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해결중심치료 개념
Ⅱ. 해결중심치료 기본원리
Ⅲ. 해결중심치료와 문제중심치료 접근방법의 비교
Ⅳ. 해결중심치료 실제기술
Ⅴ.해결중심치료에 적합한 클라이언트& 한계점
Ⅶ. 해결중심치료 적용의 예
* 참고자료
Ⅱ. 해결중심치료 기본원리
Ⅲ. 해결중심치료와 문제중심치료 접근방법의 비교
Ⅳ. 해결중심치료 실제기술
Ⅴ.해결중심치료에 적합한 클라이언트& 한계점
Ⅶ. 해결중심치료 적용의 예
* 참고자료
본문내용
데 아주 잘 하고 계십니다. 오늘은 지난번에 했던 과제보다 좀 더 적극적인 과제를 내드리려고 합니다. 괜찮으시겠어 요?
내담자 : 네. 어떻게 되는 해보겠습니다.
치료자 : 그 상사분은 직장에서 수시로 만날 기회가 있지요?
내담자 : 네. 하루에 12번도 더 마주칩니다.
치료자 : 네... 그렇군요. 좋습니다. 그럼 저번과제보다 조금 더 적극적인 표현들을 그 상사 분께 해보시기 바랍니다. 분명한건 저번과제보다는 조금 더 긍정적이고 적극적으 로 하시는겁니다.
내담자 : 아... 네. 알겠습니다.
치료자 : 그럼 다음주에 또 뵙도록 하겠습니다. 조심히 가세요
3) 세 번째 상담내용
치료자 : 안녕하세요? 어떻게 잘 지내셨지요?.
내담자 : (밝은 표정으로) 네.. 덕분에 아주 잘 보냈습니다.
치료자 : 네 고맙습니다. 동건씨의 밝은 표정을 보니 저도 기분이 좋아 집니다.
내담자 : 하하하 그래요? 고맙습니다.
치료자 : 지난 한 주는 어떠셨어요?
내담자 : 그냥 편하게 마음을 먹고 그 상사를 대했어요.
치료자 : 네.. 아주 잘 하셨네요. 지금 상사와의 관계에서의 기분은 어떠세요?
내담자 : 점점 좋아지고 있다는 기분이었어요. 아직도 관계가 어색하기는 하지만 많이 좋아 졌다는 것을 다른 동료들이 먼저 얘기를 하더라구요.
치료자 : 그 상사분과 관계가 좋아지고 있다니 저도 너무 기분이 좋아집니다. 그것도 바로 주의의 동료들에게 인정받았다니까 동건씨의 노력이 느껴지네요.
그럼 어떻게 그 상사분에게 어떤 긍정적인 관심을 적극적으로 표현하셨나요?
내담자 : 그냥 사소한 것들부터 감사에 표현 등을 수시로 했어요. 자연스럽게 옆자리에도 자주 앉았지요.
처음에는 그 상사도 어색해 했지만 차차 자연스러운 관계로 흘러가고 있다는 느낌 이 들어요.
아참. 퇴근길에 그 상사와 단 둘이는 아니지만 퇴근 후에 다른 직원 한명과 맥주 한 잔하자는 이야기를 상사에게 했어요.
치료자 : 와! 그러셨군요. 정말 대단한 용기를 가지고 말씀 하셨을 것 같은데, 그 때 상사분 의 표정이나 행동은 어떻던가요?
내담자 : 상사에게 말하는 저보다 더 쑥쓰러워 하는 것 같았어요.
그렇게 쑥스러워하는 모습에 맥주한 잔 하자는 말을 하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고 요.
그리고 상사의 쑥쓰러워하는 모습에 뭐랄까 뿌듯한 느낌이 들었던 것 같았어요.
무엇인지 구체적으로는 모르겠지만 이제 관계가 많이 좋아졌다는 어렴풋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치료자 : 정말 그런 마음이 드셨다니 저도 덩달이 뿌듯해지네요.
그럼 지금의 상황에서 상사와의 관계에 몇 점 정도의 점수를 주고 싶으세요?
내담자 : 7점에서 8점 정도여.
치료자 : 그렇군요. 그렇다면 1점이 아니라 10점으로 가기위해서는 그 상사분과의 관계에서 뭐가 좀 더 달라지면 좋을까요?
내담자 : 사실 너무 성급하게 무리를 하고 싶지는 않고요... 지금은 이 관계를 유지하는 것 이 저에게는 우선 일거라는 생각이 들어요.
치료자 : 왜요?(호기심) 지금 관계이상의 관계에 대해서 걱정이 되세요?
내담자 : 아니요. 걱정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너무 무리해서 관계를 좋게 하려고 하다가 괜 히 그르치고 싶지도 않고, 저도 이런 상황에 차츰 익숙해지는 적응기간이 필요할 것 같아요.
치료자 : 그렇죠. 이제까지 철수씨가 힘들게 여기까지 오셨는데 관계를 그르치고 싶지 않은 그 마음 이해합니다.
그리고 이제껏 다져온 좋아진 관계에 대해서도 느긋하게 즐기실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혹시 자기자신을 칭찬해 본적이 있으세요?
내담자 : 네, 잘 기억은 나지는 않지만 나름대로 일을 잘했다고 생각하거나 큰일을 무사히 했을 때에 스스로 자랑스러울 때는 있어요.
그리고 주변사람들이 칭찬할 때도 그런 기분이 들죠.
치료자 : 맞아요, 주변사람들의 칭찬은 많은 힘이되요.
그리고 큰 일을 맡아 무사히 끝냈을 때도 자기자신이 정말 자랑스럽죠?
이번 같은 경우도 표현하기 힘든 일을 상사에게 먼저 표현함으로써 상사와의 관계 를 개선한데 있어 칭찬받아 마땅하다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내담자 : 네. 그런 생각을 한 적이 있는 것 같아요. 주변 동료들이 상사와 저의 관계가 많이 좋아진 것 같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저 스스로 대견하게 생각했어요.
하지만 저 혼자만 이런 일을 했다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그 상사도의 도움도 있었 던 것 같아요.
치료자 : 그래요? 어떤 도움이 있어나요?
내담자 : 제가 상사에게 고마움을 표시 했을 때 그 상사가 웃어주지 않았다면 계속 그런 마 음을 표현하지 못했을 거예요.
그렇게 보면 이렇게 관계가 좋아지는 것을 저 혼자서는 하지 못했을 게예요.
치료자 : 굉장한데요. 이제는 이렇게 상사의 좋은 점까지도 이야기할 수 있고, 곧 10점으로 갈 수 있는 동건씨의 가능성의 모습이 보입니다.
내담자 : 조금 더 노력해야지요.
치료자 : 표현이 힘들거나, 상사분과의 관계에 나쁜 영향을 주는 마음의 변화가 생길 때마 다 자신을 칭찬했던 지금의 이 마음을 생각해주시길 바랍니다.
내담자 : 네. 그렇게 하겠습니다.
치료자 : 이번 상담이 동건씨께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제 계획되었던 3번의 상담을 마칠 시간이 되었는데요. 지금 소감이 어떠세요?
내담자 : 이 문제가 동료나 친구에게 이야기해도 해결해 줄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서 혼자 서 항상 이 문제 때문에 힘들어 했었거든요.
그런데 이 문제를 선생님과 이야기할 수 있어서 다행이었고, 또 결과도 나름대로 만족할 만한 결과에서 좋습니다.
무엇보다 문제를 해결했다는 저의 자신에 자신감이 생겨서 좋습니다.
치료자 : 와! 정말 좋네요. 저 또한 도움이 많이 되었다니 기쁩니다.
네. 그럼 3회의 상담을 모두 마치구요.
제가 다음 주 중에 전화 연락을 드리겠습니다. 앞으로 계속 상사분과의 관계에서 서로 노력하면서 즐거운 직장생활이 되었으면 하고 바랍니다.
내담자 : 네. 감사합니다.
치료자 : 네. 조심히 돌아가세요.
* 참고자료
상담 및 심리치료의 이해, stephen palmer, 학지사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김용석, 2005
한구문화와 가족치료, 송성자, 법문사, 2003
가족치료 연구모임, 하나의학사, 1996
내담자 : 네. 어떻게 되는 해보겠습니다.
치료자 : 그 상사분은 직장에서 수시로 만날 기회가 있지요?
내담자 : 네. 하루에 12번도 더 마주칩니다.
치료자 : 네... 그렇군요. 좋습니다. 그럼 저번과제보다 조금 더 적극적인 표현들을 그 상사 분께 해보시기 바랍니다. 분명한건 저번과제보다는 조금 더 긍정적이고 적극적으 로 하시는겁니다.
내담자 : 아... 네. 알겠습니다.
치료자 : 그럼 다음주에 또 뵙도록 하겠습니다. 조심히 가세요
3) 세 번째 상담내용
치료자 : 안녕하세요? 어떻게 잘 지내셨지요?.
내담자 : (밝은 표정으로) 네.. 덕분에 아주 잘 보냈습니다.
치료자 : 네 고맙습니다. 동건씨의 밝은 표정을 보니 저도 기분이 좋아 집니다.
내담자 : 하하하 그래요? 고맙습니다.
치료자 : 지난 한 주는 어떠셨어요?
내담자 : 그냥 편하게 마음을 먹고 그 상사를 대했어요.
치료자 : 네.. 아주 잘 하셨네요. 지금 상사와의 관계에서의 기분은 어떠세요?
내담자 : 점점 좋아지고 있다는 기분이었어요. 아직도 관계가 어색하기는 하지만 많이 좋아 졌다는 것을 다른 동료들이 먼저 얘기를 하더라구요.
치료자 : 그 상사분과 관계가 좋아지고 있다니 저도 너무 기분이 좋아집니다. 그것도 바로 주의의 동료들에게 인정받았다니까 동건씨의 노력이 느껴지네요.
그럼 어떻게 그 상사분에게 어떤 긍정적인 관심을 적극적으로 표현하셨나요?
내담자 : 그냥 사소한 것들부터 감사에 표현 등을 수시로 했어요. 자연스럽게 옆자리에도 자주 앉았지요.
처음에는 그 상사도 어색해 했지만 차차 자연스러운 관계로 흘러가고 있다는 느낌 이 들어요.
아참. 퇴근길에 그 상사와 단 둘이는 아니지만 퇴근 후에 다른 직원 한명과 맥주 한 잔하자는 이야기를 상사에게 했어요.
치료자 : 와! 그러셨군요. 정말 대단한 용기를 가지고 말씀 하셨을 것 같은데, 그 때 상사분 의 표정이나 행동은 어떻던가요?
내담자 : 상사에게 말하는 저보다 더 쑥쓰러워 하는 것 같았어요.
그렇게 쑥스러워하는 모습에 맥주한 잔 하자는 말을 하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고 요.
그리고 상사의 쑥쓰러워하는 모습에 뭐랄까 뿌듯한 느낌이 들었던 것 같았어요.
무엇인지 구체적으로는 모르겠지만 이제 관계가 많이 좋아졌다는 어렴풋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치료자 : 정말 그런 마음이 드셨다니 저도 덩달이 뿌듯해지네요.
그럼 지금의 상황에서 상사와의 관계에 몇 점 정도의 점수를 주고 싶으세요?
내담자 : 7점에서 8점 정도여.
치료자 : 그렇군요. 그렇다면 1점이 아니라 10점으로 가기위해서는 그 상사분과의 관계에서 뭐가 좀 더 달라지면 좋을까요?
내담자 : 사실 너무 성급하게 무리를 하고 싶지는 않고요... 지금은 이 관계를 유지하는 것 이 저에게는 우선 일거라는 생각이 들어요.
치료자 : 왜요?(호기심) 지금 관계이상의 관계에 대해서 걱정이 되세요?
내담자 : 아니요. 걱정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너무 무리해서 관계를 좋게 하려고 하다가 괜 히 그르치고 싶지도 않고, 저도 이런 상황에 차츰 익숙해지는 적응기간이 필요할 것 같아요.
치료자 : 그렇죠. 이제까지 철수씨가 힘들게 여기까지 오셨는데 관계를 그르치고 싶지 않은 그 마음 이해합니다.
그리고 이제껏 다져온 좋아진 관계에 대해서도 느긋하게 즐기실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혹시 자기자신을 칭찬해 본적이 있으세요?
내담자 : 네, 잘 기억은 나지는 않지만 나름대로 일을 잘했다고 생각하거나 큰일을 무사히 했을 때에 스스로 자랑스러울 때는 있어요.
그리고 주변사람들이 칭찬할 때도 그런 기분이 들죠.
치료자 : 맞아요, 주변사람들의 칭찬은 많은 힘이되요.
그리고 큰 일을 맡아 무사히 끝냈을 때도 자기자신이 정말 자랑스럽죠?
이번 같은 경우도 표현하기 힘든 일을 상사에게 먼저 표현함으로써 상사와의 관계 를 개선한데 있어 칭찬받아 마땅하다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내담자 : 네. 그런 생각을 한 적이 있는 것 같아요. 주변 동료들이 상사와 저의 관계가 많이 좋아진 것 같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저 스스로 대견하게 생각했어요.
하지만 저 혼자만 이런 일을 했다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그 상사도의 도움도 있었 던 것 같아요.
치료자 : 그래요? 어떤 도움이 있어나요?
내담자 : 제가 상사에게 고마움을 표시 했을 때 그 상사가 웃어주지 않았다면 계속 그런 마 음을 표현하지 못했을 거예요.
그렇게 보면 이렇게 관계가 좋아지는 것을 저 혼자서는 하지 못했을 게예요.
치료자 : 굉장한데요. 이제는 이렇게 상사의 좋은 점까지도 이야기할 수 있고, 곧 10점으로 갈 수 있는 동건씨의 가능성의 모습이 보입니다.
내담자 : 조금 더 노력해야지요.
치료자 : 표현이 힘들거나, 상사분과의 관계에 나쁜 영향을 주는 마음의 변화가 생길 때마 다 자신을 칭찬했던 지금의 이 마음을 생각해주시길 바랍니다.
내담자 : 네. 그렇게 하겠습니다.
치료자 : 이번 상담이 동건씨께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제 계획되었던 3번의 상담을 마칠 시간이 되었는데요. 지금 소감이 어떠세요?
내담자 : 이 문제가 동료나 친구에게 이야기해도 해결해 줄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서 혼자 서 항상 이 문제 때문에 힘들어 했었거든요.
그런데 이 문제를 선생님과 이야기할 수 있어서 다행이었고, 또 결과도 나름대로 만족할 만한 결과에서 좋습니다.
무엇보다 문제를 해결했다는 저의 자신에 자신감이 생겨서 좋습니다.
치료자 : 와! 정말 좋네요. 저 또한 도움이 많이 되었다니 기쁩니다.
네. 그럼 3회의 상담을 모두 마치구요.
제가 다음 주 중에 전화 연락을 드리겠습니다. 앞으로 계속 상사분과의 관계에서 서로 노력하면서 즐거운 직장생활이 되었으면 하고 바랍니다.
내담자 : 네. 감사합니다.
치료자 : 네. 조심히 돌아가세요.
* 참고자료
상담 및 심리치료의 이해, stephen palmer, 학지사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김용석, 2005
한구문화와 가족치료, 송성자, 법문사, 2003
가족치료 연구모임, 하나의학사, 1996
추천자료
사회구성주의적 가족상담접근중 해결중심가족상담
한국의 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중심적 단기가족치료기법의 적용효과에 관한 연구
해결중심모델 파워포인트 (실제사례적용 발표용 PPT)
가족상담이론(보웬 가족상담과 해결중심 가족상담)
가족치료의 모델 - 해결 중심적 단기 가족 치료
가족대상실천기법 (보웬, 미누친, 사티어, 행동주의, 해결중심) 이론요약 보고서, 미누친의 ...
[가족복지론] 가족치료(구조적 가족치료, 경험적 가족치료, 인지행동 가족치료, 해결중심치료...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에서 나의 자원으로 장점 20개를 찾고, 지금까지 지나온 나의 성공적 ...
[가족치료] 한국의 가족문제로 자주 등장하는 고부갈등을 상담하게 된다면 어떤 가족치료 모...
가족치료모델의 초기모델과 후기모델(다세대모델, 경험적 모델, 구조적 모델, 전략적 모델, ...
가족치료의 평가(비교) - 다세대 가족치료 구조적 가족치료 경험적 가족치료 해결중심가족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