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최근 국제곡물 수급동향과 전망
1. 최근 국제 곡물 가격 동향과 특징
2. 전망
3. 추친대책
1. 최근 국제 곡물 가격 동향과 특징
2. 전망
3. 추친대책
본문내용
. 추친대책
그간 민간업계에서 곡물재고 감소 및 가격상승에 대비 선물·사전구매를 실시, 2~5개월치의 곡물을 미리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 제품에 미치는 가격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노력해 왔음
<단기대책>
(1) 국제 곡물시장 동향을 종합분석하여 적극 대처
○ 각국의 주요곡물 식부면적, 기상조건, 선물시장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검토하여 국내부담을 최소화하는 최적구매 추진
○ 위험분산과 유리한 구매조건 확보를 위하여 수입국, 구매방법과 시기, 수입곡종을 다양화
* 한국은 도입사료곡물 중 대부분(95%)이 옥수수이나 일본 대만은 수수의존율이 각각 30%, 10%에 달함
(2) 곡물별 수입관련 협의회를 종합, 곡물대책 협의회로 통합운영
○ 국제 곡물시장 동향에 대한 정보교환 및 대응전략 상호협의
* 구성 : 축협, 유통공사, 제분협회, 민간제분회사등 11개 기관으로 구성
○ 국제 곡물시장의 동향을 감안, 월 1~2회 개최
(3) 수입관세 및 수입제도를 탄력적으로 운영하여 업계의 부담을 최소화
○ 저율관세 수입물량(MMA, CMA)의 수입시기·물량 등을 탄력적으로 운용하여 국내에 미치는 영향 최소화
○ 현재 곡물 및 조사료 수입시 할당관세 인하 추지
○ 축산 배합사료 부가세의 영세율 추진(재경원과 협조)
(4) 중장기대책
○ 국제 곡물시장의 구조분석 및 대응체제 구축
-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국제곡물 파동에 대응하기 위하여 국제 곡물시장의 구조 등을 분석, 대응전략 연구
○ 민간비축 지원 검토
- 국제 수급동향과 외국의 비축제도를 면밀히 검토, 필요한 경우 비축시설 및 비축에 필요한 자금지원 검토
○ 해외농업투자 지원방안 검토
- 과거 70년대의 정부주도의 농업이민방식에 의한 농업개발사례와 80년대 민간자본에 의한 직접투자, 고합, 대륙개발 등에서 추진하고 있는 북방농업개발 등 사례를 분석하여 새로운 접근 방식 모색
○ OECD, APEC등 각종 국제회의체에 우리의 입장 강화 노력
- 수입국 다변화 노력
· 곡물수입국이 미국 등 5~7개국으로 한정되어 있어 위험분산 측면에서 장기적으로 수입국 다변화 정책이 필요
- 국제회의 등에서 국내생산을 통한 식량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등 우리입장 반영
· OECD, FAO, APEC 등 국제 FORA에서 수출국중심의 무역 및 식량안보 논리에 대응하여 우리 입장반영 노력강화
※ FA의 세계식량정상회담(World Food Summit, ’96. 11. 13~17. 로마) 참여
그간 민간업계에서 곡물재고 감소 및 가격상승에 대비 선물·사전구매를 실시, 2~5개월치의 곡물을 미리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 제품에 미치는 가격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노력해 왔음
<단기대책>
(1) 국제 곡물시장 동향을 종합분석하여 적극 대처
○ 각국의 주요곡물 식부면적, 기상조건, 선물시장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검토하여 국내부담을 최소화하는 최적구매 추진
○ 위험분산과 유리한 구매조건 확보를 위하여 수입국, 구매방법과 시기, 수입곡종을 다양화
* 한국은 도입사료곡물 중 대부분(95%)이 옥수수이나 일본 대만은 수수의존율이 각각 30%, 10%에 달함
(2) 곡물별 수입관련 협의회를 종합, 곡물대책 협의회로 통합운영
○ 국제 곡물시장 동향에 대한 정보교환 및 대응전략 상호협의
* 구성 : 축협, 유통공사, 제분협회, 민간제분회사등 11개 기관으로 구성
○ 국제 곡물시장의 동향을 감안, 월 1~2회 개최
(3) 수입관세 및 수입제도를 탄력적으로 운영하여 업계의 부담을 최소화
○ 저율관세 수입물량(MMA, CMA)의 수입시기·물량 등을 탄력적으로 운용하여 국내에 미치는 영향 최소화
○ 현재 곡물 및 조사료 수입시 할당관세 인하 추지
○ 축산 배합사료 부가세의 영세율 추진(재경원과 협조)
(4) 중장기대책
○ 국제 곡물시장의 구조분석 및 대응체제 구축
-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국제곡물 파동에 대응하기 위하여 국제 곡물시장의 구조 등을 분석, 대응전략 연구
○ 민간비축 지원 검토
- 국제 수급동향과 외국의 비축제도를 면밀히 검토, 필요한 경우 비축시설 및 비축에 필요한 자금지원 검토
○ 해외농업투자 지원방안 검토
- 과거 70년대의 정부주도의 농업이민방식에 의한 농업개발사례와 80년대 민간자본에 의한 직접투자, 고합, 대륙개발 등에서 추진하고 있는 북방농업개발 등 사례를 분석하여 새로운 접근 방식 모색
○ OECD, APEC등 각종 국제회의체에 우리의 입장 강화 노력
- 수입국 다변화 노력
· 곡물수입국이 미국 등 5~7개국으로 한정되어 있어 위험분산 측면에서 장기적으로 수입국 다변화 정책이 필요
- 국제회의 등에서 국내생산을 통한 식량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등 우리입장 반영
· OECD, FAO, APEC 등 국제 FORA에서 수출국중심의 무역 및 식량안보 논리에 대응하여 우리 입장반영 노력강화
※ FA의 세계식량정상회담(World Food Summit, ’96. 11. 13~17. 로마) 참여
추천자료
[부동산][부동산투자][부동산개발][부동산시장][부동산시장 전망][부동산시장 과제]부동산과 ...
애그플레이션
한국과 중국의 자동차산업 분석
빈곤과 국민기초생활보장
애그플레이션의 발생 원인과 우리나라의 대처 방안 제안
[금융기관][금융기관여신][은행여신][부동산여신][여신][은행][부동산]금융기관의 개념, 금융...
한국의 노동시장 분석
한국 농업 발전 방향
실업급여 리포트(우리나라의 실업급여와 외국의 실업급여)
양식어업(양식업)의 품종별 분류와 발전 과정, 양식어업(양식업)의 세계적 동향, 양식어업(양...
사회복지정책론 실업급여1,
세계최고의 철강 기업 포스코(posco)의 성공 요인과 위기 극복전략
[졸업논문] 국민연금 기금의 운용실태와 고용과 복지 확대를 위한 국민연금 기금운용 방안
고려아연 경영전략분석과 국제화전략분석및 고려아연 향후전망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