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장비 : STR3
3. 이론 : 휨모멘트(bending moment)
4. 실험 방법
5. 결과
7. 고찰
2. 실험 장비 : STR3
3. 이론 : 휨모멘트(bending moment)
4. 실험 방법
5. 결과
7. 고찰
본문내용
다.
한 번의 실험으로 나온 데이터라서 여러 번 실험으로 나온 데이터의 평균값보다 정확도가 떨어진 것 같다.
로드압축셀의 측정값은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보여주기 때문에 정확한 값을 얻기 힘들었고, 이는 오차에 포함된다.
추의 중량을 재는 전자저울의 값을 잘못 읽었을 수 있다.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탄성이 강성이 높은 보를 사용하여 실험이 계속적으로 반복되더라도 보 자체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위에서 말한 오차의 원인에서처럼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면 잔류응력이 남아있게 되기 때문이다. 하중과 모멘트 팔 거리의 곱으로 모멘트를 측정하기 때문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정확한 위치에 부착해서 오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번의 실험이 아니라 여러 번의 실험을 통해 도출한 값의 평균값을 이용한다면 이론값과의 오차를 줄 일 수 있을 것이다.
R e p o r t
7. 고찰
철근 콘크리트 처음 실험으로 하중과 모멘트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었다. 보에 하중을 가하는 추를 추가하면서 모멘트 크기를 측정하여 실험값과 이론값을 비교하는 실험이었다. 실험은 두가지를 하였고 선형증가 실험과 중첩실험을 하였다. 선형증가 실험은 보위에 정해진 지점에서 하중을 선형적으로 증가시켜 모멘트를 측정하는 것이고 중첩실험은 서로 다른 두하중을 한꺼번에 재하시킨 것과 따로 재하시킨 것을 측정하여 모멘트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 두가지 실험을 한후 이론값과 실제값을 비교했는데 오차가 발생하였다. 이것은 정확한 0점을 잡지 못했던 것이 원인이 되었고 스트레인 게이지의 측정단위로 인해서 오차가 발생 하였던 것 같다. 또한 실험을 한번 했기 때문에 여러 번 했을 경우에 비해서 정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위에 오차가 발생했던 부분들을 보완 해주면 이론값에 가까워질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실험을 여러번 반복하고 실험기구에 있어서 실험에 대한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탄성이 좋은 보를 사용하는 방법등이 있을 듯 싶다.
철콘 첫 실험이었는데 생각보다 실험이 어렵지 않아서 실험하기는 편했으나 결과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정확한 이해가 없어서 결과분석이 오래 걸렸다. 실험하기 전 정확한 이론적인 이해를 하고 실시해야겠다.
R e p o r t
7. 고찰
하중과 모멘트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으로 실험은 두가지를 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하중과 모멘트의 상관관계에 대한 측정을 통해서 보가 평행상태를 유지한다는 가정하에 보위에 정해진 지점에서 하중을 선형적으로 증가시켜서 모멘트를 측정하는 것이었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서로 다른 두 하중을 따로 재하시킨 것과 따로 따로 하중을 재하시켜 하중이 중첩되는 경우의 모멘트를 측정하는 것이었다. 두 가지 실험 방법은 어렵지 않게 할수 있었고 이에 따라서 쉽게 실험을 하였다.
오차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측정시 외부의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는 가정이 나왔고 보에 남아 있는 잔류응력에 의하여 측정치의 값에 오차가 발생하기도 한 것 같다. 또한 한번의 실험으로 나온 값이라 데이터의 평균값이 사용되지 않은점, 반복된 실험으로 스트레인 게이지가 정확하게 감지 못할 수도 있다는 예측을 하게 되었다.
이에 오차를 줄이려면 스트레인 게이지를 정확한 위치에 부착하고 실험을 여러번 하여 데이터의 평균값을 사용하도록 하며 탄성이 좋은 보를 이용하는 것도 오차를 줄이는데 좋은 방법인 것 같다.
실험을 시행하는데 있어서 비교적 어려움이 없어서 놀라웠고 하중을 재하였을 때 바로 값이 나와서 차트정리를 하는면에서는 어려움이 없었으나 결과도찰을 하는데 있어서 정확한 이론적 이해가 선행되지 않아 어려웠다.
한 번의 실험으로 나온 데이터라서 여러 번 실험으로 나온 데이터의 평균값보다 정확도가 떨어진 것 같다.
로드압축셀의 측정값은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보여주기 때문에 정확한 값을 얻기 힘들었고, 이는 오차에 포함된다.
추의 중량을 재는 전자저울의 값을 잘못 읽었을 수 있다.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탄성이 강성이 높은 보를 사용하여 실험이 계속적으로 반복되더라도 보 자체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위에서 말한 오차의 원인에서처럼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면 잔류응력이 남아있게 되기 때문이다. 하중과 모멘트 팔 거리의 곱으로 모멘트를 측정하기 때문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정확한 위치에 부착해서 오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번의 실험이 아니라 여러 번의 실험을 통해 도출한 값의 평균값을 이용한다면 이론값과의 오차를 줄 일 수 있을 것이다.
R e p o r t
7. 고찰
철근 콘크리트 처음 실험으로 하중과 모멘트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었다. 보에 하중을 가하는 추를 추가하면서 모멘트 크기를 측정하여 실험값과 이론값을 비교하는 실험이었다. 실험은 두가지를 하였고 선형증가 실험과 중첩실험을 하였다. 선형증가 실험은 보위에 정해진 지점에서 하중을 선형적으로 증가시켜 모멘트를 측정하는 것이고 중첩실험은 서로 다른 두하중을 한꺼번에 재하시킨 것과 따로 재하시킨 것을 측정하여 모멘트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 두가지 실험을 한후 이론값과 실제값을 비교했는데 오차가 발생하였다. 이것은 정확한 0점을 잡지 못했던 것이 원인이 되었고 스트레인 게이지의 측정단위로 인해서 오차가 발생 하였던 것 같다. 또한 실험을 한번 했기 때문에 여러 번 했을 경우에 비해서 정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위에 오차가 발생했던 부분들을 보완 해주면 이론값에 가까워질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실험을 여러번 반복하고 실험기구에 있어서 실험에 대한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탄성이 좋은 보를 사용하는 방법등이 있을 듯 싶다.
철콘 첫 실험이었는데 생각보다 실험이 어렵지 않아서 실험하기는 편했으나 결과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정확한 이해가 없어서 결과분석이 오래 걸렸다. 실험하기 전 정확한 이론적인 이해를 하고 실시해야겠다.
R e p o r t
7. 고찰
하중과 모멘트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으로 실험은 두가지를 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하중과 모멘트의 상관관계에 대한 측정을 통해서 보가 평행상태를 유지한다는 가정하에 보위에 정해진 지점에서 하중을 선형적으로 증가시켜서 모멘트를 측정하는 것이었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서로 다른 두 하중을 따로 재하시킨 것과 따로 따로 하중을 재하시켜 하중이 중첩되는 경우의 모멘트를 측정하는 것이었다. 두 가지 실험 방법은 어렵지 않게 할수 있었고 이에 따라서 쉽게 실험을 하였다.
오차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측정시 외부의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는 가정이 나왔고 보에 남아 있는 잔류응력에 의하여 측정치의 값에 오차가 발생하기도 한 것 같다. 또한 한번의 실험으로 나온 값이라 데이터의 평균값이 사용되지 않은점, 반복된 실험으로 스트레인 게이지가 정확하게 감지 못할 수도 있다는 예측을 하게 되었다.
이에 오차를 줄이려면 스트레인 게이지를 정확한 위치에 부착하고 실험을 여러번 하여 데이터의 평균값을 사용하도록 하며 탄성이 좋은 보를 이용하는 것도 오차를 줄이는데 좋은 방법인 것 같다.
실험을 시행하는데 있어서 비교적 어려움이 없어서 놀라웠고 하중을 재하였을 때 바로 값이 나와서 차트정리를 하는면에서는 어려움이 없었으나 결과도찰을 하는데 있어서 정확한 이론적 이해가 선행되지 않아 어려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