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행복을 분배하는 방식, 정의의 문제에 대해서는 침묵함. 따라서 공리주의는 부정의한 상황을 방치할 가능성을 지님.
- 오직 산출된 혹은 산출될 결과만을 옳고 그름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삼는 것은 도덕적 현실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편협한 입장임. 그 기준은 공리의 원리만으로 부족하며, 정의나 권리 같은 의무론적 요소가 요청됨.
3) 자연주의적 오류
- 오직 산출된 혹은 산출될 결과만을 옳고 그름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삼는 것은 도덕적 현실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편협한 입장임. 그 기준은 공리의 원리만으로 부족하며, 정의나 권리 같은 의무론적 요소가 요청됨.
3) 자연주의적 오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