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조 한문학의 융성 동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고려사
1. 정치측면의 고려사
2. 문학측면의 고려사
Ⅲ. 고려조 한문학의 배경 특성
1. 고려조 한문학의 배경 특성
2. 당시와 송시
Ⅳ. 고려조 한문학 융성 동인
1. 전체흐름에 따른 내용
2. 한문학 융성에 영향을 미친 사건
Ⅴ. 끝마치면서

본문내용

부 1편을 짓도록 하는 것이 그 내용이다.
또 외관(外官)에 있는 문신들은 스스로 제목을 정하여 매월 시 13수, 부 1편을 지어 연말에 계리(計吏)편에 부쳐서 올리도록 했다. 고려 사회가 문치주의(文治主義)에 입각한 사회였음을 증명하는 제도이다. 과거에 합격한 인물들도 매월 시와 부를 짓게 하여 한문학의 발전에 영향을 끼쳤다.
사학의 발전
고려시대의 사학으로는 12도가 있었다. 12도의 시초는 1055년(문종 9) 문하시중(門下侍中:首相)으로 있다가 퇴관한 최충(崔)이 설립한 구재학당(九齋學堂:후에 문헌공도)에서 비롯한 것이다. 이는 당시 국학(國學:국자감)이 시설 ·교육면으로 유명무실하여 학업 지망생이나 과거 응시자가 권위 있는 유학자가 세운 사학으로 모여들어 성황을 이룸으로써 다른 현관(顯官) 퇴직 유학들도 사숙을 설립하게 된 것이다. 이렇게 해서 개경(開京)에 세운 사숙이 12개에 이르러 그 권위는 관학(官學)인 국자감을 능가하였고, 점차 과거 준비를 하는 예비학교와 같이 되었다.
관립인 국자감이 제 역할을 못했기 때문에 사학이 발전하게 되었다. 사학에서는 벼슬하지 못한 학도들이 절의 승방(僧房)을 빌려 여름에 약 2개월간 모여서 공부하고, 시험을 쳤는데 이 모임을 하천도회(夏天都會)라고 하였다. 하천도회에서는 공부할 때 한문구절을 읽히고 이를 가지고 시험을 치기도 하였는데, 이 역시 한문학 융성의 동인이 되었다.
시화서, 문집
고려조 중기 이후에 송시학의 영향으로 전문적인 시화서가 나타나게 되고 이 가운데 소동파나 황산곡의 문집이나 시 짓는 기법에 대해 여러 차례 언급되고 있는 것을 보면, 그 당시 그들의 시나 문장이 전범의 대상으로 인식되어 폭넓게 읽혀졌으리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성리학
고려 말에 원나라로부터 성리학이 전래되었다. 무신란 이후 종래의 귀족문화 동요와 몽고침략간섭 등을 겪은 신진 사대부들이 꿈꾸는 이상과 부합되어 여말선조의 문화변동을 주도하는 지배이념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따라서 성리학적 세계관에 토대를 둔 시들이 창작되었다.
Ⅴ. 끝마치면서
지금까지 고려조에 한문학이 융성하게 된 동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Ⅰ장에서는 전체적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고려사에 대해 정치문학적 측면에서 알아보았다. 정치측면의 고려사에서는 ‘제1기 : 현종 대까지 약 120년간’, ‘제2기 : 무신정권이 설 때까지의 70년간’,‘제3기 : 권신과 무신이 권력을 독점했던 약 150년간’, ‘제4기 : 무신정권이 끝나고 난 뒤 약 1세기간’으로 나누어 그 내용을 살펴보았다.
문학측면의 고려사에서는 ‘고려 전기 : 고려조 건국부터 인종(1122~1146) 대’, ‘고려 중기 : 의종(1146~1170)부터 무신집권기’, ‘고려 후기 : 무신정권이 완전히 몰락하는 원종 이후’로 나누어 시풍의 변화 양상과 작품의 시풍에 따른 대표작가를 살펴 보았다.
고려 전기의 시풍은 당시풍이 중심이었으며, 중기에는 송시풍이 중심이 되었다. 후기에도 송시풍이 중심이 되었으나, 성리학의 전래에 따른 염락풍이 발생하였다.
전기 만당풍의 대표 작가로는 고운 최치원, 남호 정지상, 뇌천 김부식이 있었다. 중기 당시풍의 대표작가로는 최유청과 임충이 있었다. 같은 시기 송시풍의 대표작가로는 뇌천 김부식, 노봉 김극기, 미수 이인로, 백운 이규보, 매호 진화가 있었다. 후기 당시풍과 송시풍을 혼용한 작품들의 대표작가로는 포은 정몽주와 목은 이색, 도은 이숭인이 있었다. 동대 송시풍의 작가로는 익재 이제헌과 도은 이숭인이 있었다. 후기 염락풍 대표작가로는 포은 정몽주, 운곡 원천석, 목은 이색 등이 있었다. 작품에 나타나는 시풍을 중심으로 작가를 분류하였기 때문에 중첩되는 인물이 있다.
제Ⅱ장에서는 고려조 한문학이 가지는 배경적 특성들에 대해 알아보고, 고려조 한문학에 큰 영향을 미친 당시와 송시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고려조 한문학이 지니는 배경적 특성으로는 문풍, 과거식문과 순문학, 새로운 문학양식, 문학사상적인 측면이 있었다.
당시와 송시는 각각 당나라와 송나라의 시를 뜻한다. 대체로 당시는 주정적이고 함축적이며 감정적이고, 송시는 주리적이고 산문적이며 지성적인 성격이 강하다. 당시의 특색은 여러 가지 제재를 동원하여 정감을 극대화한 것이고, 송시의 그것은 전대 한시에서 볼 수 없었던 제재의 다양성과 의논화의 경향, 평정의 추구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Ⅲ장에서는 고려조 한문학이 융성하게 된 동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고려사회는 신라정치제도와 문화를 수용하면서 전반적인 사회기풍이 한문학을 숭상하는 분위기를 이루게 되었다. 여기에 과거제도의 도입, 문신월과법, 사학의 발전, 시화서문집의 발생, 성리학의 도입 등이 영향을 미쳐 고려조에 한문학이 그 기초를 다지고 융성할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짧다고도 할 수 없지만, 길지도 않은 시간 내에 여러 자료를 보고 정리하여 내용의 엉성함이 많다. 하지만 배워가는 입장이기에 잘못된 부분을 고쳐나가며 더욱 깊이 있는 공부를 해나가겠다. 자료는 교수님께서 주신 책과 인터넷 백과사전 및 블로그를 위주로 사용하였다. 각주를 달고 출처를 적어야하는데 제대로 못한 점 양해를 부탁드린다.
참고문헌 및 자료출처
변종현 저, 『高麗朝漢詩硏究』, 태학사, 1994
‘문화역사, 지리, 그리고 사랑’,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culthis80?Redirect=Log&logNo=30009271923]
네이버 백과사전
shj895, 네이버 지식인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001&docId=61441374&qb=6rOg66CkIO2VnOusuO2VmQ==&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g6QpSwoi5URssckHeBGsss--042968&sid=TKfoYu65p0wAAGjaHSc
Skyler, 야후! 블로그
http://kr.blog.yahoo.com/nativekim%40ymail.com/13
마고딜, 네이버 블로그
http://magodeelgam.blog.me/90041223485

키워드

교려,   한문학,   융성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10.30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10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