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경영과 의사결정
1) 구조적 문제와 비구조적 문제
2) 경영자와 반구조적인 문제
3) DSS 구축을 위한 경영계층과 문제의 구조
2. 문제해결 시스템의 유형
1) DSS의 목표
2) DSS의 구성요소
3) 모델관리 모듈
4) 대화관리 모듈
5) DSS를 이용한 의사결정 과정
3. DSS의 유형
1) Group Decision Making의 장단점
2) GDSS의 분류
3) GDSS의 유형
4) GDSS의 특징
5) 중역정보시스템(EIS)
6) 그룹웨어
4. DSS의 개발
1) DSS의 기술적 수준
1) 구조적 문제와 비구조적 문제
2) 경영자와 반구조적인 문제
3) DSS 구축을 위한 경영계층과 문제의 구조
2. 문제해결 시스템의 유형
1) DSS의 목표
2) DSS의 구성요소
3) 모델관리 모듈
4) 대화관리 모듈
5) DSS를 이용한 의사결정 과정
3. DSS의 유형
1) Group Decision Making의 장단점
2) GDSS의 분류
3) GDSS의 유형
4) GDSS의 특징
5) 중역정보시스템(EIS)
6) 그룹웨어
4. DSS의 개발
1) DSS의 기술적 수준
본문내용
구조적 문제(structured problem)
단 한번의 단계로 의사결정에 도달
알고리즘(algorithm)과 파라미터(parameter)를 이용하여 문제해결
수학적, 물리학적 문제들
비구조적 문제(unstructured problem)
최적해에 도달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부재
불확실성과 관련
날씨
주가동향
의료진단
반구조적 문제(semistructured problem)
전문지식을 구비한 경우의 비구조적 문제: 날씨-> 비전문가에게는 비구조적인 문제, 기상과학자들에게는 반구조적인 문제
계획 가능한 문제(구조적문제)계획불가능한 문제(비구조적 문제) -> 효율적 해결
경영자와 반구조적인 문제
경영자: 다양한 산업, 다양한 업무기능에서 반구조적인 문제와 부딪힘. -> 경영자는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습득해야 , 문제해결과정은 최선의 산출을 가져올 수 있는 대안을 선택하는 작업.
▶ 생산과정에서 경영자: 원자재를 가장 저렴하게 구입하기 위해서는 어떤 공급업체를 선택해야 할 것인가?
▶ 투자 포트폴리오 담당경영자: 전체 투자회수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매도 주식과 매수 주식을 결정
▶ 인사자원 관리자: 새로운 직무에 추천할만한 인물을 결정하고, 해당 인력의 자격과 학습능력을 고려하여 새로운 책임을 맡겨야
▶ 마케팅 전문가: 인쇄물, TV, 또는 메일 광고에 소요되는 자금을 결정하고, 어떠한 세분시장을 목표로 해야 하는지를 결정해야
-> 의사결정시스템(decision support system: DSS) 이 필요
경영자로 하여금 반구조적 또는 비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
경영자의 판단을 지원/보완 (뒤엎기 보다는)
경영자의 의사결정에 있어 효율성보다는 효과성의 개선
Keen and Scott, 1978
MIS의 초기 실패와 DSS의 성공
MIS의 초기실패(경영자가 아닌 컴퓨터 전문가가 전산자동화에 초점)로부터 교훈
확고한 이론적 기반 위에 시작
단 한번의 단계로 의사결정에 도달
알고리즘(algorithm)과 파라미터(parameter)를 이용하여 문제해결
수학적, 물리학적 문제들
비구조적 문제(unstructured problem)
최적해에 도달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부재
불확실성과 관련
날씨
주가동향
의료진단
반구조적 문제(semistructured problem)
전문지식을 구비한 경우의 비구조적 문제: 날씨-> 비전문가에게는 비구조적인 문제, 기상과학자들에게는 반구조적인 문제
계획 가능한 문제(구조적문제)계획불가능한 문제(비구조적 문제) -> 효율적 해결
경영자와 반구조적인 문제
경영자: 다양한 산업, 다양한 업무기능에서 반구조적인 문제와 부딪힘. -> 경영자는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습득해야 , 문제해결과정은 최선의 산출을 가져올 수 있는 대안을 선택하는 작업.
▶ 생산과정에서 경영자: 원자재를 가장 저렴하게 구입하기 위해서는 어떤 공급업체를 선택해야 할 것인가?
▶ 투자 포트폴리오 담당경영자: 전체 투자회수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매도 주식과 매수 주식을 결정
▶ 인사자원 관리자: 새로운 직무에 추천할만한 인물을 결정하고, 해당 인력의 자격과 학습능력을 고려하여 새로운 책임을 맡겨야
▶ 마케팅 전문가: 인쇄물, TV, 또는 메일 광고에 소요되는 자금을 결정하고, 어떠한 세분시장을 목표로 해야 하는지를 결정해야
-> 의사결정시스템(decision support system: DSS) 이 필요
경영자로 하여금 반구조적 또는 비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
경영자의 판단을 지원/보완 (뒤엎기 보다는)
경영자의 의사결정에 있어 효율성보다는 효과성의 개선
Keen and Scott, 1978
MIS의 초기 실패와 DSS의 성공
MIS의 초기실패(경영자가 아닌 컴퓨터 전문가가 전산자동화에 초점)로부터 교훈
확고한 이론적 기반 위에 시작
추천자료
의사결정능력과 기업가치 창출
소비자의사결정과정
[의사결정의 순간] 의사결정의 순간 독후감
[소비자행동][소비자][구매의사결정][소비트랜드][소비경향]소비생활의 중요성, 소비자행동의...
의사결정 (의사결정에 대한 의의 및 대안선택전략)
최근 의사결정지원시스템(DSS)의 경향과 그룹의사결정지원시스템(GDSS)의 효과
<교육경영학>의사소통과 의사결정
소비자의사결정의 효율성(효율성의 개념과 분류, 효율적 소비의 조건)
[의사결정의 순서] 의사결정과정
제 14장 전문가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료전문가 시스템, 간호학에서의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
[영유아교사론 E형] 영유아교육기관의 의사결정 개념을 정의하고 보육, 교육활동에 긍정적인 ...
의사결정의 모형_합리성 모형, 제한적 합리성모형, 정치성 모형
[소비자의사 결정론] 자동차의 소비자 의사결정
판단과 의사결정(확률판단, 확률추정, 의사결정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