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현실치료의 이론적 배경
2.현실치료의 목표
3.현실치료의 특징
4.정신장애의 발생원인
5.사례
2.현실치료의 목표
3.현실치료의 특징
4.정신장애의 발생원인
5.사례
본문내용
목표달성
9
지금까지의 나의 모습을 돌아보는 활동을 체험하여 변화된 모습을 발견한다.
1.행복한 나 발견
2.자기모습 돌아보며 자신감 찾기
3.집단원간의 진실 나누기
10
상담 전후의 내 모습 비교를 통한 '행복한 나'를 느끼며 집단상담 참여 소감을 나눈다.
1.행복의 나라 도착
2.집단원들 간의 긍정적 교류
3.프로그램 마무리 및 소감 발표
4.사후검사
≫ 척도 및 연구절차
사전검사 : 자아존중감 척도와 우울증 척도, 휴대폰 중독 질문지를 사용.
사후검사 : 사전검사와 동일한 검사도구로 실험처치가 끝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실 시하였다.
추후검사 : 사후검사 끝난 후 사전검사, 사후검사와 동일한 검사도구로 3주 후에 실험집단 과 통제집단에게 실시하였다.
척 도 : 우울증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이용.
2) WDEP 기법에 따른 현실치료의 예
(1) W (Want) -원함, 욕구, 지각의 탐색
질문으로 내담자의 내적 세계 (사진첩, 좋은 세계) 탐색
무엇을 원하는지, 무엇이 충족되지 않았는지, 무엇을 위해 원하는지, 얼마나 열심히 노력할지, 자신과 다른 사람을 어떻게 보는지 등에 관해 질문하고 답한다.
바람과 지각 나누기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원하는 것을 말하기, 말고 상담자가 내담자의 상황, 행동, 바람 등을 어떻게 보는지 말하기
상담에 대한 약속 얻기
더 효과적인 행동을 찾을 수 있도록 내담자의 바람을 더 확고히 하기
(2) D (Direction and Doing) - 삶의 목표 정하고 행동에 초점두기
내담자들이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지에 관한 자세한 사항 뿐 아니라 삶의 방향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기, 비효율적인 자기 말, 효율적인 자기 말 토의하기
≫전체 행동지각을 위해 What Are You Doing?을 질문한다.
(1) What 세부사항 묘사
(2) Are 현재 행동을 강조 : 과거의 성공은 미래를 위한 유용한 데이터를 공급하지만 과거의 비참한 기억을 계속 이야기하는 것은 현재 통제할 수 없는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내담자의 지각만 늘릴 뿐이다. 과거는 고정되어 있고 변화 가능한 것은 현재와 미래뿐이다.
(3) You 내담자가 통제할 수 있는 행동에 관해 말하기
(4) Doing 전체 행동 중 직접적인 통제를 갖고 있는 행동에 관해 말하기
3) E (Evaluation) - 평가하기
현실치료의 핵심으로 전체 행동의 각 요소가 욕구충족에 도움이 되는지 혹은 방해가 되는지를 포함하여 내담자 스스로가 자신의 행동을 평가하도록 돕는 과정이다. 내담자가 자신이 하고 있는 것을 평가해서 그것이 도움이 되는가 라는 질문에 답을 하게 하는 것이 변화의 시작이다. 사후지도, 자문,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자신의 행동을 평가한다.
4) P (Planning and Commitment) - 계획하기와 확언하기
비효과적이고 부정적인 것을 찾아서 효과적이고 긍정적으로 고치기 위해 계획을 짜는 것과 그에 대해 확언 받기의 과정이다. 작은 독립적 계획이 변화의 첫걸음이 된다. 계속적인 상담자의 지지와 격려가 필요하다.
9
지금까지의 나의 모습을 돌아보는 활동을 체험하여 변화된 모습을 발견한다.
1.행복한 나 발견
2.자기모습 돌아보며 자신감 찾기
3.집단원간의 진실 나누기
10
상담 전후의 내 모습 비교를 통한 '행복한 나'를 느끼며 집단상담 참여 소감을 나눈다.
1.행복의 나라 도착
2.집단원들 간의 긍정적 교류
3.프로그램 마무리 및 소감 발표
4.사후검사
≫ 척도 및 연구절차
사전검사 : 자아존중감 척도와 우울증 척도, 휴대폰 중독 질문지를 사용.
사후검사 : 사전검사와 동일한 검사도구로 실험처치가 끝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실 시하였다.
추후검사 : 사후검사 끝난 후 사전검사, 사후검사와 동일한 검사도구로 3주 후에 실험집단 과 통제집단에게 실시하였다.
척 도 : 우울증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이용.
2) WDEP 기법에 따른 현실치료의 예
(1) W (Want) -원함, 욕구, 지각의 탐색
질문으로 내담자의 내적 세계 (사진첩, 좋은 세계) 탐색
무엇을 원하는지, 무엇이 충족되지 않았는지, 무엇을 위해 원하는지, 얼마나 열심히 노력할지, 자신과 다른 사람을 어떻게 보는지 등에 관해 질문하고 답한다.
바람과 지각 나누기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원하는 것을 말하기, 말고 상담자가 내담자의 상황, 행동, 바람 등을 어떻게 보는지 말하기
상담에 대한 약속 얻기
더 효과적인 행동을 찾을 수 있도록 내담자의 바람을 더 확고히 하기
(2) D (Direction and Doing) - 삶의 목표 정하고 행동에 초점두기
내담자들이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지에 관한 자세한 사항 뿐 아니라 삶의 방향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기, 비효율적인 자기 말, 효율적인 자기 말 토의하기
≫전체 행동지각을 위해 What Are You Doing?을 질문한다.
(1) What 세부사항 묘사
(2) Are 현재 행동을 강조 : 과거의 성공은 미래를 위한 유용한 데이터를 공급하지만 과거의 비참한 기억을 계속 이야기하는 것은 현재 통제할 수 없는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내담자의 지각만 늘릴 뿐이다. 과거는 고정되어 있고 변화 가능한 것은 현재와 미래뿐이다.
(3) You 내담자가 통제할 수 있는 행동에 관해 말하기
(4) Doing 전체 행동 중 직접적인 통제를 갖고 있는 행동에 관해 말하기
3) E (Evaluation) - 평가하기
현실치료의 핵심으로 전체 행동의 각 요소가 욕구충족에 도움이 되는지 혹은 방해가 되는지를 포함하여 내담자 스스로가 자신의 행동을 평가하도록 돕는 과정이다. 내담자가 자신이 하고 있는 것을 평가해서 그것이 도움이 되는가 라는 질문에 답을 하게 하는 것이 변화의 시작이다. 사후지도, 자문,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자신의 행동을 평가한다.
4) P (Planning and Commitment) - 계획하기와 확언하기
비효과적이고 부정적인 것을 찾아서 효과적이고 긍정적으로 고치기 위해 계획을 짜는 것과 그에 대해 확언 받기의 과정이다. 작은 독립적 계획이 변화의 첫걸음이 된다. 계속적인 상담자의 지지와 격려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