acetic (TCA) 10ml와 혼합한 후 3,980×g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상등액 1ml를 취하여 Lowry법으로 질소량을 측정하였다. 가수분해도는 다음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Degree of hydrolysis (%) = TCA soluble protein/Total protein × 100
가수분해도를 측정한 결과, 비효소처리군은 6.9%로 제조과정에서 약간의 효소처리가 된 것으로 사료되며, Flavourzyme으로 20분, 30분 처리한 경우는 각각 29.8, 35%, Neutrase로 20분, 30분 처리한 경우는 각각 49.4, 55.4% 였다. 따라서 Neutrase 처리군은 가수분해도는 비효소처리군 보다 7.2~8.0배 증가되었고 Flavourzyme 처리군은 4.3~5.1배 증가하였다.
< 참고문헌 >
- 김수연, Moderate halophiles의 분리와 생성된 단백분해효소의 특성에 관한 연 구, 생물학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9. 2
- 박미정, 대두단백분해물을 이용한 frozen soy yogurt의 제조 및 품질 특성 분 석,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학위논문, 2002.6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10.23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99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