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험의 목적
2. 시험용 기구
3. 이론
원리
종류
반발경도법
4. 시험 방법
5. 참고 사항
2. 시험용 기구
3. 이론
원리
종류
반발경도법
4. 시험 방법
5. 참고 사항
본문내용
(통상 8~25 ㎏/㎠정 도로). 플런저 케이스 내의 소정위치까지 압입되면, 해머는 임팩트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플런저를 작동시켜 콘크리트면을 타격하고 콘크리트 경도에 따라 일정한 위치까지 튀어 오른다. 즉시 버턴을 눌러서 반발경도를 정지시키고 지침과 눈금판에 의해서 이 숫자를 읽으면 된다.
ⅳ. 1개소의 측정은 30㎝ 이상의 간격을 둔 20점 이상을 측정하여 산술평균값을 구하여 그 개소의 반발경도 R로 한다.
ⅴ. 특히 반향이나 움푹 패인 정도로부터 판단하여 분명히 이상이 있다고 인정되거나 그 오 차가 평균값과 약 20% 이상 되는 값은 버리고 이를 대신할 수 있는 값을 취하여 평균값 을 구한다.
ⅵ. 반발경도와 압축강도의 함수관계식, 또는 계산도표에 의해 압축강도를 측정한다.
*반발경도 보정*
여기서, : 수정 반발경도
: 측정 반발경도
: 타격각도에 의한 보정값
(수중 양생을 실시한 콘크리트를 건조시키지 않고 측정한 경우는 로 한다.)
*원주형 공시체의 압축강도 추정 관계식*
여기서, : 원주체 압축강도 (㎏/㎠)
5. 참고 사항
♠ 두께 10㎝ 미만의 판재, 1변이 15㎝이하이고 시간이 긴 부재는 피하고 부득이 그러한 개소를 측정할 경우에는 배후를 적당한 방법으로 지지하여 타격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하 여야한다.
♠ 반발경도는 콘크리트의 건습, 시험방법 등에 따라 변화가 많아, 우리가 사용하는 식에 의한 강도판정의 오차는 대체로 ±30~40㎏/㎠ 정도이다. 또한 연수를 간과하고 건조한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과대한 반발경도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콘 크리트는 보정하여 사용함이 좋다.
ⅳ. 1개소의 측정은 30㎝ 이상의 간격을 둔 20점 이상을 측정하여 산술평균값을 구하여 그 개소의 반발경도 R로 한다.
ⅴ. 특히 반향이나 움푹 패인 정도로부터 판단하여 분명히 이상이 있다고 인정되거나 그 오 차가 평균값과 약 20% 이상 되는 값은 버리고 이를 대신할 수 있는 값을 취하여 평균값 을 구한다.
ⅵ. 반발경도와 압축강도의 함수관계식, 또는 계산도표에 의해 압축강도를 측정한다.
*반발경도 보정*
여기서, : 수정 반발경도
: 측정 반발경도
: 타격각도에 의한 보정값
(수중 양생을 실시한 콘크리트를 건조시키지 않고 측정한 경우는 로 한다.)
*원주형 공시체의 압축강도 추정 관계식*
여기서, : 원주체 압축강도 (㎏/㎠)
5. 참고 사항
♠ 두께 10㎝ 미만의 판재, 1변이 15㎝이하이고 시간이 긴 부재는 피하고 부득이 그러한 개소를 측정할 경우에는 배후를 적당한 방법으로 지지하여 타격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하 여야한다.
♠ 반발경도는 콘크리트의 건습, 시험방법 등에 따라 변화가 많아, 우리가 사용하는 식에 의한 강도판정의 오차는 대체로 ±30~40㎏/㎠ 정도이다. 또한 연수를 간과하고 건조한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과대한 반발경도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콘 크리트는 보정하여 사용함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