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이란 무엇일까] 행복에 대한 진정한 의미와 우리가 생각하는 행복[2012년 평가우수자료★★★★★]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 p.3
: 마림



Ⅱ. 본론: 차원에 따른 접근
차원1. 가정 ― p.6


차원2. 학교 ― p.10


차원3. 친구 ― p.12


차원4. 개인 ― p.16




Ⅲ. 결론 ― p.19



Ⅳ. 참고문헌 ― p.21

본문내용

에서 공통된 관심사를 가지고 있고, 많은 시간을 함께 공유하면서 자연스럽게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는 ‘나만의’ 친구가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심리적으로 가장 친밀하고, 이로부터 안정감을 얻는다. 그런데 또래관계에 지나치게 집착하다 보면 상처를 받을 수 있고, 또래 압력에 동조하여 괴로워하게 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또래 압력으로부터 도태되어 집단 따돌림을 당하게 되기도 한다. 이렇게 집단적이고 지속적, 보편적인 집단 따돌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또래관계, 학교 그리고 사회 차원에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대책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청소년기에서 위와 같은 요소들로 인하여 쌓인 스트레스를 쉽게 해소할 수 있는 방향으로 청소년의 행복감은 상승할 수 있다. 긍정적 자기암시, 스스로 칭찬하기, 문제 상황에 대한 인정 및 수용, 자신에 대한 관찰과 기록 및 점진적 노력 등은 분명히 내적으로 청소년에게 힘을 실어줄 수 있고, 이를 뒷받침 할 사회적 차원에서의 노력 역시 필요하다.
청소년기는 사회의 온전한 구성원으로서 역할하기 위해 정신적, 육체적으로 발달하는 아주 중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이 시기에서 청소년들이 행복을 느낄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선택이 아닌 우리의 의무이다. 개개인의 노력 그리고 사회 제도적 차원에서 뒷받침 등 모두가 최선을 다하여 ‘청소년의 행복’을 지켜주어야 한다.
♣ 조원들이 생각하는 행복
행복은 ( )이다. 왜냐하면
a: 행복은 자기만족감이다. 왜냐하면 행복의 기준은 개인마다 다르고, 그 개인의 마음에서 어떤 결정을 하고, 어떻게 느끼는지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돈이 없어도 자기가 번만큼만 사용하면서 만족을 느끼고 기부도 하면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보면 행복의 기준은 정해져 있다기 보다는 개인의 마음에서 부터 출발한다고 생각한다.
b: 행복은 뷔페이다. 왜냐하면 뷔페에는 여러 가지 음식이 있는 것처럼 세상에는 다양한 행복이 있다. 그리고 뷔페에 있는 음식을 적당히 즐기면서 먹지 않고 많이 먹으려고 욕심 부리면 나중에 배탈이 나는 것처럼 나의 상황에 만족하지 못하고 더 많은 것을 가지려고 하다보면 나중에 불행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c: 행복은 리모콘 찾기이다. 왜냐하면 사방팔방 여기저기에서 찾아대지만 결국 내 주변, 가까이에 있는 것이다.
d: 행복은 숨은그림찾기이다. 행복은 일상 속에서 숨어 있고, 그 모습이 생각했던 것과 조금씩 다르고 어려워 보이지만 찾으려 노력하기 시작하면 생각보다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e: 행복은 방금 놓친 버스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항상 행복한 순간에는 행복임을 깨닫지 못하고, 행복이 지나가고 나서 행복하지 않을 때야 비로소 '그 때는 행복했었는데'하고 깨닫기 때문이다. 놓친 버스의 뒷꽁무니를 보고 있어도, 그 버스는 돌아오지 않는다. 우리는 이제 다가올 행복을 기다리며, 그 행복이 내게로 왔을 때 놓치지 않고 바로 탈 수 있어야 한다.
f: 행복은 거울보기이다. 왜냐하면 스트레스와 부적응의 발생 요인은 개인이 자기 자신에 대해 제대로 바라 볼 줄 모르고, 지나친 기대감을 가지기 때문이다. 자신을 제대로 바라보는 것, 그것은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고, 자신의 가치도 바라 볼 줄 아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자신의 장점과 단점을 모두 바라볼 수 있을 때 행복이라는 곳에 다다를 수 있다고 생각한다.
g: 행복은 공기이다. 왜냐하면 모든 사람은 공기가 없이는 살아갈 수조차 없는, 삶의 필요조건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Ⅳ. 참고문헌
김태련,『발달심리학』, 학지사, 2004
리즈 호가드, 『행복(BBC 다큐멘터리)』, 예담, 2005
후쿠타 세이지, 『핀란드 교육의 성공』, 북스힐, 2008
F. Philip Rice, Kim Gale Dolgin, 『청소년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9
곽금주, “한국의 왕따와 예방프로그램”,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Vol.14, No.1 특집호), 2008
권이종, “학교 내에서의 집단 따돌림의 발생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학교 내의 폭력을 중심으로-”, 청소년학 연구 7권 2호, 2000
이지연, “청소년 자녀의 양육태도 개선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전경희, “기독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연구”,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02
정태연, “한국 청소년들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Vol.15 No.1 특집호), 2009
허영선, “청소년이 지각한 행복감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황세진,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의 문제점과 대안적 모색: 거창고등학교 사례를 통하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4
http://blog.daum.net/home77/5686895
http://blog.daum.net/readjoy/4634123
http://blog.naver.com/mhseo73/150003717541
http://cafe.naver.com/angelcoach/287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48668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920593792&cp=nv
http://news20.busan.com/news/newsController.jsp?subSectionId=1010010000&newsId=20091127000052
http://www.bokjitimes.com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17718#
http://www.kyongbuk.co.kr/main/news/news_content.php?id=483248&news_area=110&news_divide=&news_local=15&effect=4
http://www.siminilbo.co.kr/article.aspx?cat_code=02020000N&article_id=20100301141500134
MBC뉴스 2007년 06월 11일자 (http://www.imnews.com)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1.10.30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07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