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레알(Loreal)의 현지화와 한국 진출 성공사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로레알 소개
(1) 개요
(2) 주요 사업부

2. 현지화 성공사례
(1) 인도
(2) 미국
(3) 중국
(4) 브라질

3. 한국 진출 성공사례
(1) 한국 진출 환경
(2) 한국 진출 배경
(3) 한국 진출 과정
(4) 한국 진출 마케팅

4.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의 경우 화이트닝 제품중 한국시장에서 돌풍적인 인기를 얻어 해외로 역수출 하는 기현상 까지 일어났으며 한국시장의 테스트마켓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치렀다.
2003년 출시된 더모 엑스퍼티즈는 최초로 한국여성만을 위해 만든 기초 화장품이다. 이 화장품은 한국을 포함, 5000여명의 아시아 여성을 대상으로 임상 테스트를 거쳐 4년 만에 개발됐다. 특히 기초화장품 17종 가운데 밀크로션, 자외선 차단 메이크업 베이스, 유분성 크림등 3종은 한국 여성들이 가장 많이 쓰는 제품을 연구해 따로 개발된 것이다. 립스틱 신제품 '엑조틱 레드'와 '주얼리 브라운'은 메이크업 아티스트 김청경씨가 파리 연구소를 방문, 직접 배합한 색깔이다. 로레알 본사는 이번 '더모 엑스퍼티즈' 브랜드 출시와 마케팅 총괄담당을 한국인 여성에게 맡겼다.
2) Price
가격은 현지법인에서 결정된다. 환율, 경쟁가격, 현지 마케팅 비용 등을 모두 고려하여 가격을 책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샤넬과 쟈도르의 가격에 미국에서는 거의 차이가 나지 않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샤넬의 가격에 훨씬 비싸게 책정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샤넬의 이미지가 더 좋게 각인 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경쟁 가격에 세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본사에서 bench marking 해야 할 guide line은 제시하여 준다.
3) Place
로레알은 4개의 부서로 나뉘어져 있는데, 이렇게 다양한 유통채널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를 차별화 하여 한국에서 폭넓은 고객을 유지 하였다. 한국인이 비싸면 좋을 것이라는 인식과 외제품 선호 성향은 최고급 브랜드들을 백화점 중심으로 한 엄선된 유통채널(백화점 사업본부, Luxury Product Division)과 상응하여 고급 소비자들에게 크게 어필하고 있다. 그리고 시판사업부를 통한 매스 마케팅을 통해 다수의 소비자에게 고품질의 제품을 대형 할인매장이나 화장품 전문점을 통해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공함으로써 보다 많은 대중에게 어필 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여성들의 미에 대한 관심은 세계 어느 나라 여성에 비해 크기 때문에 로레알이 헤어살롱이나 약국이나 병원을 통해 제품을 유통시키는 방법은 커다란 신뢰를 쌓을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전문가들이 다루는 제품, 병원에서 믿을 수 있게 쓸 수 있는 제품이라는 이미지를 통해 보다 믿을 수 있게 거부감 없이 소비자들에게 다가 갈 수 있었다.
4) Promotion
로레알은 제품 광고에 있어 단일한 광고로 여심(女心)을 사로잡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있으나 한국에서 만큼은 로레알도 한국인 모델을 쓴다. ‘랑콤’의 영화배우 이미연, ‘비오템’의 가수 이효리, ‘메이블린’의 가수 보아가 그들이다. 경기가 하강곡선을 그려가던 2003년에 색조 제품을 출시했지만 매출은 꿈적도 하지 않고 경쟁사는 광고비를 4-5배나 쏟아 부으며 빅모델을 동원한 CF를 틀어대었다. 이때 비오템 이경주 마케팅 실장은 한국의 젊은 소비자들이 TV와 영상매체에 민감하다는 점을 적극 활용하여 영상광고를 적극 활용하도록 하고 ‘이 사람도 비오템을 쓰니 당신도 써보라’는 식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 광고 판촉을 벌였다.
비오템은 1995년 한국시장 런칭 이후 최고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으며 지난해 화장품이 정체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을 때 비오템은 15%의 두자릿수 성장률을 보이며 380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2년 전 20대 초반 여성들 사이의 인지도는 20%에도 미치지 못해 선호도가 6-7위 수준에 불과했지만 인지도 30%, 선호도 2위로 뛰어 올랐다. 이후 보아와 이미연을 잇따라 모델로 기용하게 된 것이다. 최근에는 개성파 가수인 서인영을 모델로 광고를 하였다.
또한 2005년 6월 로레알 파스벤더 사장은 생활가정과 그룹홈의 어린이를 돕는 ‘로레알 우렁 각시 봉사단’을 발족했다. 그룹홈이란 고아원 대신 가정에서 10명 미만의 아이를 양육하는 곳으로 취임 후 1년간의 조사를 거쳐 파스벤더 사장이 직접 찾아낸 봉사 프로그램으로 이름을 한국 전통이야기에서 따왔다는 데에서 적절한 현지화 전략으로 호평을 받고 있다.
4. 결론 및 시사점
로레알이 한국 시장에서 큰 점유율을 차지하며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기회를 포착하고 과감하게 투자하는 진입전략과 무엇보다 적극적인 현지화전략에 그 핵심이 있었다. 로레알은 한국 시장에 진입할 초기에는 라이센싱의 간접투자 형태로 진출하였지만, 한국 시장의 규모의 성장, 미래 성장가능성을 높이 평가한 후 1990년대 완전소유 자회사 코벨 설립하여 본격적으로 시장에 진출하였다. 앞으로 한국 시장이 가지는 중요성이 점차 높아짐으로써 R&D에 관한 꾸준한 투자, 현지에 맞는 마케팅 전략 수행함으로써 마켓쉐어를 점차 늘리고 있다. 이러한 투자전략은 로레알로 하여금 간접투자에서 직접투자로 이어지는 형태로 충분한 시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시간이 있었기 때문에 직접투자에 있어서도 실패의 위험이 적을 뿐만 아니라 직접투자 이후에도 적극적인 현지화 전략이 이루어 졌기에 지금과 같은 위치에 올라와 있다고 본다. 로레알은 한국시장에서의 가능성을 높이 사 한국에서의 연구개발 및 R&D를 활발히 하며 앞으로도 대규모의 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본다.
최근 로레알은 상반기 순익이 13억 2000만유로(16억7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다고 밝혔다. 아시아 지역과 남미 지역에서 고급화장품의 판매가 크게 늘어나면서 기대이상의 실적을 거두었다. 이에 장-폴 아곤 로레알 최고경영자(CEO)는 “상반기 실적회복은 꾸준한 연구개발(R&D) 투자를 바탕으로 한 제품개발과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으로 일궈낸 성과” 라 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로레알 세계적인 성공이 의미하는 것은 글로벌진출을 고려하는 기업들에게 로레알이 주는 시사점이 아닐까한다.
<참고자료>
www.loreal.co.kr
www.lorealprofessionnel.co.kr
www.kcia.co.kr
www.scsk.or.kr
www.fnnews.com
www.etoday.co.kr
www.dt.co.kr
www.hankyung.com
www.munhwa.com
www.mk.co.kr
www.edaily.co.kr
  • 가격1,8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11.02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16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