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수업에 들어가며
Ⅱ. 수업 설계
1. 단원
2. 단원의 개관
3. 단원 학습 목표
4. 단원 학습 계열
5. 단원 지도 계획
6. 단원 평가 계획
7. 지도상의 유의점
Ⅲ. 수업모형 적용에 따른 이론 탐색
1. 경험 학습 수업 모형의 특징
2. 수업의 절차
3. 활용예시
Ⅳ. 학습자 실태 분석
1. 학급 구성
2. 본시 학습 관련 실태
3. 설문조사를 통해 시사받은 점
Ⅴ. 본시 교수 학습 과정안
Ⅵ. 학습 평가 계획 및 판서 계획
Ⅶ. 기타
Ⅱ. 수업 설계
1. 단원
2. 단원의 개관
3. 단원 학습 목표
4. 단원 학습 계열
5. 단원 지도 계획
6. 단원 평가 계획
7. 지도상의 유의점
Ⅲ. 수업모형 적용에 따른 이론 탐색
1. 경험 학습 수업 모형의 특징
2. 수업의 절차
3. 활용예시
Ⅳ. 학습자 실태 분석
1. 학급 구성
2. 본시 학습 관련 실태
3. 설문조사를 통해 시사받은 점
Ⅴ. 본시 교수 학습 과정안
Ⅵ. 학습 평가 계획 및 판서 계획
Ⅶ. 기타
본문내용
함께 각 부위를 그려보며 익히는 활동을 전개한다.
T: 여러분들 학습지에 배추흰나비의 몸이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지요? 각각은 무엇일까요?
T: 이제부터 선생님과 하나씩 그려보며 배추흰나비의 생김새를 알아보도록 합시다.
T: 입은 어떤 모양인가요?
T: 머리 부분에는 무엇이 있나요?
T: 다리는 몇 쌍인가요?
T: 네. 잘 관찰해 보았네요. 마지막으로 배추흰나비는 앞날개 한 쌍과 뒷날개 한쌍을 그려 봅시다.
- 번데기의 모습을 떠올리며 배추흰나비가 번데기에서 어떻게 나올지 예상하여 본다.
S1: 몸을 작게 만들어서 번데기에서 나올 것 같아요.
S2: 힘들게 날개를 접고 나올 것 같아요.
- 자신이 예상해 본 모습을 특징을 살려 표현해 보도록 한다.
- 배추흰나비가 번데기에서 나오는 과정을 확인해 보며 자신의 예상과 비슷한지 주의 깊게 관찰해 본다.
S: 날개가 될 부분에 검은 점이 생겼어요.
S1: 아침에 나와요.
S2: 사육상자에 밤에는 나비가 없었는데 다음날 학교에 와보니 나비가 되어 있었어요.
S: 날개가 구겨지고 접혀져 있어서 날지 못해요.
S: 날개가 다 마른 후에 날 수 있어요.
S: 머리, 가슴, 배인 것 같아요.
S: 긴 대롱처럼 생겼어요.
S: 눈과 더듬이가 있어요.
S: 다리는 3쌍이 있어요.
◇ 환경부 자연 생태 라이브러리http://ecolib.or.kr (03′15″~04′15″)
◇ 학생들의 대답을 돕기 위해 영상물 화면을 캡쳐하여 ppt로 제시한다.
# 교실의 사육상자에서 학생들이 관찰한 내용이 있다면 수업내에서 적극 활용한다.
◇ 명칭을 그려나가면서 관련된 다른 곤충의 몸의 부위도 함께 제시하여 비교하며 이해를 돕는다.
◇ 각 부위의 모습은 영상물의 한 화면을 관찰하며 그려보도록 하여 실제 배추흰나비의 각 부위를 자세히 관찰해 볼 수 있는 기회로 삼는다.
탐색 결과 발표
활동 2
◆ 관찰 결과를 토대로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를 전체적으로 파악하고 신체로 표현해보기
- 배추흰나비 모습의 관찰로 한 살이 과정을 모두 학습한 후 신체활동을 통해 각 단계를 정리하는 시간을 갖는다.
T: 배추흰나비의 모습까지 잘 관찰해 보았나요? 이번에는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 과정을 몸으로 표현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해요.
- 교사는 학생을 차례로 지명하여 각 단계를 지칭하는 메모를 학생이 직접 뽑도록 한다. 대표적인 4단계 속에 숨어 있는 단계(알을 갉아먹는 모습, 허물벗는 모습, 날개를 말리는 모습)도 함께 제시하여 단순한 맞추기 학습이 되지 않도록 한다.
T: 다른 친구들은 앞에 나온 친구들의 모습을 보며 각 단계가 어떤 단계인지 맞추어 봅시다.
- 배추흰나비 한 살이 과정의 각 단계를 정리하여 보는 시간으로, 자기 나름대로의 표현으로 각 단계를 친구들에게 설명한다.
- 교사의 지명을 받은 학생이 차례로 나와 제비를 뽑는다.
- 신체로 표현한 학생들의 순서를 직접 나열해 봄으로서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 과정을 확실히 정리한다.
◇ 표현은 <체육>과의 움직임 표현 단원과 연관하여 지도한다.
교사의 인도에 따른 탐색
활동 3
◆ 완전 탈바꿈과 불완전 탈바꿈의 차이점 알기
- 완전 탈바꿈을 하는 배추흰나비의 관찰을 토대로 불완전 탈바꿈을 하는 곤충에 대해 알아보고 비교해 본다.
T: 앞의 화면에 나오는 곤충을 보고 어느 곤충의 한 살이인지 맞춰 보세요.
T: 맞아요. 이 곤충은 장수 풍뎅이예요. 장수풍뎅이의 한살이와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를 비교해 보고 어느 부분이 같은지 생각해 봅시다.
T: 자, 그런데 선생님이 여러 곤충을 조사하다보니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와는 다른 한 살이를 사는 곤충이 있었어요. 화면의 이 곤충은 어떤 곤충일지 생각해 볼까요?
T: 그럼 사마귀의 한살이는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와 어떤 점에서 다른가요?
T: 맞아요. 곤충에는 배추흰나비처럼 번데기 과정의 완전 탈바꿈하는 곤충도 있고 번데기가 되지 않고 바로 자라는 불완전 탈바꿈의 곤충도 있어요.
- 교사가 하나씩 열어주는 화면을 보고 어느 곤충의 한 살이 과정인지 예상하여 발표한다.
S: 장수 풍뎅이와 배추흰나비 모두 애벌레에서 번데기가 되었어요.
S: 사마귀인거 같은데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와는 좀 달라요.
S: 알에서 나올 때부터 사마귀 모습을 하고 있어요.
# 신체표현 후 주위를 정리하고 다른 곤충의 한 살이 퀴즈를 내면서 학생들의 주의를 집중시킨다.
◇ 4개로 분할된 ppt 화면을 한 장면씩 열어가며 학생들이 유추해 볼 기회를 주도록 한다.
정리
실험 관찰 정리
스마트 공책 정리
◆ 실험관찰 48쪽의 배추흰나비의 생김새 정리하기
◆ 스마트 공책 정리하기
T: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 과정을 스마트 공책에 정리해 봅시다.
T: 배추흰나비를 관찰한 후 성충이 된 배추흰나비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써 봅시다.
Ⅵ. 학습 평가 계획 및 판서 계획
가. 평가 계획
단원
재재요소
학습주제
성취기준
세부 평가 내용
평가방법
배추 흰나비의 모습 알아보기
배추흰나비
배추흰나비를 관찰하고 특징 파악하기
배추흰나비의 모습을 관찰하고 한 살이를 정리할 수 있다.
배추흰나비의 모습을 관찰하여 보고 해당하는 명칭을 기억할 수 있는가?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와 동물의 한 살이 과정과 비교하여 정리할 수 있는가?
관찰법
나. 평가 기준
평가관점
배추흰나비의 모습의 관찰을 통해 한 살이를 정리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동물의 한 살이에 대한 이해로 발전할 수 있는가?
방법
상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 단계를 정확히 알고 있으며 각 단계의 특징을 말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동물의 한 살이 과정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관찰법
(신체활동 표현 및
실험관찰 정리 내용)
중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 단계를 알고 있으나 각 단계의 특징을 설명이 미흡하다. 배추흰나비 한 살이와 동물의 한 살이 과정을 연결 시킬 수 있다.
하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 단계를 정확히 알고 있지 못하며 동물의 한 살이 과정과 관련짓지 못한다.
Ⅶ. 기타
판서 계획
<학습 목표>
(배추흰나비)를 관찰하고 그 특징을 말할 수 있다.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 과정을 말할 수 있다.
1. 예상하기
2. 관찰하기
가. 판서 계획
나. 좌석 배치도
앞
T: 여러분들 학습지에 배추흰나비의 몸이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지요? 각각은 무엇일까요?
T: 이제부터 선생님과 하나씩 그려보며 배추흰나비의 생김새를 알아보도록 합시다.
T: 입은 어떤 모양인가요?
T: 머리 부분에는 무엇이 있나요?
T: 다리는 몇 쌍인가요?
T: 네. 잘 관찰해 보았네요. 마지막으로 배추흰나비는 앞날개 한 쌍과 뒷날개 한쌍을 그려 봅시다.
- 번데기의 모습을 떠올리며 배추흰나비가 번데기에서 어떻게 나올지 예상하여 본다.
S1: 몸을 작게 만들어서 번데기에서 나올 것 같아요.
S2: 힘들게 날개를 접고 나올 것 같아요.
- 자신이 예상해 본 모습을 특징을 살려 표현해 보도록 한다.
- 배추흰나비가 번데기에서 나오는 과정을 확인해 보며 자신의 예상과 비슷한지 주의 깊게 관찰해 본다.
S: 날개가 될 부분에 검은 점이 생겼어요.
S1: 아침에 나와요.
S2: 사육상자에 밤에는 나비가 없었는데 다음날 학교에 와보니 나비가 되어 있었어요.
S: 날개가 구겨지고 접혀져 있어서 날지 못해요.
S: 날개가 다 마른 후에 날 수 있어요.
S: 머리, 가슴, 배인 것 같아요.
S: 긴 대롱처럼 생겼어요.
S: 눈과 더듬이가 있어요.
S: 다리는 3쌍이 있어요.
◇ 환경부 자연 생태 라이브러리http://ecolib.or.kr (03′15″~04′15″)
◇ 학생들의 대답을 돕기 위해 영상물 화면을 캡쳐하여 ppt로 제시한다.
# 교실의 사육상자에서 학생들이 관찰한 내용이 있다면 수업내에서 적극 활용한다.
◇ 명칭을 그려나가면서 관련된 다른 곤충의 몸의 부위도 함께 제시하여 비교하며 이해를 돕는다.
◇ 각 부위의 모습은 영상물의 한 화면을 관찰하며 그려보도록 하여 실제 배추흰나비의 각 부위를 자세히 관찰해 볼 수 있는 기회로 삼는다.
탐색 결과 발표
활동 2
◆ 관찰 결과를 토대로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를 전체적으로 파악하고 신체로 표현해보기
- 배추흰나비 모습의 관찰로 한 살이 과정을 모두 학습한 후 신체활동을 통해 각 단계를 정리하는 시간을 갖는다.
T: 배추흰나비의 모습까지 잘 관찰해 보았나요? 이번에는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 과정을 몸으로 표현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해요.
- 교사는 학생을 차례로 지명하여 각 단계를 지칭하는 메모를 학생이 직접 뽑도록 한다. 대표적인 4단계 속에 숨어 있는 단계(알을 갉아먹는 모습, 허물벗는 모습, 날개를 말리는 모습)도 함께 제시하여 단순한 맞추기 학습이 되지 않도록 한다.
T: 다른 친구들은 앞에 나온 친구들의 모습을 보며 각 단계가 어떤 단계인지 맞추어 봅시다.
- 배추흰나비 한 살이 과정의 각 단계를 정리하여 보는 시간으로, 자기 나름대로의 표현으로 각 단계를 친구들에게 설명한다.
- 교사의 지명을 받은 학생이 차례로 나와 제비를 뽑는다.
- 신체로 표현한 학생들의 순서를 직접 나열해 봄으로서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 과정을 확실히 정리한다.
◇ 표현은 <체육>과의 움직임 표현 단원과 연관하여 지도한다.
교사의 인도에 따른 탐색
활동 3
◆ 완전 탈바꿈과 불완전 탈바꿈의 차이점 알기
- 완전 탈바꿈을 하는 배추흰나비의 관찰을 토대로 불완전 탈바꿈을 하는 곤충에 대해 알아보고 비교해 본다.
T: 앞의 화면에 나오는 곤충을 보고 어느 곤충의 한 살이인지 맞춰 보세요.
T: 맞아요. 이 곤충은 장수 풍뎅이예요. 장수풍뎅이의 한살이와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를 비교해 보고 어느 부분이 같은지 생각해 봅시다.
T: 자, 그런데 선생님이 여러 곤충을 조사하다보니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와는 다른 한 살이를 사는 곤충이 있었어요. 화면의 이 곤충은 어떤 곤충일지 생각해 볼까요?
T: 그럼 사마귀의 한살이는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와 어떤 점에서 다른가요?
T: 맞아요. 곤충에는 배추흰나비처럼 번데기 과정의 완전 탈바꿈하는 곤충도 있고 번데기가 되지 않고 바로 자라는 불완전 탈바꿈의 곤충도 있어요.
- 교사가 하나씩 열어주는 화면을 보고 어느 곤충의 한 살이 과정인지 예상하여 발표한다.
S: 장수 풍뎅이와 배추흰나비 모두 애벌레에서 번데기가 되었어요.
S: 사마귀인거 같은데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와는 좀 달라요.
S: 알에서 나올 때부터 사마귀 모습을 하고 있어요.
# 신체표현 후 주위를 정리하고 다른 곤충의 한 살이 퀴즈를 내면서 학생들의 주의를 집중시킨다.
◇ 4개로 분할된 ppt 화면을 한 장면씩 열어가며 학생들이 유추해 볼 기회를 주도록 한다.
정리
실험 관찰 정리
스마트 공책 정리
◆ 실험관찰 48쪽의 배추흰나비의 생김새 정리하기
◆ 스마트 공책 정리하기
T: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 과정을 스마트 공책에 정리해 봅시다.
T: 배추흰나비를 관찰한 후 성충이 된 배추흰나비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써 봅시다.
Ⅵ. 학습 평가 계획 및 판서 계획
가. 평가 계획
단원
재재요소
학습주제
성취기준
세부 평가 내용
평가방법
배추 흰나비의 모습 알아보기
배추흰나비
배추흰나비를 관찰하고 특징 파악하기
배추흰나비의 모습을 관찰하고 한 살이를 정리할 수 있다.
배추흰나비의 모습을 관찰하여 보고 해당하는 명칭을 기억할 수 있는가?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와 동물의 한 살이 과정과 비교하여 정리할 수 있는가?
관찰법
나. 평가 기준
평가관점
배추흰나비의 모습의 관찰을 통해 한 살이를 정리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동물의 한 살이에 대한 이해로 발전할 수 있는가?
방법
상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 단계를 정확히 알고 있으며 각 단계의 특징을 말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동물의 한 살이 과정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관찰법
(신체활동 표현 및
실험관찰 정리 내용)
중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 단계를 알고 있으나 각 단계의 특징을 설명이 미흡하다. 배추흰나비 한 살이와 동물의 한 살이 과정을 연결 시킬 수 있다.
하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 단계를 정확히 알고 있지 못하며 동물의 한 살이 과정과 관련짓지 못한다.
Ⅶ. 기타
판서 계획
<학습 목표>
(배추흰나비)를 관찰하고 그 특징을 말할 수 있다.
(배추흰나비)의 (한 살이) 과정을 말할 수 있다.
1. 예상하기
2. 관찰하기
가. 판서 계획
나. 좌석 배치도
앞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론-행동주의 이론
정철의 관동별곡 조사 및 감상
[독후감/서평/요약]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
교사용 지도서 수업지도안 분석 및 비평
신생아실(NR)실습레포트
전신성 홍반성 낭창
[한국전통문양][단청문양][문양][전통문양][단청][단청문양 시대별 색채]한국전통문양의 개념...
OCU 대학생을 위한 리더십 실천 A+보장 완전정리!, 사용방법과 팁 문서내 있음
[사회복지실천기술론]상담 및 심리치료의 기본기법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과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의 비교연구
한국의 전통민속놀이 자료집 (2010년 05월)
Chapter 11 빛의 굴절
[수술실 케이스 컨퍼런스 (Case Conference)] 갑상선암 / 갑상선절제술.pptx
★추천자료★[미술치료의 적용-치매환자 적용] 치매의 증상, 치매의 개념, 치매 환자의 미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