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술종속과 문화종속
2. 문화지체
3. 포스트모더니즘
4. 사이버문화
2. 문화지체
3. 포스트모더니즘
4. 사이버문화
본문내용
점을 강조한다. 문화에 있어서도 문화적 특수성보다는 문화적 보편성과 동질성을 강조한다. 모더니즘은 산업의 대량생산 메카니즘이나 도시화에 따른 대중사회의 형성이 대중매체에 의한 표준화된 대중문화의 대량생산 메카니즘과 상호 보완적인 관계 속에서 발전해왔다고 할 수 있는데, 이에 대응하여 등장, 발전한 문화양식이 바로 포스트모더니즘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한마디로 정의할 수 없지만 어떤 공통적인 성향을 든다면 다원주의적이고 반(反)합리주의적 심미주의(審美主義) 사상운동의 성격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정보사회의 문화양식이 산업사회의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변동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 이유는 정보통신기술과 뉴미디어의 비대중적 특성, 상호작용성으로 인하여 산업사회의 대중문화가 해체되고 다양한 개인의 문화적 기호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개인의 문화가 등장하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뉴미디어가 새로운 문화의 형성에 직접 연계된다는 주장에 비판적 견해도 제기되고 있다. 즉 정보매체의 기술적 가능성과 현실적 수용가능성 사이에는 항상 격차가 있다는 것이다. 정보매체의 발전을 산업사회의 연장선 상에서 파악하여 오히려 산업사회의 특성이 더욱 강화되고 세계의 구석구석에까지 도달하는 상업적 미디어가 사람들의 욕망과 그들의 소비문화를 더욱 통합시키고 동질화시키는데 기여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으나, 다양한 정보통신기술의 등장이 각 개인이나 집단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취향에 따라 각기 다른 미디어 정보에 접하게 됨으로써 대중매체에서와 같은 문화의 공유보다는 오히려 문화적 파편화(fragmentation)가 가속화될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생각된다.
◈ 사이버문화
최근에는 컴퓨터와 네트워크에 의해 형성된 가상 공간(cyber space)의 문화, 즉 사이버 문화 또는 사이버문화가 주목을 받고 있다. 그것은 문화변동론(文化變動論)의 관점―정보매체의 사용이 기존 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 아니라 문화를 하나의 현실문화와는 구별되는 다른 양식의 문화를 말한다. 정보통신혁명으로 이른바 가전화(家電化)의 시대에서 개전화(個電化)의 시대로 전환되면서 혈연, 지연, 물리적 공간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현실 공동체의 유대감이 약해지는 대신 컴퓨터 통신망에서 공동의 가치, 취미 등을 중심으로 한 가상 공동체가 번성하는 현상이 대두되고 있다. 네트워크 상의 가상공간 내에 이른바 생활공간이 등장하면서 생활의 이중화(duality)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가상공간에서는 시공(時空)간의 구속뿐만 아니라 문화적 구속에서도 자유롭기 때문에 네티즌들은 현실 속의 자신들과는 다른 자아(自我)를 형성하게 될 가능성이 있게 되었다. 가상공간에서 형성되는 또 다른 자아를 흔히 사이버 에고(cyberego)라고 한다. 이러한 양상들은 가상공간이 기존의 공간과는 완전히 다른 공간이며, 그 안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이 만들어낸 문화는 현실의 문화와는 질적으로 구별되는 또 다른 문화임을 보여준다.
) 최진석, 『한국정보사회론』, 기한재, 1997, pp.250~272.
그렇다면 정보사회의 문화양식이 산업사회의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변동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 이유는 정보통신기술과 뉴미디어의 비대중적 특성, 상호작용성으로 인하여 산업사회의 대중문화가 해체되고 다양한 개인의 문화적 기호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개인의 문화가 등장하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뉴미디어가 새로운 문화의 형성에 직접 연계된다는 주장에 비판적 견해도 제기되고 있다. 즉 정보매체의 기술적 가능성과 현실적 수용가능성 사이에는 항상 격차가 있다는 것이다. 정보매체의 발전을 산업사회의 연장선 상에서 파악하여 오히려 산업사회의 특성이 더욱 강화되고 세계의 구석구석에까지 도달하는 상업적 미디어가 사람들의 욕망과 그들의 소비문화를 더욱 통합시키고 동질화시키는데 기여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으나, 다양한 정보통신기술의 등장이 각 개인이나 집단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취향에 따라 각기 다른 미디어 정보에 접하게 됨으로써 대중매체에서와 같은 문화의 공유보다는 오히려 문화적 파편화(fragmentation)가 가속화될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생각된다.
◈ 사이버문화
최근에는 컴퓨터와 네트워크에 의해 형성된 가상 공간(cyber space)의 문화, 즉 사이버 문화 또는 사이버문화가 주목을 받고 있다. 그것은 문화변동론(文化變動論)의 관점―정보매체의 사용이 기존 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 아니라 문화를 하나의 현실문화와는 구별되는 다른 양식의 문화를 말한다. 정보통신혁명으로 이른바 가전화(家電化)의 시대에서 개전화(個電化)의 시대로 전환되면서 혈연, 지연, 물리적 공간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현실 공동체의 유대감이 약해지는 대신 컴퓨터 통신망에서 공동의 가치, 취미 등을 중심으로 한 가상 공동체가 번성하는 현상이 대두되고 있다. 네트워크 상의 가상공간 내에 이른바 생활공간이 등장하면서 생활의 이중화(duality)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가상공간에서는 시공(時空)간의 구속뿐만 아니라 문화적 구속에서도 자유롭기 때문에 네티즌들은 현실 속의 자신들과는 다른 자아(自我)를 형성하게 될 가능성이 있게 되었다. 가상공간에서 형성되는 또 다른 자아를 흔히 사이버 에고(cyberego)라고 한다. 이러한 양상들은 가상공간이 기존의 공간과는 완전히 다른 공간이며, 그 안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이 만들어낸 문화는 현실의 문화와는 질적으로 구별되는 또 다른 문화임을 보여준다.
) 최진석, 『한국정보사회론』, 기한재, 1997, pp.250~272.
추천자료
사이버 문화의 새로운 현상과 사회변화 ( 소제 : 사이버공간에서 이루어지는사이버문화의 특징)
[영화분석]포스트모더니즘과 블래이드러너
신공공관리론, 뉴거버넌스론, 포스트모더니즘 행정이론
1990년대 평론 - 포스트모더니즘 비평, 메타 비평
한국현대미술속의 포스트모더니즘
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뉴거버넌스, 신공공관리론, 포스트모더니즘
영화 ‘향수: 어느 살인자 이야기 (Perfume: The Story Of A Murderer)’를 통해 본 현대음악과...
사이버문화(인터넷문화) 성격과 공간, 사이버문화(인터넷문화) 주체와 주체성, 사이버문화(인...
[사이버][사이버성폭력][사이버사회][사이버문학][사이버문화]사이버성폭력, 사이버사회, 사...
인터넷 사이버공간, 인터넷 사이버문화, 인터넷 사이버쇼핑, 사이버쇼핑몰, 인터넷 사이버폭...
[사이버가정학습, 사이버대학]사이버가정학습, 사이버대학, 사이버문화, 사이버문학, 사이버...
현대청소년문화의 특징과 장단점(사이버문화에 대해)과 바람직한 청소년문화에 대해서
(사이버문화와 청소년) 사이버문화와 청소년에 대하여 논하시오.