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즈위크의 보편적 공리주의와, 무어의 직관적 공리주의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해당 자료는 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시즈위크의 보편적 쾌락주의/공리주의

2.무어의 직관주의적 공리주의
1)선의 의미(선이란 무엇인가)
(1)선의 정의 불가능성
(2)자연주의적 오류
(3)선의 정의 불가능성이 가진 윤리학적 함축
2)어떠한 사물이 그 자체로 선한가?
3)존재들을 최선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 어떤 행위를 해야 하는가? (옳은 행위/의무)

본문내용

주의이기 때문이다. 의무란 더 많은 선을 세상에 가져올 수 있는 행위를 해야한다는 것이다. 다만 중요한 것은 이때의 선은 쾌락으로 환원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상론했듯이 쾌락은 <좋음>을 지니고 있는 <좋은 것>들 중의 하나일 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가 추구해야 하는 것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 아니라, ‘최대 다수의 최대 선’일 따름이다.
  • 가격600
  • 페이지수2페이지
  • 등록일2011.08.01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22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