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자리 이야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맨눈으로 보는 밤하늘
1 별자리의 역사
2 별자리 이름과 약자
3 별의 밝기
4 별 이름
5 그리스 알파벳 읽는 법
6 1등성인 별
7 별자리 익히는 방법
8 별자리 관측 준비물

[2] 봄.여름밤 하늘의 별자리
1 북쪽하늘의 별자리
2 봄 하늘의 별자리
3 여름 하늘의 별자리

[3] 가을,겨울밤 하늘의 별자리
1 가을 하늘의 별자리
2 겨울 하늘의 별자리

본문내용

자 모양의 '궁수자리'에 이르는데 여기가 은하수의 폭이 가장 넓고 우리 은하의 중심 부근으로 생각되는 곳이다. 한편, 궁수자리의 서쪽으로 길게 S자 모양 또는 낚시 바늘 모양의 '전갈자리'는 여름밤의 대표적인 별자리이다. 전갈의 심장부에 붉은 1등성 '안타레스'가 매우 인상적이다.
'목동자리'와 '거문고자리'의 중앙에 H자 모양을 한 '헤라클레스자리'가 있다. 헤라클레스는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헤라의 미움을 받아 노예가 되었다. 그 후 자유의 몸이 되기 위한 그의 12가지 모험은 너무나도 유명하다. 헤라클레스자리에 있는 'M13 구상성단'을 망원경으로 보면 작은 솜 덩어리 모양으로 보이는데, 매우 신비로움을 느끼게 된다.
헤라클레스자리와 전갈자리 사이에 있는 '땅꾼(자리)'은 왕관자리 남쪽에 삼각형 모양의 머리를 둔 뱀(자리)을 양손으로 잡고 있는 모습이 너무나도 뚜렷하다.
밤이 깊어 가면 동쪽 하늘에서 가을의 별자리인 큰 사각형 모양의 '페가수스자리'와 '안드로메다자리'가 하늘 중앙으로 떠오른다.
가을·겨울밤 하늘의 별자리
가을 하늘의 별자리
주요 별자리 : 카시오페이아, 세페우스, 안드로메다, 페르세우스, 페가수스, 염소, 물병, 물고기, 양, 고래
가을철 별자리와 전설
10월을 전후하여 가을철의 별자리는 밝은 별이 적어서 깊어 가는 가을과 함께 쓸쓸함을 느끼게 한다. 가을철의 별자리 중에서 북쪽하늘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카시오페이아이다. 가을철의 별자리는 카시오페이아를 기준으로 찾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카시오페이아는 특징 있는 모양이 M자 모양으로 동쪽하늘에서 올라오고 북두칠성은 서서히 서쪽하늘로 내려간다. 카시오페이아는 이디오피아의 왕비이며 카시오페이아의 알파와 베타를 베타 쪽에서 알파 쪽으로 연장하면 이디오피아의 왕인 세페우스를 찾을 수 있다. 세페우스는 오각형 형태이며 북극성을 가리키는 두별을 가지고 있다. 카시오페이아를 크게 북동쪽에서 감싸는 아름다운 곡선이 감동적으로 볼 수 있는데 이별은 그들의 딸 안드로메다 공주이다.
카시오페이아의 감마별에서 델타별로 연장하면 페르세우스의 호라고 불리우는 둥근 곡선이 있다. 이 곡선은 안드로메다 공주의 남편인 페르세우스 자리의 일부분이다. 페르세우스의 호가 끝나는 곳에 뿌연 천체가 보이는 데 이것이 유명한 플레이아데스 산개 성단이다.
안드로메다의 대곡선을 따라가다보면 유명한 페가수스 사각형을 찾을 수 있으며 페가수스 사각형을 찾으면 천마 페가수스 별자리를 찾을 수 있다. 페가수스의 동쪽 바로 옆에는 물고기자리가 있고 그 동쪽에는 고래자리가 있다. 물고기자리는 춘분점이 있는데 태양은 춘분에 춘분점을 지나간다. 고래자리는 바다의 신 포세이돈이 카시오페이아의 교만에 분노하여 이디오피아에 보낸 괴물고래이다. 이 때문에 그의 딸 안드로메다는 고래에게 제물로 바쳐진다. 이 때 메두사의 목을 베고 이곳을 지나던 페르세우스가 메두사의 머리를 괴물고래에게 보여 고래를 돌로 만들고 안드로메다 공주를 구하여 결혼하게 된다. 이때 메두사의 목에서 피가 바다로 떨어지자 바다의 신 포세이돈은 과거에 사랑했던 여인이 메두사로 변하여 죽은 것을 불쌍히 여겨 천마 페가수스를 만든다.
겨울 하늘의 별자리
주요 별자리 : 오리온, 황소, 마차부, 쌍둥이, 작은개, 큰개, 토끼
겨울철 별자리와 전설
12월에 들어서면 날씨는 매섭게 춥지만 겨울 밤하늘은 가장 화려한 별자리를 자랑한다. 겨울철의 별자리는 다른 계절에 비해 가장 많은 1등성을 갖고 있다. 겨울철의 별자리는 오리온자리를 기준으로 찾아 나간다. 오리온자리는 사각형과 삼태성으로 적도 부근에 있으므로 비교적 밝고 특징이 뚜렷하므로 가장 찾기 쉬운 별자리이다. 오리온은 바다의 신 포세이돈의 아들로서 키가 크고 힘이 센 사냥꾼이었는데,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와는 서로 사랑하는 사이였다. 그러나 여신의 오빠인 아폴로의 방해에 의해 오리온은 죽게 되었다. 아르테미스는 오리온에 대한 사랑을 영원히 간직하기 위하여 언제라도 볼 수 있도록 하늘에 올려달라고 제우스에게 부탁하였다. 그리하여 오리온은 달 밝은 밤에도, 도시의 불빛 속에서도 잘 보인다고 한다. 전갈자리 안타레스와 양쪽의 두 개 별이 합쳐진 세 개의 별을 '상'이라고 하고, 오리온의 허리에 해당하는 세별을 '삼태성'이라고 한다. 이 삼태성과 상은 서로 만나지 못하기 때문에 옛날 중국의 '삼'과 '상'이라는 두 불화하는 형제에 비유되어 '삼상불상견(三商不相見)'이라는 고사가 전해진다. 이것은 전갈자리와 오리온자리가 서로 반대편에 있어서 전갈자리가 떠오르면 오리온이 지고 오리온이 떠오르면 전갈이 지기 때문이다.
오리온을 찾으면 오리온을 기준으로 성도와 비교하여 다른 별자리를 찾으면 된다. 오리온자리 오른쪽 위에는 V자 모양의 황소자리가 있다. 오리온자리 위에는 5각형 모양의 마차부 자리가 있다. 오리온자리 왼쪽 위에는 쌍둥이자리가 있다. 황소자리와 쌍둥이자리는 황도12궁에 속하는 별자리로 황소자리와 쌍둥이자리 사이에 동지점이 있다. 황소는 아름다운 에우로파 공주를 아내로 삼으려고 제우스신이 변신한 것이다. '유럽'이라는 말은 에우로파 공주의 이름에 그 어원을 두고 있다. 카스토르와 폴룩스 두 형제는 아름다운 두 자매를 차지하기 위하여 그 아가씨들의 약혼자들과 싸우게 된다. 이 때, 형인 카스토르가 죽자 불사의 몸을 가진 폴룩스가 슬퍼하여 아버지 제우스에게 찾아가 죽음을 부탁했다. 제우스는 이들 형제의 우애에 감동하여, 이들이 하루의 반은 지하세계에서, 나머지 반은 지상에서 함께 지낼 수 있게 허락했다. 오리온 왼쪽에는 작은개자리가 있고, 오리온 왼쪽아래에는 큰개자리가 있다. 큰개자리의 알파별인 시리우스는 밤하늘의 별 중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큰개자리의 시리우스와 작은개 자리의 프로키온, 오리온 자리의 베텔쥬스가 겨울철의 정삼각형을 만든다. 오리온자리 아래에는 희미하지만 토끼 자리가 있다.
별자리의 전설(1∼2), 계몽사 과학부편, 계몽사
그래도 지구는 돈다, 박석재 지음, 소학사
천체 관측의 첫걸음, 제임스 머든 지음, 박승철 옮김, 가람기획
성운·성단 산책, 박승철 지음, 가람기획
우주를 이해하는 지름길, 박석재 지음, 선두과학사
  • 가격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08.06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01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